알라딘서재

nanalgae님의 서재
  • 너의 의무를 묻는다
  • 이한
  • 9,900원 (10%550)
  • 2010-10-30
  • : 1,266
『너의 의무를 묻는다』이한, 뜨인돌
- 청소년을 위한 한국판 ‘정의란 무엇인가?’


1. 청소년을 위한 한국판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들의 ‘정의란 무엇인가’가 한국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다양한 예시와 명쾌한 주장, 세상을 바라보는 제안이 많은 사람들을 끌었던 것 같다.

좀 더 쉽고, 간결하며 누구나 이해 할 수 있는 비슷한 류의 책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이한의 『너의 의무를 묻는다』를 보며 바로 이것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청소년들이 보면서 음미해볼 부분이 많다고 생각했다.


2. ‘의무’를 다시 생각해 보게 한 책

나는 시험문제에 나온다며 국민의 권리, 의무를 외웠던 기억이 있다. 살아가면서 그것들은 잊혀져 갔고, 나와 큰 관련이 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권리는 제대로 주장해 보지 못했고, 받아들여진 적도 별로 없으며, 의무는 사실상 강요이며, 억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 ‘너의 의무를 묻는다’를 읽으며, ‘권리’와 ‘의무’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해 보게 됐다. 특히, ‘의무’에 대한 기존 사고가 무너지게 됐다. 국가에 대한 국민의 의무(강요)로만 생각됐던 것에서 공동체에서 가져야 하는 보편적 의무, 인간으로서 가져야 하는 의무를 고민하게 됐던 것이다.


3. 이 책의 특징

이 책의 특징을 꼽자면, 쉽고, 간결하며,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1)쉽고,
‘살아가면서 읽는 사회 교과서’라는 부제가 달린 것 처럼 청소년을 대상으로 ‘의무’가 무엇이며, ‘어떻게 살아야 할지’ 쉽게 글을 쓰고 있다. 다양한 예시는 각각의 내용이 현실에서는 어떻게 적용되며, 독자들이 시뮬레이션을 하면서 읽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간결하며,
200페이지 조금 넘는 책에 풍부한 내용을 간결하게 담고 있다. 권리, 의무, 투표와 민주주의, 정의, 공동체, 왜 의무를 지켜야하는지 등, 한 장 한 장의 내용이 한권의 책을 구성할 만한 것인데, 짧고, 간단한 예시로 잘 설명을 하고 있다.

3)의미가 있다.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우리는 왜 의무를 지켜야 하는가?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이 책은 이러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국민의 4대 의무를 외우고 강요된 채로 살아가는 것이 아닌, 더 나은 민주주의를 위해, 공동체 구성원으로, 정의로움을 위한 시민불복종을 포함한, 도전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 진정한 가치라고 보고 있다.


4. 권장

1) 청소년이 읽으면 좋겠다.
이 책은 미래를 꿈꾸고, 어떻게 살아갈지 고민하는 청소년들에게 큰 의미부여를 할 만한 책이다. 청소년기가 세상을 바라보는 가치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며, 청소년기에 읽은 책이 평생 많은 영향이 끼친다고 하는데, 이 책을 읽으면 세상을 보는 혜안이 생길것이다.

2) 논술을 공부하는데도 도움이 될 듯하다.
이 책은 중고등학생들이 논술 공부를 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책 맨 뒤에는 ‘참고문헌과 좀 더 깊이 있는 이야기’ 부분은 앞 장의 서술과 예시들이 단순창작이 아닌 다른 인문사회과학의 고전에서 나오는 예시들이며, 그것을 작가의 관심 분야에 따라 요약하고 분석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작가의 풍부한 인문사회과학적 교양과 논리적인 전개, 명쾌한 주장은 부제의 ‘사회 교과서’라는 말을 더욱 실감나게 한다.

3) 세상을 고민하는 사람들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고민하는 모든 사람들이 읽으면 좋겠다. 특히, ‘공동체, 그 경계에 선 사람들’ 부분은 함께 살아가는 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할지 부분을 많이 고민하게 한다.


5. 이한의 다른 저서

이한은 시민교육센터(http://www.civiledu.org)의 공동대표이자 변호사이다. 저서로는『학교를 넘어서』, 『탈학교의 상상력』이 있고, 번역서로는 『이반 일리히의 유언』,『계급론』,『포스트민주주의』가 있다.

나는 이 책을 포함하여 4권의 책을 읽었는데, 구체적인 예시와 독창적인 제안 등이 나를 책에 빨려들어가게 한다.

시민교육센터에 <정의란 무엇인가>, 존 롤즈의 <정의론> 강의 파일을 올리고 있는데, ‘정의’와 관련한 이한의 책이 나온다면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지 않을까 기대를 해본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