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motoko3님의 서재
  • 소포클레스 비극 전집
  • 소포클레스
  • 27,000원 (10%1,500)
  • 2008-10-10
  • : 5,228

"그녀가 비록 내 누이의 딸이고, 우리 집에서/ 제우스의 보호를 받고 있는 그 누구보다 나와 가까운/ 인척이기는 하지만, 그녀와 그녀의 아우는/극형을 면치 못하리라."(486~489행)  

소포클레스의 비극 <안티고네>에서 크레온이 하는 말이다. 크레온은 안티고네의 외삼촌이다. 아티노네의 어머니 이오카스테는 크레온의 누이이다. 크레온은 안티고네는 말할 것도 없고, 동조하였던 이스메네까지도 용서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다.  

크레온은 포고령을 어긴 안티고네를 결단코 용서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는데, 1)포고령을 어겼으므로, 2)범행을 저지르고 제 소행임을 자랑하며 우리를 비웃는 것이 그 이유이다. 1)의 죄를 지었다면 당연히 그에 합당한 벌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친인척이라고 봐주기 식이 된다면 지엄한 국법이나 왕권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 그런데, 정작 클레온이 흥분하는 것은 2)번의 이유이다.  

크레온:... 네 소행이라고 시인하느냐, 아니면 부인하느냐?(442행) 

안티고네: 내 소행이라고 시인해요. 부인하지 않겠어요.(443행)  

과 같은 앞선 대사에서, 안티고네의 당찬 모습에 크레온은 비위가 상한 상태인 것이다. 해서, 그녀를 처벌하지 않는다면 "내가 아니라 그녀가 남자일 것이오."(485행)라고까지 말하는 것이다. 대사에서 '나'는 크레온이고 '그녀'는 안티고네이다. 한마디로 안티고네를 처벌하지 못하면 나는 남자가 아니다, 라는 말인데, 나는 왕이 아니다 라는 선언보다 남자가 아니라는 말이 더한 각오를 보여주는 듯하다. 여성이 정치에도 참여하지 못하던 시대이니, 남성중심의 시각이 드러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특히, 남녀 차별의 시각 자체가 나타나지 않아야 정상일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백성 가운데 한 사람이 국법에 반기를 든 것인데, 그 백성이 다름아닌 여성인 것이다. 이 드라마의 명대사인 안티고네의 말에 이어지는 크레온의 대사도 그의 남성중심 시각을 드러낸다.  

안티고네: 나는 서로 미워하지 위해서가 아니라, 서로 사랑하려고 태어났어요.(523행) 

크레온: 사랑해야겠다면 하계로 내려가 사자들을 사랑하려무나./내가 살아 있는 한, 여인이 나를 지배하지는 못하리라.(524~525행) 

크레온은 안티고네를 처벌하지 못한다면, 그것이 "여인이 나를 지배하"게 되는 상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안티고네를 용서해달라고 나서는 하이몬_크레온의 아들이며, 안티고네의 정혼자-에게 남자 대 남자로서 클레온이 아들에게 당부하는 대목에서 그의 남성주의적 시각이 극명하게 드러난다.  

"그러니 내 아들아, 너는 향략에 끌려/한 여인 때문에 이성을 잃어서는 안 된다/막상 한집에 살며 악녀와 잠자리를 같이하게 되면/ 품안에서 금세 식어버린다는 것을 알아두어라."(649~651행) 

"결코 한낱 계집에게 져서는 안 된다. 꼭 져야 한다면/ 우리가 한낱 계집에게 졌다는 말을 듣느니/ 남자에게 지는 편이 더 나을 것이다." (678~680행) 

오죽하면 이런 클레온의 말에 코로스장이 "우리가 노망이 든 것이 아니라며, 그대는 현명한 말씀을 하신 것 같아요."라고 비수를 품은 말로 대꾸하겠는가. 안티고네가 "여자이기 때문에" 더욱 용서할 수 없다는 말이 된다.  그리고 하이몬이 논리정연하게 아량을 베풀 것을 요청하자 크레온은 코로스장에게 "보아하니, 이 애는 여자들 편인 것 같소이다."(740행)라고 비아냥거린다. 또한 "못난 녀석! 한낱 계집에게 굴복하다니!"(746행)라고 아들을 안타까워한다. 나아가 "계집년의 노예인 주제에 감언이설로 나를 속이려 들지 마라."(756행)로 쐐기를 박고 아들은 죽음을 암시하는 말을 하고 아버지 곁을 떠난다. 소포클레스의 비극의 주인공인 안티고네가 반정부주의자로, 오랫동안 저항을 의미하는 페니미즘의 아이콘이 되어왔는데, 역설적으로 크레온의 반정부의 기치를 든 사실보다도 그런 그녀가 여자이기에 더 용서가 안 되는 반페니미즘적인 정서가 대립각을 세우면서, 안티고네를 영원한 페미니즘의 아이콘으로 있게 하는 것이다.  <안테고네>에서 크레온은 <오이디푸스 왕>에서 사려 깊고 이해심 깊은 국왕의 측근으로서의 모습을 엿볼 수가 없다.  

이스메네가 "그대는 친아드님의 약혼녀를 정녕 죽일 작정이세요?"라고 아량을 베풀 것을 호소하자. 크레온이 대답한다. 

"그 애가 씨 뿌릴 밭은 그것 말고도 얼마든지 있느니까."(569행) 

라고. "여성을 독자적 인격을 가진 개체로 인정하지 않고 오로지 남성의 정자를 받아줄 자궁으로만 여기는 그의 견해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순간"(한정숙, <안티고네-국가보다 존엄한 인간의 영혼을 위해 죽다>)라고 한정숙은 지적하고 있다. 크레온은 처음에는 국가이성에 충실하려는 통치자의 관점에서 행동하였고 그 나름대로 타당성을 얻을 수도 있었다. 그러나 안티고네와의 대립 속에서 일개 인간인 자신을 국가와 동일시함으로써 고대 그리스적 민주주의의 원칙에서 벗어나 참주적 통치자로 전락한다. "한 사람만의 국가는 국가가 아니라"는(737행) 아들 하이몬이 말을 받아들일 수가 없다.  

크레온" 이 나라를 내가 아닌 남의 뜻에 따라 다스려야 한다고? 

하이몬: 한 사람만의 국가는 국가가 아니지요. 

크레온: 국가를 통치하는 자가 곧 국가의 임자가 아니란 말이냐?

하이몬: 사막에서라면 멋있게 독재하실 수 있겠지요.

크레온: (코로스장에게) 보아하니, 이 애는 여자들 편인 것 같소이다.  

736~740행에 이르는 크레온과 하이몬 부자(父子)가 나누는 대화가 '계집'인 안티고네와 대결하는 동안, 이성이 마비되어버린 크레온의 심리를 단적으로 엿볼 수 있게 한다. 통치자의 바른 모습을 조언하는 아들에게, 내 편이 아니면 여자들 편이라는 편가름이 얼마나 유치한 수준인가?  

그러나 <안티고네>는 투표권은 물론이고 정치에 관여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노예의 삶과도 크게 다르지 않았던 당시의 여성의 처지, 그것을 당연시하는 남성우월주의의 시각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사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에서 오이디푸스가 두 딸, 안티고네와 이스메네야 말로 아들들이 하지 못하는 아들 역할을 한다고 하는 점에서도 안티고네의 당찬 면모가 보이지만, 적어도 <오이디푸스 왕>, <안티고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에 등장하는 남성 주인공들은 하나 같이 굴욕적이고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다는 점에서,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소포클레스를 분석하는 단초를 제공한다고 하겠다.  

최근에 벌어지는 정치인들의 성비하 발언이나 성추행인 줄도 모르는 일상적인 대화에서 사회를 발칵 뒤짚어놓는 사례들을 보면, 그들은 아마도 그리스 비극을 읽지 않았다는 것은 분명하지 않나 싶다. 기원전에 씌어진 작품이 페니미즘의 시각에서 바라볼 때, 얼마나 섬세하게 대사 하나 하나에 공을 들이고 있으며, 남성성과 여성성을 아우리는 혜안을 담고 있는지를...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