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를 꾸준히 해오고 있지만 우리 아이들은 각자 편독하는 분야가 있어서 독해 문제집은 초등 고학년시절부터 꾸준히 풀어왔다. 디딤돌 독해력부터 시작해서 숨마, 빠작 등등..
한창 문해력 열풍불고, 고전읽기라던지 하브루타 등등 유튜브 알고리즘이 이런 주제들만 다루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독서와 독해력은 엄연히 다른 것이라고 생각한다.
독서가 베이스는 맞지만 독서랑 별개로 제 학년에 학습 결손은 없도록 해놓아야 문학이든 비문학이든 잘 풀어나갈 수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책을 많이 읽는다고해서 공부로서의 국어를 다 잘하는 건 아니니까.
수능에서 독서파트 즉 비문학은 독서를 많이해서 배경지식이 풍부하면 더없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을테니 (현실적으로) 비문학 부분만 다룬 문제집은 꾸준히 풀어나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중등 독해집을 완파하고 고른 다음 선택지는 일명 "마더텅까만책".
문학, 독서, 언어 중에 독서를 먼저 골랐다. 창작 소설만 주로 읽은 아이라서 비문학부터..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801/pimg_701241234350608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801/pimg_701241234350608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801/pimg_701241234350608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801/pimg_7012412343506089.jpg)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풀이집이랑 문제집 두께가 거의 같다.
해설지가 그만큼 자세히 나와있는데, 중등 독해문제집이랑은 해설의 깊이가 달랐다.
선지 하나하나 분석 및 첨삭해설이 자세히 나와있어서, 아이가 오답을 체크할 때 혼자서도 충분히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었다.
지문마다 예상 시간이 주어져있어서 타이머로 맞추고 풀었다.
짧은 지문은 시간이 대체로 남았지만 긴 지문의 경우 시간 배분하는 훈련도 되고 좋은 듯 하다.
#마더텅학평기출 #마더텅까만책 #까만책 #고1까만책 #학평기출
#마더텅학평기출 #마더텅까만책 #까만책 #고1까만책 #학평기출 #고1국어독서 #협찬
출판사를 통해 교재만을 지원받아 직접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