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책읽는정원
  • 오직 그녀의 것
  • 김혜진
  • 15,120원 (10%840)
  • 2025-09-30
  • : 13,825

일년 전 제임스미치너의 <소설>을 읽었다. 이렇게 재미난 소설을 너무 늦게 읽은 것이 억울하다는 기분이 들정도였다. 그러나 정말 억울한가..생각해보면, 꼭 그렇지 않을수도 있지 않을까... 소설가가 소설가에 관한 이야기를 쓴다는 건 위험할 수 도 있을텐데, 비평가시선, 편집자 시선 작가의 시선이 이렇게나 다를수 있구나 생각하면서 읽었다. 

<오직 그녀의 것>은 좀더 출판사 속으로 깊숙이 들어온 이야기란 생각을 했다. 그래소 소설이란 느낌보다, 에세이를 읽는 느낌을 받았다. 잘 알지 못하면서 잘 알고 있는 듯한 그곳의 모습을 내 나름대로 그려보게 된,오만이 살짝 작용한 탓일수도 있겠다. 


내 미래를 스스로 알 수 있다면, 오직 나만의 것이 있다는  걸 확신할 수만 있다면 행복할까.. 확신할 수 없는 상태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에 우리 삶이 조금 재미난 걸까... 애초에 내것이라 생각하는 것을 찾고자 했다면, 그녀는 지금, 주간이 되어 지난날을 회상할 수 없을 지도 모르겠다. 부모의 뜻대로, 대학을 갔고, 취직을 해야 할 것 같아 들어간 곳이 출판사였다. 교열이라고는 해본 경험도 없던 그녀가. 교정을 하고... 그리고 독자는 바로 그 순간부터 출판이란 곳으로 여행을 시작하게 된다. 교정과 교열이 다르고, 교정부의 역활이 점점 사라지게 된 이유,저작권의 문제,편집자의 시선으로 작가와 어떤 관계를 맺게 되는지... 책 한 권이 나오는 것이 쉽지 않다는 건 알았지만,상상 이상으로 버겁다는 생각을 했다. 


"책을 만드는 건 인간적인 동시에 기계적인 일이었다. 그것은 많은 이의 시간과 마음이 모여 완성되는 작업이면서 순서와 방식에 따라 한 단계씩 이뤄지는 체계적인 공정이기도 했다"/184쪽


엄청난 과정이 분명한데, 너무 간단하게 정리된 출판 과정은,소설로 읽혀지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겠다. 책을 만드는 일을 드라마 소재로 삼았을 때의 장면을 떠올려봐도 다르지 않다. 책을 애정한다고 자부하는 독자의 시선으로 출판이란 공간을 읽었다. 편집자의 고뇌도 보였지만, 그보다 그 속의 메커니즘을 발견하는 순간들이 짜릿했다. 소설이란 느낌보다 에세이를 읽는 느낌이 들었음에도, 재미나게 읽어낼 수 있었던 이유일게다. 책을 보관하는 장소에서 불이 나는 상황은 상상하고 싶지도 않았으며, 창작자를 이념의 잣대로 유린하는 짓은 더이상 일어나지 않았으면 싶다. 그 이슛을 출판사는 또 마케팅으로 이용하는 구조는 씁쓸한데, 그렇게 해서 양질의 책을 출간할 수 있는 자양분이 되어준다면 기꺼이....딜레마의 연속이다라고 생각하고 보니, 일도, 사랑도, 아니 우리 인생이 그냥 딜레마의 연속이 아닌가 싶다.



"석주는 책들을 가지런하게 정리하고 새책을 끼워넣었다.그 순간 그곳의 책들이 이전과 전혀 다르게 보였다.그것들은 형태나 크기 같은 눈에 보이는 것들로 이뤄진 것이 아니라 누군가의 시간과 감정 같은 보이지 않은 것들이 스며든 결과물 같았다(...)"/84쪽



이번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의 책이 다시 팔리기 시작한 모양이다. 편집자의 인터뷰를 보니, 모두가 반대한 책이었다고 했다. 잘 필리지도 않을 책... 그러나 편집자는  언젠가 이 책이 세상에 엄청난 빛을 보게 될 거라 믿었던 건 아닐까.. 물론 상을 받기를 바란 건 아닐수도 있겠지만, 편집자의 마음에는 잘 팔리는 책 만큼이나, 멋지고 좋은 책을 세상 사람들에게 소개하고 싶은 오직 그녀 만의 무엇..이 있어야 '그림자 노동'을 감내 할 수 있지 않을까... 온전히 편집자의 시선으로 읽어내진 못했지만, 책 한 권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고단함은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