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단지와 신주단지



민간신앙民間信仰에서 조상祖上은 두 가지 성격을 지닙니다.
유교식 제사를 받는 조상과 안방에서 주로 주부가 모시는 것이 조상단지입니다.
조상단지는 조상숭배의 한 형태로 조상의 혼령魂靈이 담긴 것으로 여기고 모시는 단지를 말합니다.
지방에 따라 세존世尊단지(양남), 삼신바가지(안동군), 시조단지, 제석오가리(호남), 부르단지 등으로 부릅니다.
경상도와 전라도에서 농신農神에게 바치는 뜻으로 가을에 제일 먼저 거둔 햇곡식을 넣어 모시는 단지를 세존단지라고 합니다.
삼신바가지는 세존단지의 방언입니다.
조상신祖上神은 원칙적으로 종가宗家에서 모시는데, 조상단지(제석오가리)와 신주단지(몸오가리)의 두 가지 형태로 모십니다.
조상단지는 조상 전체를 포괄하는 상징물로, 한 개를 마련하여 안에는 새로 추수한 햅쌀을 담아 안방이나 마루에 놓아둡니다.
신주단지는 위패位牌나 신주독을 대신하는 것으로, 유교식 조상제사의 대수代數와 마찬가지로 4대 이내로 4개를 놓거나 각 대의 부부를 별도로 해서 8개까지 놓기도 합니다.
신주단지에는 쌀이나 한지를 넣고, 한지에는 조상의 이름을 적기도 하며 뚜껑이 있는 대바구니로 오지그릇을 대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상신은 주로 명절이나 가족의 생일에 모시고 차린 음식을 먼저 조상단지와 신주단지에 바쳤다가 물리며, 불교식으로 술과 고기는 차리지 않습니다.
조상단지를 조상할매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여신숭배사상과 함께 조령祖靈 숭배 및 곡식을 조령의 상징물로 숭상하는 곡령穀靈 숭배 등이 한데 어울려 생긴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조상단지사상은 여성적이고 농신적農神的인 성격과 불교 및 유교적 요소가 융합融合되어 나타난 것으로, 한국 전체 종교의 문화행사를 상징적으로 집약한 것으로 보입니다.
항아리나 바가지 안에 쌀 혹은 천과 실타래 등을 넣어 모시는 조상의 성격은 상당히 복합적인데 대략 생산신, 조상신, 농경신의 요소가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세존 혹은 제석이란 명칭입니다.

제석帝釋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서사무가의 주인공이며 세존世尊(혹은 세존의 잘못된 표기인 시준)은 동해안과 영남지역에서 불리는 제석신의 또 다른 명칭입니다.
따라서 조상단지는 곧 제석을 모신 것입니다.
제석은 외면적으로는 불교의 색채를 띠지만 신화를 분석하면 천신天神의 성격을 지닌 생산신입니다.
서사무가의 내용을 보면 제석이 도술道術로 부모 몰래 규중처녀閨中處女 당금애기와 결합한 뒤 떠납니다.
당금애기는 혼자 세 아들을 낳고 온갖 고초를 겪습니다.
세 아들이 장성하여 하늘로 아버지를 찾아가 가족이 상봉한 뒤 제석은 중을 파합니다.
후에 세 아들은 생산을 담당하는 제석신으로, 당금애기는 삼신三神으로 좌정坐定했습니다.

부녀자婦女子들이 안방에 모시는 일련의 조상단지는 무속의 당금애기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 신으로 보입니다.
조상할아버지가 아니라 조상할매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것이나 삼신바가지와 혼동되는 것이 그 증거입니다.
이들은 남성 중심의 가문을 이어가는 유교적 사상과는 달리 자손을 이어가는 원초적 종족보존을 중요시하는 성격을 나타냅니다.
또한 집안의 생명현상과 풍요로운 농업생산을 동일시하는 사상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말명萬明은 무속신앙에 의하면 무당이 죽은 조상입니다.
말명은 무당의 열두 거리 굿 가운데 열한 번째 거리를 이르는 말이며 무당이 받들어 모시는 신들 중 하나입니다.
일반 가정에서 뒤안에서 항아리에 쌀을 넣은 신체로 모시는데, 험한 죽음을 하거나 무속의 신을 모시던 조상으로 여기기 때문입니다.
조상이 유교와 무속에서 서로 다르게 정의되는 것이 특기할 만합니다.
유교식 조상은 정상적으로 혼인하여 아들을 낳아 대를 이은 영혼에 국한되지만, 무속의 조상은 그 집안사람으로서 먼저 죽은 존재 모두를 일컫습니다.
나이에 관계없이 먼저 죽으면 조상이 되는 것입니다.
특히 제 명을 다 살지 못하거나 험한 죽음을 한 존재는 중요한 조상으로 취급됩니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세 살 먹어 죽은 아들이나 장가 못가고 죽은 삼촌은 비정상적인 죽음을 했기 때문에 객귀客鬼의 일종입니다.
그러나 해당되는 집안에서는 한이 큰 죽음일수록 중요한 조상이 되어 굿을 할 때 독립된 상을 받고 그 한을 풀어주게 되는 것입니다.
결국 유교식 조상에서 제외된 존재가 무속신앙을 통해 대접받는 셈입니다.
가신신앙에서 이들을 따로 분리하여 모신 것이 바로 말명으로 보입니다.

무속에서 군웅軍雄은 장수신, 조상신, 농신 등 다양한 성격을 갖습니다.
가신신앙에서는 잡귀雜鬼를 물리고 소를 보호하는 신격으로 믿어 부엌문이나 외양간 앞에 신체를 모십니다.
또한 업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재복신입니다.
진도 씻김굿에서는 당골이 제석굿 가운데 업청을 불러 집안에 복을 불러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