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 속으로의 도피...
46살 언니의 죽음으로 삶은 극도로 혼란스러워졌고 거기서 탈출하기 위해서 택한 방법, 삶으로부터의 도피가 아닌 삶 속으로의 도피, 독서!
1년 간 하루에 한 권 프로젝트를 실천하며 독서 여행 속으로 빠져드는 니나 상코비치. 도서관과 서점에 자주 가서 300페이지 이내의 책 중에서 일단 눈에 들어오는 제목의 책을 골랐다고 한다. 1시간에 70여 페이지를 보고 있는 자신에게 주어진 모든 일상을 제외하고 확보할 수 있었던 4시간. 그것도 가능하기 위해서는 온 가족의 협조가 필요했다고 한다. 순번을 정해서 반복적인 집안일을 나눠야 했고 모든 짬시간을 독서하는데 할애해야 가능했던 것. 남편이나 아이들이 참 착한 것 같다.
니나가 즐긴 책들이 뭘까 궁금하여 서점에서 찾아보았지만 대부분 찾을 수가 없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 번역이 되지 않았나 보다. 궁금한 책들도 많았는데...
4시간여를 읽고 그날 그날 바로 바로 서평을 적었다. 서평 적는 데에도 적지 않은 시간을 들여야 했을텐데 정말 대단한 일이다. 
저자는 언니의 죽음으로부터 밀려온 슬픔을 1년간 하루에 한 권 독서 프로젝트를 경험하며 '죽음'으로부터 도망가는 것이 아닌 '죽음'을 받아들이고 자신에게 주어진 '삶의 카드'를 잘 사용하기 위해서 삶의 대한 자세를 바꿔나가게 되었다. 독서. 독서는 결국 수많은 간접경험과 타인의 심오한 생각을 엿보고 함께 공감하거나 고민하면서 나의 가치관과 삶의 자세를 바꿔가게 하는 것인가 보다.
나에게 남은 나날이 얼마인지 알 수는 없지만 이제부터라도 나도 그 세계에서 허우적되고 싶다. 이 얼마나 가슴 벅찬 일인가. 그 무한한 세계로 나도 들어간다. 이런 세계를 뒤늦게나마 알게되어서 너무 감사하다.

혼자 편지 쓰는 시간>,<혼자 책 읽는 시간> … 총 14종 (모두보기)

 
소개



비틀거리는 삶을 일으킨 위로와 치유의 독서기. 저자 니나 상코비치는 사랑하는 언니가 죽은 후, 3년 간 슬픔을 잊으려고 바쁘게 살았다. 그래도 허무함만 남던 어느 날, 400쪽이 넘는 책을 하루 만에 읽고 처음으로 편안하게 잠이 든다. '하루에 한 권, 마법 같은 독서의 한 해'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밖에 없었던 숙명적인 계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는 이유를 알려준 <고슴도치의 우아함>을 시작으로 언니를 먼저 보냈다는 죄책감을 떨치게 해준 <우연히>. 과거의 사랑을 추억하고 지금의 사랑은 인정하게 해준 <사랑의 역사>, 그리고 독서의 한 해가 끝날 무렵에야 비로소 이해할 수 있었던 톨스토이의 <위조쿠폰>까지, 날마다 책 속 인물들은 어떻게 살아가는지, 그들이 생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시련을 넘어왔는지 관찰했다. 여기에 실린 365권에 대한 이야기는 마음 속 상처를 다스리고, 풀어낸 치유의 기록이다. 

보랏빛 독서 의자에서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책만 읽었던 1년은 오로지 자신만을 위한 시간이었다. 저자는 바쁜 나날에서 잠시라도 떨어져 나와 쉬는 것만으로도 뒤집어진 삶의 균형을 복원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것은 오후의 뜨개질, 나홀로 산책일 수도 있고, 혹은 저자처럼 홀로 책 읽는 시간일 수도 있다. 공감의 힘이, 위로의 장소가, 즐거운 지적 자극이 필요한 이들이라면 '혼자 책 읽는 시간'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