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운명을 탐구하는 철학이라면 

그 철학의 이미지들을 인정할 뿐 아니라 

그들에 순응하고, 또 그들의 흐름을 지속시켜야 한다." 


<공기와 꿈> "결론"의 마지막 문단. 끝에서 세번째 문장. 남은 두 문장도 번역한다면: 

"인간의 운명을 탐구하는 철학이라면, 그 철학의 이미지들을 인정할 뿐 아니라 그들에 순응하고, 

또 그들의 흐름을 지속시켜야 한다. 그 철학은, 명백히 살아 있는 언어여야 한다. 그 철학은 "문학적 인간"을 터놓고 연구해야 하는데, 문학적 인간이야말로 명상과 표현의 절정, 사유와 꿈의 절정이기 때문이다." 


이 문장이 영어판에서는 이렇게 되어 있다: 

A philosophy concerned with human destiny must not only admit its images, but adapt to them and continue their flow. 


불어판에서는: 

Une philosophie qui s’occupe de destin humain doit donc non seulement avouer ses images, mais s’adapter à ses images, continuer le mouvement de ses images. 


한국어판은: 

인간 운명에 골몰하는 철학이라면 따라서 제 고유의 이미지들을 고백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이미지에 적응하며 또 그 이미지들이 갖는 운동을 계속 펼쳐 가야 한다. 



<공기와 꿈>의 "결론"은 

상상력의 니체주의, 혹은 니체 사상에서 일어나는 상상력으로 철학하기. 

이 책의 니체 장에서 탐구한 바인 이것의 재확인, 재긍정 같은 내용이고 

일단 "니체의 경우 시인이 철학자다" 이걸 설득력있게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비슷한 주장을 한 이들은 많지만, 바슐라르처럼 해보인 사람은 없다. 바슐라르가 유일) 

바슐라르의 사유가 진정 대담하고 자유로운 사유라고, 그렇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인데 


오늘 오전 저 문장에서 그 점 새삼 다시 보면서 감탄했다. 

저 문장도, 실은 니체주의를 그리고 니체를 그렇게 읽는 자신을 옹호하는 문장이다. 니체 철학이 "인간의 운명을 탐구하는 철학"이고 그 철학이 가진 이미지를 "인정하고, 그에 순응하고 그를 지속시키는 일"은 바슐라르 자신이 하고 있는 일. 


그런데 이 문장에서, "그 철학은 인정해야 한다" 부분의 영어 문장 동사 admit은 

불어판에선 avouer. avouer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주된 의미는 "고백하다"지만 "(을) 자신의 것으로 인정하다 (자신의 적자로 인정하다)"는 뜻도 있고 에문들을 보면 "(의) 편에 서다" "옹호하다" 같은 의미가 있음을 알게 된다. 


불어를 잘 모르는 사람이 사전을 한 번 찾는 것만으로도 

이 단어가 실은 대단히 의미 충만한 방식으로 쓰이고 있음을 알게 되는 대목. 

""이미지"가 어떤 철학에선 불가결한 요소임을, 그 철학에선 "이미지"가 철학하고 있음을, 철학계는 인정하라!" : 바슐라르는 avouer 한 단어로 이런 메시지를 담을 수 있었고 담았던 것이다........ 


고 생각하면서 쓰고 있는 포스트. 

불어를 잘 모르므로 확신하진 않는다. 그렇지만 책 전체, "결론"의 내용, 이 문장의 앞뒤 문맥을 보면 

이렇게 보는 게 진정 맞아 보인다. 나말곤 누구든 나노미터로도 측정 안될 정도만 관심 있는 문제겠지만 

............. (혹은 내가 그렇게 쓰고 있지만) 다른 건 몰라도 작가의, 사상가의 연구는 그 사람이 쓴 그 언어를 알지 않고는 못한다는 게 맞다. 같은 생각도 적어둘 수 있겠다. 아효 그래서 이거 못하겠다..........ㅋㅋㅋ;; 어느 세월에. 쪽이기도 하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17-01-13 06: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미지가 담고 있는 메시지들을 한참 생각해 본 아침, 이 글이 참 와닿습니다...

몰리 2017-01-13 12:00   좋아요 0 | URL
바슐라르의 이런 입장을 할 수 있는 한 잘, 말해볼 수 있게 해야겠습니다..!
 



1월 10일은 미국의 역사학자 스티븐 앰브로즈의 생일이라고 

Writer's Almanac이 전해주었다. 그의 부친은 의사였고 그도 의사가 될 계획이었는데

위스컨신 대학 예과(pre-med) 2학년에서 수강했던 미국 역사 과목이 그의 전공을 바꾸게 했다. 

그 과목 기말 페이퍼는 "아직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은 위스컨신 사람 1인을 택해 그의 전기를 쓰기. 위스컨신 주 역사 협회 소장 자료를 활용할 것"이라고 담당 교수가 말하는 순간 


그에게 한 번도 떠오른 적 없는 

세상의 지식의 총합(sum of world's knowledge)에 자신이 기여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떠올랐고 

그건 마치 망치로 얻어맞은 느낌이었다고. 그는 10페이지 분량 기말 페이퍼를 제출했고 전공을 역사학으로 바꾸었다. 


위키피디아를 찾아보면 그는 36년생이고 02년에 66세로 타계했다. 

구글 이미지로 찾아보면, 노년의 그는 아주 늙어 보이고 (80대 중후반) 

그래서 구글 이미지로 먼저 그를 찾아본 나는 그가 실은 66세에 타계했음이 

이상하다 느껴지기도 했는데, 조금 더 읽어보면 말년의 몇 년 동안 평생 나름의 명성을 쌓은 

학자에겐 감당이 쉽지 않을 추문에 휩싸이기도 했나 보았다. 다수의 표절. 그가 택한 사료들의 부정확성. 


애초 그는 "팝" 역사학자인가 보았고 

닉슨 전기, 아이젠하워 전기, 그리고 여러 2차대전 역사서들로 유명했는데

그의 베스트셀러들은 표절... 이 진정 추문이 되기가 애매한 영역에 있는 책들. 그 자신 바로 

그 지점에서 자신을 변호했다고 한다. ("나는 박사논문을 쓰는 게 아니라 사람들이 읽을 이야기를 쓴다"). 

그러나 그의 박사논문부터가 표절이었다.......... ;;;;고. 


위키피디아만 검색해도 바로 나오는 이런 논란들이 있는데, 마치 그가 "이 세계 지식의 총합"에 기여한 

중요하고 뛰어난 역사학자인 것처럼 소개할 수는 없지 않나. 청취자가 몇만은 될 인기 팟캐스트에서. 


그렇긴 한데, 인문학에서 "이 세계 지식의 총합"에 기여한다는 건 무슨 뜻이고 

어떻게 그게 가능한가. 이 점 생각해보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경우엔 대학 3학년 여름방학부터 초가을까지 한 3개월 

서머셋 몸의 이 소설을 모르는 단어 없고 해석 안되는 문장 없게 "떼고" 나서 

영어 독해에 자신이 생겼다고 기억한다. 그 전까지는, 영문과라서 1학년부터 

대단히도 어려운 글들을 그냥 읽어야 했는데 무슨 뜻인지 모르니 좌절을 체험하지만 

그냥 넘어갔던 수많은 문장들이 있었을 것이다. 이 소설로 영어 문장 이잡듯이 공부하면서 "떼고" 나니 

어떤 문장을 주든, 사전 참고가라면, 해석할 수 있다고 자신할 수 있었던 듯. 


이 책 이미지 찾아보니 

조금 세련된 이미지도 있다. 

내가 썼던 책은 복제본을 비싸게 팔던 종로의 한신문화사, 거기서 샀던 복제본.  

위의 표지. 


순수히 '수단'으로만 썼던 책이라선가, 그렇게 열심히 읽었음에도 

내용이 (폴 고갱을 모델로 했다 정도 빼고, 책을 읽어야 아는 것도 아닌)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 

아 폴 고갱이 모델이고, 그 인물은은 보헤미언인데 길을 잘못 들어 직업인의 삶을 살다가 늦게 자신을 

발견한 후 아내와 가족을 버리고 화가로, 예술혼을 불태우며, 살기 시작함. 이런 방향이었나. 그게 이 소설이 

퍼뜨린 고갱에 대한 틀린 소문? 하여튼 더 기억한대봐야 이 정도. 책을 지난 긴 세월 어느 지점에서 잃어버렸고 

다시 사진 않았기 때문에, 하여튼 영어 독해력 늘려주고 그것만 하고 사라진 책. 






불어책으로 전체를 읽은 책은 아직은 이것이 유일. 

시나리오고, 영화를 여러 번 봤기 때문에 그냥 막 이해되는 문장들도 있었다.  

시나리오고, 영화를 여러 번 봤음에도 거의 전부 바삐 사전행, 골똘히 궁리행.. 해야 했다. 이기도 하고. 


보통은 <어린왕자> 선택하는 것 같다. 

내게도 <어린왕자> 영어판, 불어판, 한국어판 있는데 

........... 어쩌다보니 살고 만 긴 세월 동안 취향이 결정적으로 바뀌었는지 

읽을 수 없는 책이 된 <어린왕자>. 공부용으로도 읽을 수 없던 책. 


부르주아의 혐오에서 

예술을 향한 집착에서 

자기 예술을 위한 완벽주의에서.... 무수히 욕하고 감탄하는 플로베르를 무수히 머리 뽑으며 읽는 쪽이 더 재미있을 듯. 


흐으. 하여튼. 이 오후. 조용히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은 복된 시간. 은총의 시간이다. 

그러나 공부하지 않고, 포스트 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국 작가들 대담 팟캐스트 Other People 진행하는 브래드 리스티가 

유튜브에 올린 모친 인터뷰. 별 생각 없이 클릭했다가 웃기도 웃었지만 여러 번 생각하게 되던 클립. 

핑크 플로이드 Mother 대사를 그대로 질문으로 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엄마, 모르고 당함. ;;;; 


Mother, do you think they'll drop the bomb? (No). - 웃음 - 
Mother, do you think they'll like this song? (No). 
Mother, do you think they'll try to break my balls? (Oooh!)
Ooh, aah, mother, should I build the wall? (Sure). 

Mother, should I trust the government? (Not necessarily). 


팟캐스트에서 브래드 리스티는 

자신의 부모, 성장 환경, 성장 이후 가족 관계(대학, 대학 졸업 후... 지금까지)에 대해 

많은 얘기를 했고 요즘 다시 듣기 시작했는데 요즘도 마찬가지. ㅋㅋㅋㅋㅋㅋㅋ 자주 얘기한다. 

그래서 그의 성장과 가족에 대해, 거의 친한 친구 수준으로 알고 있다는 느낌까지 든다. 

아도르노가 자란 것 같은 이상적인 환경. 적어도 가족 안의 '인간' 관계에서는 어떤 비틀림도 이상함도 없었던 유년기. 

미국에서 좋은 부모, 혹은 좋은 부모가 되려 애쓰는 사람들이 자식에게 하는 그들 방식의 희생에 대해서, 브래드 리스티가 말해주지 않았다면 내겐 아무 감도 없었을 듯. "중간계급이 문명의 가장 위대한 성취" 이런 말을 어느 꽤 유명한 시인이던가, 누군가가 어느 대학 졸업식 연설에서 하기도 했다. 그런 말의 진실을 보게 하는 중간계급 가족. 


그의 팟캐스트 애청자던 시절에도 그랬지만 다시 들으면서 새삼 생각하게 되는 건 

그가 게스트에게 보여주는 놀라운 친화력, 대화력. 진짜로 대화하는 일. 당연히 그 편에서 이름만 아는 정도인 작가도 출연하는 데 (만나기 전 책은 읽으려 하지만 언제나 다 읽지는 못하기 때문에), 바로 그리고 내내 베프들처럼 얘기한다. 미국이 모르는 사람들 사이에도 격식없이, 만나자마자 퍼스트네임 부르고 하는 문화이긴 하겠지만, 이 팟캐스트의 이런 면은 리스티의 능력 덕도 크다고 생각한다. 


그게 조금 이상해지는 건 게스트가 젊고 매력적인 (외모가, 혹은 말투가. 혹은 둘 다) 여자 작가일 때. 

둘이 썸타는 것 같아지고, 대담 끝나면 둘이 사고치는 거 아냐? -- 같아지는 일. 한 번 그게 이상하다 느껴지면 

그가 늙은 남자 작가와 대화할 때도, 바로 그 점이 이상해진다. 


정. 오지랖. 등등 

우리가 타인과 지나치게 밀착함을 보여준다는 말들이 있지만 

하지만 우린 저런 대화는, 못하지 않나. 만약 한다면, 그 이유 때문에라도 (그 대화 자체가 갖는 그 힘 때문에, 그게 아니면 아님에도) 연애하거나 사귀게 되는 일 있지 않나. 어쨌든 강압적 밀착은 흔해도, 진짜로 말하고 진짜로 듣는 일은 드물게만 있지 않은지. 듣지 않으려 하는, 혹은 듣는 척은 하지만 이해하지 않겠음을, 대강 이해하는 척만 하겠음을 온몸의 기운으로 발산하는 사람에게 마지막으로 말해 본 것이 당신은 언제입니까. ;;; 


미국인 전부가 리스티처럼 대화한다거나 

우리 중 누구도 진정한 대화를 하지 못한다.....는 건 물론 ;;; 아니다. 

그런데 박근혜처럼 말하는 게 그게 그 자체로 얼마나 이상한 건지, 그 이상함에 대한 충격이 

그가 대통령이 되지 못하게 할 정도는 아니었다는 것이, 우리의 상대적 대화 무능, 대화 부족과 

닿아 있지 않은가 생각해 봄. 박근혜만이 아니라 공허하고 영혼없이, 혹은 언제나 싸우듯이 고함치며

말하는 사람들이 엘리트고 지식인이고 그렇다는 건, 어디서나 누구나 잘 듣지도 잘 말하지도 못하기 때문. 

*이라고 매일 하는 생각 되풀이.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어 표현 중 

come into one's own, 이런 표현 있다. 

자기 삶에서 바라던 어떤 성취, 혹은 성공을 획득하다... 이런 의미일 수도 있고, 

그보다 좀 더 모호하게, 자신에게 있던 힘이나 재능을 자기 것으로 소유하게 되다... 같은 의미로도 쓰인다. 

(좋은 의미에서, 성장의 결과로), 자기 인식에 혹은 자기 확신에 혹은 자기 표현에 도달하다. 


두번째 의미를 지금 찾아본 The Free Dictionary에서는 "to get possession of what belongs to one"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짧지만 강력하고 명료한 정의이고, 이 표현 하나가 하는 '철학'이 있지 않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self-possession, 이 표현과 중요한 의미에서 연결될 표현이기도 하겠고. 


come into one's own, 혹은 self-possession 

이런 일이 일어나게 하는데 가장 도움 주는 활동(?)은 

역시 독서가 아닐까, 그리고 독서 중에서도 그 본성상 빠르게는 할 수 없는 독서, 

느리게만 할 수 있으며, 느리게 할 때 넓어지고 깊어지는 독서, 느리게 할 때 다른 세계가 천천히 열리는 독서... 

이런 생각을 오늘 산책 나가기 전 하다가, 적어 둠. 


모더니즘의 걸작들이 다 저렇게만 접근 가능하다. 이들이 실현한

도저히 빠르게 읽을 수 없음. 이게 무슨 뜻인가에 대해선, 어쩌면 정말 

아무리 탐구해도 끝이 없을 수도.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7-01-11 07: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1-11 08: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hnine 2017-01-11 09: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진 속의 책은 무슨 책일까요? 전 분명 안읽은 책일테고...^^ 큐 가든이 보이고, 차를 마시고 어쩌고 하는 문장이 슬쩍 보이는 걸 보니 작가가 영국 사람인가 추측만 해봅니다. 답은 몰리님이 알려주시겠지~ 하면서요 ^^
저는 own이라는 단어 보면 영화 My own private Idaho 가 생각나요. own에다가 private이기까지, 제목에 끌리지 않을 수 없는 영화였지요.

몰리 2017-01-11 12:23   좋아요 0 | URL
저 책은 버지니아 울프의 단편집일 거에요. 단편들이 전집으로 묶이기도 했는데
단편들 중에서 일부만 (그런데 여러 다른 제목으로) 묶은 책들이 있습니다. 오른쪽 페이지의 The Mark on the Wall, 이것도 대표 단편 중 하나여서, 이거 제목으로 나온 단편집도 있어요 (The Mark on the Wall and Other Stories.....). The Mark on the Wall, 이것도 정말 미친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ㅋㅋㅋㅋ (느낌표를 남용합시다.....)

오른쪽 페이지 밑에,
How readily our thoughts swarm upon a new object, lifting it a little way, as ants carry a blade of straw so feverishly, and them leave it.... 이 문장도, 왜 좋은지 설명하라면 버벅대겠지만 좋네요! 최고. 울프가 영문학에 어떤 기여를 했나는 이 문장 하나만 봐도 알 수 있지 않느냐...... 고 오바하고 싶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