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다리를 오를 능력이 있는 이들은 올라간 다음 사다리를 치우거나, 

아니면 그들의 친구, 그들과 같은 편, 그들의 친척들이 올라올 수 있게 선별적으로 사다리를 (낮은 곳으로) 내려보낼 

길을 찾을 것이다. 이걸 달리 말하면, "능력주의는 과두제다."" 


이 말 출전인 크리스 헤이스는 79년생. 언론인. 브라운 대학 철학과 졸업. 

이 주제로 책을 쓰기도 했다. Twilight of the Elites: America after Meritocracy (2013). 

기회의 평등이 모두에게 보장되지 않는 한, 능력주의는 허구일 뿐. 이런 주장에도 물론 진실이 있지만 

기회의 평등이 제도로는 붕괴했고 (혹은, 실은 존재한 적도 없었고) 허약한 이상으로만 근근히 존재한다 해도 

그래도, 결과 평가의 공정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기만 해도, 능력주의가 평등을 재분배하는 역할을 할 것 같다. 


한국에선 기회의 평등이, 그게 제도로는 꽤 오래 강고히 존재한 편임에도 이념으로는 부재했나? 

지금은, 제도로든 이념으로든 완전히 붕괴했나. 


어쨌든 한국에선, 아직 "after meritocracy"를 말할 수 없고 "before meritocracy". 

한국의 거의 모든 조직에서, 플라톤이 한 적 없는 말인데 플라톤이 출전이라며 돌아다닌다는 "정치 외면의 대가는 열등한 인간에게 지배 받기"와 비슷한 일이 언제나 일어나고 있을 것 같다. 박근혜 최순실처럼 말하므로 번역기, 가 없다면 녹음기라도 필요한 상사들도 곳곳에 있겠지. 노무현과 문재인, 노무현과 안희정, 이들 관계에 과하게 감격하게 되는 건 내가 한국인이기 때문. 그렇지 않나. 


청년들의 꿈이 공무원, 교사인 나라에 무슨 미래가 있느냐. 

청년들이 그러는 건, 잘하고 하고 싶은 일을 열심히 한다면 오게 될 보상. 그게 극히 불확실함도 이유 아닌가. 

그러니까, 어디서도 사실 능력주의 하지 않는다는 것. 어떤 분야에서 성공하려면 그걸 잘하는 데다 하고 싶으며 열심히 함. 그걸로 족하지 않고 이것들 외에, 어쩌면 그보다 더 중요한 게 "영혼을 팔 준비 되어 있음" 혹은 "영혼은 일찌감치 팔았음" 아닌가? 아닙니까? 이런 생각은, 내게 온 망상의 순간인가. 영원히 절박하게, 끈을 찾아서. 사다리 내려 줄 은인을 찾아서. 


"1883. 공립, 세속, 무상, 의무 교육 법령 선포. 이를 통해 민중의 침대에서 태어난 아이들이 공화국의 사다리를 오를 수 있게 하다. 1884. 가스통 바슐라르 출생...." 어쨌든 바슐라르의 이런 연보는 감동적이고, 교육에서(교육에서만이라도) 기회의 평등은 영원히 제도와 제도의 이념으로 정착하고 남아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버지니아 울프 사후 

레너드 울프가 그녀의 방대한 일기에서 발췌 편집하여 1권으로 A Writer's Diary가 나왔고 (위)

울프 연구자들도 이걸로도 많이들 인용하기도 하는데, 그래도 전부 5권으로 나온 The Diary of Virginia Woolf 이것이 그녀 일기의 진경 (진짜 경제학이다...... 아 아닙니다). 나는 무수히 무진장 놀라면서 읽었다. 무슨 일기가 이렇게 고퀄이야. 누가 이런 걸 일기로(일기에) 써. "천재는 낭비한다"던 니체는 진정 옳았어. 


강인한 섬세함. 울프 자신 그런 감수성이겠지만, 다른 작가들에게서도 같은 면모에 반했음을 알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재능 혹은 에너지를 말할 때 "얼음"과 비교하기. 1920년의 일기에서, "그것은 무력감이다. 얼음을 자르지 못한다는. It's a feeling of impotence; of cutting no ice." 쪽수를 적어두지 않아서 지금 원문 찾지는 못하는데, 누군가의 재능에 대해 "그가 가진 것 같은 재능은 꽉 잡는다. 그것은 하고자 하면 얼음을 자른다." "얼음을 자르는 철사의 힘, 그에게 그 힘이 있다." 





Les belles lettres에서 바슐라르 책. 바슐라르의 시학을 논의하는 장에, "집(거주)"의 주제에 대해 하이데거와 비교하는 긴 대목이 등장한다. 바슐라르와 하이데거는 같은 주제에, 같은 문제의식에서 그러나 아주 다르게 생각하고 썼던 두 사람일 거라고 나만 알아본 줄 알았는데 (영어권 연구자들 중 이에 대해 쓴 사람은, 없다), 아니었고 둘을 비교한다면 해야할 중요한 얘기는 이미 이 책에서 다 나오고 있을 것 같다는 실망 + 신기함 속에 한 줄 한 줄 보고 있는 중. 


모르는 단어는 모두 사전 찾고, 구문을 이해 못하겠으면 구글 번역도 동원하고 

그렇게 해독한다 해도, 아주 간명한 문장들 제외하면 이 문장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무슨 말을 

하고 있지 않은지, 온전히 확신하지는 못하면서 보는 것이고 그러고 있다 보니 "얼음을 자르는 철사의 힘" 이것이 

텍스트 해독(독해) 차원에서도 절대적으로 필요한 무엇이라는 생각이 듬. 정말 쉬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익. 이렇게 슉슉 자르는 이해를 해야 하는데 말이다. 


불어 공부하겠다고 사들인 책들이 사실 많아서..... (동사만 따로 다룬 책도 있고 등등) 

필요한 건 시간. 시간인데, 페이퍼는 언제 쓰고 ㅜㅜ 정규직, 정규직은 언제 되긴 할 건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galmA 2016-12-18 03: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집을 구성하는 유별난 상상 구조에 있어서 가스통 바슐라르는 다락과 지하실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부여하고 있다. 송두리째 지상단층뿐인 집ㅡ아파트도 결국은 그와 마찬가지지만ㅡ에는 매우 중요한 한 가지 차원이 결여되어 있다. 걸어올라가고 그에 맞먹도록 걸어내려오는 행위로 이루어진 수직적 차원이 빠져 있는 것이다. 이 수직적 차원을 물적으로 실현해놓는 것이 바로 계단이다.
ㅡ미셸 투르니에 <짧은 글 긴 침묵> 중에서 [계단의 정신]
투르니에도 공간에 대한 많은 에세이를 남겼죠. 참고로 투르니에도 바슐라르를 매우 존경했습니다.

몰리 2016-12-18 04:52   좋아요 1 | URL
맞아요! <생각의 거울>(<상상력을 자극하는 시간>), <흡혈귀의 비상>에도
바슐라르를 인용하고 논의하는 (아니면 어쨌든, 강력히 연상시키는) 대목이 있지 않나요. <생각의 거울>은 오래 전에 봤던 책인데, 그런 대목을 읽었던 것 같습니다. <흡혈귀의 비상>은 실제로 본 적은 없는 책이지만요. 그의 출세작 <방드르디>에도, 바슐라르의 영향으로 볼 대목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바슐라르가 없었다 해도 투르니에 혼자서 했을 생각이고 상상이라 하더라도, 그런데 바슐라르는 있었고 그는 바슐라르를 읽었으며 그래서 그의 이 책은 그 면면이 바슐라르의 사유, 문장과 공명하고 대화하면서 쓰여진 책. 이라고 (저 혼자, 멋대로) 생각합니다.

<공간의 시학>에 다락방과 지하실에 대해
정말 늠늠 좋은 문장들이 있지요. ˝오직 철학자들만이 1층에 살도록 처단되는 것일까.˝ 하나의 단어에도, 다락방의 의미와 지하실의 의미와 1층의 의미가 있는데, 1층의 의미 외의 의미를 배제하려는 철학자들을 향해, 저런 문장으로 질타하시기도 하고. 어떻게 이런 문장들로 이런 책을 썼을까. 참 경이로운 책.
 

















bbc radio3에서 하는 팟캐스트 중 Arts and Ideas가 있는데 

며칠 전 업로드 주제가 "A Brexit Reading List"였다. 시작할 때 

최초의 "포스트-브렉시트" 소설이라는 알리 스미스의 위의 소설 (올해 8월 출간)에서 인용한다. 


All across the country, people felt it was the wrong thing. 

All across the country, people felt it was the right thing. 

All across the country, people felt they really lost. 

All across the country, people felt they really won. 

All across the country, people felt history hit their shoulder. 

All across the country, people felt history meant nothing.


나라 어디서든, 사람들은 그게 틀렸다고 느꼈다. 

나라 어디서든, 사람들은 그게 옳다고 느꼈다. 

나라 어디서든, 사람들은 이제 졌다고 느꼈다. 

나라 어디서든, 사람들은 이제 이겼다고 느꼈다. 

나라 어디서든, 사람들은 역사가 그들의 어깨를 두드렸다고 느꼈다. 

나라 어디서든, 사람들은 역사엔 아무 의미도 없다고 느꼈다. 


더 이상 단순할 수 없는 이런 문장들도 

곳곳에서 번역의 문제를 제기한단 생각이 새삼스럽게도 든다. 역시 번역은 정말, 심오하고 중대한 일. 

그냥 아무렇게나 하는 (나같은) 사람이 있고, 예술이자 과학이게 한 사람들이 있고. 


나는 특히 끝의 두 문장에서, 이게 바로 최근의 내 심정.... 이라며 격하게 공감했다. 

역사가 어깨를 두드리는데, 하지만 아무 의미도 없을 것 같은. 무의미라는 게, 사건들이 향하는 경로나 방향이 없을 것이다의 무의미가 아니라 혹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을 것이다 같은 것도 아니고, 역사 vs. 개인의 구도면 개인은 순간 소실점을 향해 질주한다 같은 무의미. (털썩). 그를 끌어다 어떻게 도로 출발선에 세울 것이냐. 


저 문장들에 탄복했고 

현역 작가들을 읽어야겠다는 다짐을 하였습니다. 


출연자들이 제안한 "브렉시트 이후 읽을 책들"엔 다음의 것들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땅콩 얘기 쓰고 나니 

<식스핏언더>에서 그 명대사 기억하지 않을 수 없다. 


1시즌에서 고3인 클레어. 아주 우등생은 아니지만 대학 가려고 공부 조금 시작하려는 클레어가 

가브리엘을 만나고 공부를 등한시하게 됨. 클레어가 몰고 다니는 차, 피셔네 장의사에서 쓰던 장의차에서 

클레어와 가브리엘이 처음 섹스를 하게 되는데 클레어가 가브리엘의 발가락에 집착한다. 그랬다는 게 

가브리엘에 의해 전교에 소문이 남. 모두가 그렇다고 알면서 클레어를 놀리는 가운데, 클레어 차는 낙서도 당함. 

Foot Slut. Toe Sucker. 


그 사실을 놓고 놀리는 남학생에게 클레어가 하던 말: 

야 너 너랑 잤던 파커 맥케나에게 듣자니 

고환이 땅콩만 하다면서? 그것도 하나라면서? 


으 이거 최곱니다. 실제 장면으로 봐야 하는데 

유튜브에서 찾아지지 않는 이걸, 디비디에서 캡처하는 법을 아직도 몰라 (디비디가 오래 전 거라서 안되는 것일 수도) 

올리지는 못하지만 하여튼 최고에요. 그냥 말로 적어선 역부족. 클레어의, fuck you all 정신. 자길 놀리는 남학생만을 향하는 게 아니라 세계를 향해. 조롱하고 반짝이며 맑은 눈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것도 어제 받은 책. 표지를 열고 "해설"로 가면, 이런 문장들로 시작한다: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는 자연 재난, 혹은 기적이 일어났다는 보고를 듣는다면 

우리가 묻고 싶을 종류의 질문들을 강제한다. 어떻게? 왜? 근거는? 그 근거가 설명불가인 이유는? 


그는 미국의 오리지널이었다 (He was an American original). 그에게 주어진 79년 세월 동안 윌리엄스는 

적어도 두 개의 삶을, 광적인 열기(강도) 속에 살았다. 40년간 그는 의사 -- 산과와 소아과 -- 였고 뉴저지, 러더포드의 

작은 산업 도시에서 개업했다. 그 자신의 계산으로 백오십만 명의 환자를 보았고, 2천명의 아기를 받았다. 이건 1910년에서 1951년 사이의 세월인데, 병원에 자동응답 서비스가 도입되기 전의 일, 주식투자도 하는 의사들이 많아지기 전의 일이다. 윌리엄스는 노예처럼 의업에 종사했다. 그 일로 그는 큰 돈을 벌지도 못했고 특별히 높은 지위에 오르지도 못했다. 대신, 그 일이 그에게 그리고 우리에게, 가치의 너머에 있는 다른 삶, 예술의 삶을 주었다."  


누가 또 그랬나는 얼른 생각나지 않지만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같은 사람들이 보여주는 미국식 금욕, 근면, 정신의 세계가 있는 것 같음. 언제나 어디선가 누군가는, 생업엔 생업대로 그러나 다른 소명에도 헌신함. 혹은 어쨌든 속임수 없이 꾸준히, 자기 길을 감. 그러는 사람들이 비율이; 우리보다 높은 것 같다. 







막 맥주 마시면서 올해 시작한 서재질에 대해 쓰고 싶어졌다. 

그래서 맥주는 사왔고, 마시기 시작함. 나에게 서재질은... 휴식같은 친구. 

"내 좋은 여자친구는 가끔씩 나를 보면 얘길해달라 졸라대고는 하지. 남자들만의 우정이라는 것이 

어떤 건지 궁금하다며 말해 달라지. 그런 때 난 가만히 혼자서 웃고 있다가..." 이 가사, 좀 헷갈리지 않았나? 

그래서 휴식같은 친구가 여자친구야 남자친구야. 남사친 쪽이 분명하긴 한데, 왜 남사친을 찬미해?  

왜 여자친구에게? : 이런 혼란이 이 노래 나온 당시 들을 때 있었다. 


미국 있던 시절 좋아했던 안주 중엔 땅콩, 특히 버지니아주 특산 엑스트라-라지 땅콩 있었다. 

처음 알았을 때, 오오 땅콩이 엑스트라 라지래. 막 대추만한 거 아냐? 엄청난 기대 하며 찾음. 그 정도는 아닌데 

분명 보통 땅콩보다 비범하게 크긴 했다. 땅콩의 그, 목 메이는 느꺼움이 증폭됨. 지금은 살찐다고 땅콩류 잘 먹지 

않지만, 땅콩 안주로 맥주 먹던 그 시절의 어떤 시간이 그리워질 때도 먹지 않지만, 이미지 검색해 보았다. 저런 것. 


그 시절이 그리워질 때 이유 중에 좀 이상한 이유도 있는데, 정비된 체제.. 를 향한 갈망. 그것은 '권력의 사유화'가

차단되는 체제. 대학원 안에서도 제대로 작동하고 있었다 기억하게 되는 그것. 힘있는 개인의 횡포, 이것이 아주 작게만 

그것도 드물게 가끔 일어나지 늘 예상하며 수시로 감수할 준비 하고 있을 무엇이 전혀 아니었다 같은. 좋은 제도가 있어야 

그래야만 그나마 간신히, 인간의 악을 억누르고 선을 장려할 수 있다. 같은 생각 하고 앉아있게 된다니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