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 1번 단장 제목이 "마르셀 프루스트를 위하여."

<문학 노트>에 실린 프루스트에 대한 에세이에서, 그리고 다른 여러 곳에서도 

프루스트가 자신에게 얼마나 중요한 작가인가 거의 '최상급' 말들을 동원하면서 강조한다. 

이 책의 1번 단장이 "마르셀 프루스트를 위하여"인 것도 그래서, 원래도 의미심장하겠지만 더 

의미심장하게 느껴질 수도. 영어판에서 내가 한 번역: 



1. 

마르셀 프루스트를 위하여.  부유한 부모의 자식으로, 재능 때문이든 몸이 허약해서든 (생계의 수단일 필요가 없이) 지적인 혹은 예술적인 일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동료라는 불쾌한 이름으로 불리는 이들 사이에서 특히 힘든 시간을 보내게 된다. 그가 가진 경제적 독립성이 질투의 대상이 되고, 그의 진지함은 불신의 대상이 되며, 그 자신은 기성 권력이 내보낸 밀사로 의심받을 것임이 상황의 전부가 아니다. 이런 의심은, 뿌리 깊은 원한을 드러내긴 하지만, 대개 타당한 근거를 갖는다. 진짜의 적대는 다른 데에 있다. 정신의 문제를 다루는 일은 이제 '실용적인' 것이 되었고, 엄격한 노동 분업이 지켜지는 하나의 사업, 분과와 인원 제한이 있는 사업이 되었다. 경제적 독립을 유지할 수단이 있으며, 돈을 번다는 수치가 역겨워 지적인 직업을 선택한 사람이라면, 정신을 다루는 일이 하나의 사업이 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그는 벌을 받는다. 그는 '프로페셔널'이 아니고, 그가 얼마나 자기 주제를 잘 알든 상관없이 경쟁적 위계의 사다리에서 딜레탕트의 위치에 놓여진다. 만일 그가 자기 분야에서 능력을 인정받고 싶다면, 그는 가장 철저한 전문가보다 그가 더 단호히 편협한 사람임을 증명해야 한다. 노동 분업을 중단하려는 충동  어느 정도 한계는 있지만 그의 경제적 상황이 그에게 충족을 허락하는 이 충동이, 특히 더 악평의 대상이 된다. 이 충동은, 사회가 강제하는 작업을 승인하지 않겠다는 거부를 표한다. 현재 지배적인 유능함은, 이런 기벽을 허락하지 않는다. 정신의 분과화는, 계약이 규정하는 바 직무 내용으로 정해진 게 아닌 일을 수행하는 정신을 폐지한다. 정신의 분과화에 의한 정신의 폐지는 아주 잘 수행되는데, 노동 분업을 거부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그 거부가, 단지 자기 일을 즐긴다는 것에 불과할지라도  그의 탁월함과 뗄 수 없는 방식으로, 노동 분업의 표준에 따라 쉽사리 공격받게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질서가 보장된다. 어떤 이들은, 이와 다르게는 살 수 없기 때문에 이 게임에 동참해야 한다. 달리 살 수 있는 이들은, 게임에 동참하고자 하지 않으며 따라서 입장이 차단된다. 독립적 지식인이 도망쳐 떠나온 그 계급이, 이 도망자들의 피신처 바로 그 곳에서, 자기 계급의 요구를 관철시킴으로써 복수하는 셈이라 할 수 있다.


Minima Moralia, 1 "For Marcel Proust"








조금 전 지극히 심란한 일이 있었는데 

그래서 아도르노의 (그가 쓰는 문장의) 집중하고 강력한 정신.... 

이걸로 심란함을 몰아내야 한다며 쓰는 포스트. 정말, 이 단장 다시 읽으면서 훨씬 덜 심란해졌다. 


알콜중독까진 아니지만 꽤 자주 맥주를 마시기 때문에 

오늘 아침, 알콜중독을 극복한 엘리자베스 바르거스 얘기 들으면서 

그녀처럼 나도 완전히 금주해야겠다고 좀 진지하게 다짐했는데, 갑자기 미친 듯 맥주가 마시고 싶어졌었음. 

내일 수업이 9시, 거의 새벽에 나가야 하므로 내일, 내일 집에 와서 마지막으로 맥주를 마셔야지. 교수가 (정규직) 

문맹인 경우를 아십니까..... ㅋㅋㅋㅋㅋ 같은 포스트를 술 마시면서 연달아 써야지.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거리지만 한숨과 눈물이 보여야 합. ;;;;) 


이렇게 7시가 되어 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뭇잎처럼 2016-09-20 2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핫. 알딸딸하게 취해 들어온 저는 의문의 일승.

몰리 2016-09-21 14:11   좋아요 0 | URL
앜. ㅋㅋㅋㅋ 얼른 집에 가서 맥주 마시고 취해야지 하는 두시 구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