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이렇게 표지 아니고 책 안을 찍은 이미지가 찾아진다. 작품처럼. 느낌있게. 

2004년에 나온 책, Why does literature matter? 


<짜라투스트라>의 해석을 위한 교수직이 마련될 것이다. : 니체는 이런 장담(....)도 했다. 

조이스도 그런 말 했다. <율리시스> 해석을 위해 앞으로 몇 세기 동안 교수들이 골머리를 앓을 것이다. 


바슐라르 책들이 <짜라투스트라>나 <율리시스>같은 책들이라면. 

그래서 어떤 해석이든 (최소 노동은 투입되었다는 한에서) 어렵지 않게 우호적인 독자를 찾을 수 있다면. 


그러면 좋을 것이긴 하다. 

..... 그렇긴 한데 바슐라르 책들이 <율리시스>처럼 이건 무슨 뜻? 저건 출전이? 하게 만드는 

복잡한 인유들, 대담한 실험들로 짜인 정교한 천 같은 책들이 일단 아니고 


사실 여기 무슨 굳이 해석을 할 무엇이 있지는 않은 것처럼 보이는 쪽일 것이다. 

<몽상의 시학>엔 이런 문장도 있다. "혼자가 아니라면 잘 볼 수 없는 이 세계의 위대한 현상들이 있다. 지고 있는 해. 지붕에서 하늘로 흘러가는 연기." 


혼자가 아니라면 잘 볼 수 없는 이 세계의 위대한 현상들이 있다. 

응. 그렇기도 하네. 정도 반응이면 족할 문장이기도 할텐데, 그런데 이게 대단히 심오하고 

이 문장 하나에 바쳐지는 페이퍼도 충분히 나올 만하고 나와야 한다.... 쪽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고독 예찬, 사회 배척. 역사 부정. 

낭만주의적 인본주의. : 그의 이런 면들도 옹호보다는 해석이 요구되는 면들일 것이다. 


그렇다. 하여 바슐라르를 해석하려고 

위의 책 (왜 바슐라르가 중요한가. 이 주제에 간접적으로지만 극히 중요한 답들을 주는 책이다) 보고 있는데 

............... 시간은 거침없이 흐르고. 



*그런데 이 책 좋은 책입니다. 저자의 노고가 (성실한 노고가) 온전히 느껴지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