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 이런 대목이 있다고 한다. 


인생은 범용하고 (mediocre) 

인생의 바깥에 있을 수 없는 문학도 범용한데 

그 범용함을 초월하는 길은 형식의 창조에 있다. (문학에서든 삶에서든) 

먼저 기존 형식을 분쇄해야 한다. 


형식이 너를 너의 밖으로 나오게 한다. 

형식이 네가 너 자신과 거리를 둘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그 거리. 이것이 네가 다른 이들과 

가까워질 수 있는 선결 조건이다. 



위의 네 줄은 들으면서 사실 잘 이해되지 않았고 ("make it new" 모더니즘의 이 모토 반복일 뿐인가 아닌가) 

하여 별 반응 없이 듣다가 아래 세 줄엔, 역시 이것도 선명하게 이해되지는 않았지만, 강하게 반응하게 됨. 

영어로는 이런 문장들이다: Form draws you out of yourself, distances you from yourself, and it is this distance 

that is the prerequisite for closeness to others.  






거의 전적으로 소설 리뷰만 하는 서평 채널. 여기서 들음. 

문학, 철학, 음악이 결정적으로 약해지는 일은 일어나지 않지 않을까. 

본격 문학 독자, 철학 독자, 음악가들이 유튜브에서 이 정도 활동 중인데?

이 채널 운영자 아직 많이 젊어서 (30대 초) 그의 어떤 말들엔 그러니까 '엄마 미소' 반응해야할 거 같아지기도 

한다. 나이듦(늙어감)이라는 미지의 영역에 대해 관심이 많던데... 특히 그 주제로 말할 때. 그런가 하면 

소설을 극히 예민하게 읽고 (개별 단어에 상황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그걸 가장 정확하게 말하려고 애쓸 때 

그가 그렇게 전해주는 "날것"인 무엇이 


고맙다는 생각 든다. 

자극. 정신에 주어지는 자극이 된다. "날것"이라서. 

날것이라서 자극이든 아니면 "익힌 것"이라서 자극이든 

자극은 필수, 인간은 "mental stimulation" 없이는 부패하는 그런 동물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