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이 고통인 게 맞구나 실감한 건 

요즘 니체 읽는 동안 같이 피터 게이도 읽으면서였다. 

철학하기 좋은 나이라고 플라톤 <국가>에도 나온다는 나이, (.... <국가>는 언제 읽은 책이 됨? 

읽은 것도 읽지 않은 것도 아닌 <국가>), 35세라던가 그 나이 즈음에 나는 철학책들 읽기 시작했고 


재미있었다. 


책으로 제일 재미있는 건 철학이지 않나 쪽으로 

이젠 이미 오래 살아왔는데 (오래라 해서 그게 또 그 세월 동안 많이 읽은 것도 아님을 문득 

기억해야 하고) 


아무튼 그랬다 보니 잊고 있었다. 

재미라 여겨지고 체험되는 것의 아마 한 70%는 고통이었을. 


피터 게이의 <계몽시대>. 

이 책은 어떻게 규정해야 이 책의 강도, 분위기, 범위 등이 

한 번에 포착될 수 있을까. 막 대단히 엄청난, 다른 세계가 열리고 (그렇다 보니 지금까지 알던 세계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그런 책은 아니다. 계몽시대 주제로 이 세상에서 만날 수 있는 최상의 과외교사? 이런 느낌 있다. 저게 칭송일 수 있다면. 친절하고 다감하고 정확하고 모르는 게 없고 등등의 느낌. 


그리고 또 스타일이 있다. 

에릭 홉스봄의 역사책들을 나는 도저히 읽을 수 없었는데 

무엇보다 홉스봄의 <--의 시대> 연작엔, 스타일이 없다. 말들이 고생하는 책. 말들이 

오직 일만 해야 하느라 고생하는 책. 홉스봄과 비교하면 게이의 책들에서, 말들은 춤도 추고 

옷도 여러 번 화려하게 소박하게, 좋은 옷으로, 갈아 입고. 하여튼 그렇다. 읽는 재미가 있고 

마음의 무거움이 걷힌다. 울면서 읽을 페이지라 해도. 



그런데 철학책들은 

심지어 니체의 책도, 그러지 않는다는 것. 그럴 수 없다는 것. 

니체의 책에서 언어의 저런 면모라 알려져 있는 면모가 실은 저런 면모가 아니라는 것. 

역사가의 스타일과 철학자의 스타일은 아주 다른 무엇이라는 것. 철학자의 스타일은 철학자의 문제의 ㅎㅎㅎㅎ 

일부라는 것.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수달 2019-10-01 2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철학이야말로 깊이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학문이자 분야인 듯.

몰리 2019-10-02 02:56   좋아요 0 | URL
니체가 <서광> 서문에서 말하는
땅굴을 파는 지하 인간의 집요함, 진지함. 철학 고유의, 철학적 진지함이 있는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