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시절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를 읽었고 사랑했다. 

니체의 <도덕의 계보>도 읽었으며 이 책도 내게 충격이었다. 

그 책을 어쩌다 갖게 되었나는 모르겠다. 부모님은 내게, 대입 면접에서 

이 책들에 대해 말하지 말라고 했다. 말한다면 나는 책벌레로 보일 거였다. 

대신 스포츠에 대해 말하라고 했다. (스티븐 그린블랫) 



<도덕의 계보> 구글 이미지 검색하고 찾아진 

그린블랫. 그가 쓴 책 중 셰익스피어의 대중적 소개(아마 전기도 아닌 것이, 비평도 아닌 것이 

전기이기도 하고 비평이기도 한.... 잡담 같은?)가 목적인 책이었던 거 같은 Will in the World가 집에 있고 

그의 어려운 책들은 읽은 게 없지만 이 책은 읽었다. 읽고 지금 비공개인 오래 전 블로그에서 혼자 분노했었다. 

영혼 없는 셰익스피어. 셰익스피어에게서 정신을 제거하기. 그렇다고 생각했던 거 같다. 지금 다시 보면 

다를 수도. 그런데 어쨌든 내게 그린블랫은 


신역사주의가 문학 연구를 휩쓸게 함으로써 

문학 연구의 문화 연구로의 흡수를 (해서, 몰락을) 이끈 인물. 

그런데 그의 신역사주의엔 그가 고딩 시절 읽은 <도덕의 계보>도 기여했나봄.  

저 인용 읽고 나서, 퍼즐의 피스 하나가 찾아진 거 같은 느낌 조금 든다. 


방학 동안 한 일은 니체 다시 읽기가 거의 전부인데 

지금 <도덕의 계보>에 와 있다. 이 책이 (독자들마다 다를 것이다. 내게는...) 그래도 

수월한 편. 어려워서 머리 터질 거 같은 대목들이 이 책에도 있긴 있지만 그래도. 


두번째 논문 11섹션에 이런 대목이 있다. 


"능동적, 공격적, 오만한 인간이 수동적 인간보다 백 걸음은 더 정의 쪽에 가깝다.  

전자의 인간에게는 그의 앞에 놓인 대상을 허위의, 편견에 찬 관점에서 보려는 욕구가 전혀 없다

반면 후자, 수동적 인간은 그의 대상을 오직 허위의, 편견에 찬 관점에서만 보고 그렇게 볼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에서, 공격적 인간은 더 강하고 더 고귀하며 더 용기 있는 인간이고, 해서 어느 경우에든 "더 자유로운 눈"을 가지며 "더 당당한" 양심을 자기 편으로 갖는다." 


그의 수많은 문장들이 그렇지만, 어떤 땐 별 내용 없다 느껴지다가 어떤 땐 세상에서 가장 심오하고. 

오늘 아침엔 저 밑줄 문장이 그러했다. 이런 문장을 어떻게 확장, 해석, 재해석하냐가 '니체 읽기'인 건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