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 북플로 깨작깨작 올리다가 컴퓨터로 쓰니 아주 시원한 기분이 든다. (그렇다고 더 멋진 포스팅이라고는 차마....)
지난주에 에디트 피아프 영화 <라 비 앙 로즈>를 보았는데 첫장면이 1918년 파리의 슬럼가, 벨빌이다. 1915년생 에디뜨가 서너 살 무렵, 가수인 엄마는 아이를 내버려둔다.

그런데 바로 이 슬럼가 Belleville, 이름 대로라면 '아름다운 마을'은 에밀 아자르의 소설 <자기 앞의 생>의 꼬마 모모가 사는 동네다.
모모는 창녀의 아이들을 키워주는 로자 아줌마와 함께 산다. 기구한 운명의 유태인 할머니 로자 아줌마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도 만들어졌다.


부모에게 버림받고, 갈곳 없는 아이들은 창녀촌에서 자라났다. 어린 에디뜨는 엄마에게 버림받고 (방임되고) 아빠가 데려가더니 브루곤느 지방의 친할머니 (네, 그쪽 직업을 가지신 분)에게 맡겨졌다. 영양실조로 눈이 멀기 까지 했다니 얼마나 끔찍한 상태에서 꼬마가 살았을지 상상이 된다.

그나마 위안인 것은 사진 왼쪽의 머리 긴 여인 티틴느가 엄마 못지 않게 (아니, 진짜 엄마 처럼) 에디트를 아껴주었다. 그리고 오른쪽의 여인은 친할머니.
그런데...어쩐지 저 친할머니가 자기 앞의 생의 영화 속, 로자 아줌마 역을 맡을 시몬느 시뇨레와 너무 닮았다. 하지만 시몬느 시뇨레는 1985년에 사망해서 2007년 영화에 나올리가 없....그래서 다시 검색을 했더니, 아, 이 여인은 바로 시몬느 시뇨레의 친딸 캐서린 알레그레뜨였다.

초로의 나이가 된 에디뜨, 해변에 앉아 뜨개질을 하면서 여기자와 인터뷰를 하는 장면. 기자가 젊은 여자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는지 묻자, 에디뜨는 말한다. "Aimez" (사랑하세요). 더 어린 소녀들에게도 역시 같은 말, "사랑하세요".
이 말은 우리의 모모가 로자 아줌마를 보내고나서, 사람은 사랑해야한다, 사랑 없이는 살 수 없다고 다짐하는 장면이 생각나게 했다.

표지의 이 꼬마는 로맹 가리, 였을까. 새벽의 약속, 을 읽다보면 자꾸만 시몬느 시뇨레를 닮은 그의 엄마가 떠오르는데 (학습효과), 그 엄마가 애지중지 키운 이 꼬마의 밝은 미소는 이미 '사랑'을 아는 표정이다.
사랑해야 한다..... 지나온 세월이 후회스럽지 않다고 노래하는 에디뜨, 그리고 그녀의 장밋빛 인생에서도, 모모 앞에 놓인 그 아이의 인생에도 사랑만큼 중요한 것 없다. 내 인생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