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음 시작하는 학생부 A~Z - 학생부종합전형 시대 중고등학생을 위한
김상근 지음 / 꿈결 / 2016년 12월
평점 :
초등학교와는 달리 중학교3년을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돌아보니 정말 중학교3년은 눈깜짝할
사이에 지나가버린것 같다.
초등과는 달리 구체적인 진로에 대한 장기비젼을 염두에 두어야하는 시기였는데
아이의 진로가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으면 신경써야할 부분이 훨씬 많아진다.
만일에 대비하여 시간을 낭비할 시간이 별로 없다는걸 지나보니 더 뼈저리게 느낀다.
이제 정말 수능이 아이코앞으로 다가오는 느낌이 들어서 갑자기 마음이 더 바빠진다.
그럴수록 차근차근 계획을 세우고 미리 대비하는것이 중요한 시기이다.
대입의 수시비율이 정시를 압도적으로 앞지르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종합전형을 비롯한
다양한 용어들을 미리 알고 아이의 진로에 맞는 계획을 세우려면 미리 각 세부사항들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학생부의 작성은 선생님이 하지만 구체적인 구도를 잡고 실천하는것은 아이이다보니 미리미리 계획해보는 것은 당연한 사항이다.
어떤 전형을 지원하더라도 교과성적은 기본이다. 학생부 전형에서도 오픈화면이 교과성적으로 시작한다는 사항은 간과하면 안되는 중요한 사항이다.
고등학교때는 중학교때보다 좀더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활동들을 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고등학교과정이 실제로는 2년반정도로 마무리가 되는것이니만큼 길지 않은 시간동안
최대한의 진로의 명확성은 다양한 활동들의 연계성을 높여가는 활동을 하기에 꼭 필요하고
기본적인 시작이 된다.
고교활동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story이다. 전공과 관련된 활동을 찾아서 실천하고, 과정중에
진로가 변경되더라도 그것들간의 연관관계를 찾아나가는 과정이라고 하겠다.
성공한 활동을 포함하여 실패의 경험들도 아이의 활동으로 인정받을수 있는 기회가 되니
적극적인 참여가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고 하겠다.
독서에서도 요즘에는 인문학이라든지, 통섭의 원리를 강조하는데 아이의 진로활동에서도
단순하게 하나의 활동에 국한하지않고 문어발식으로 확장해가는 형태로 진행하는것이 중요하다.
교과연계를 기본으로 다양한 활동들을 하나의 고리로 묶어나가는것은 단기간에 할수있는것들이
아니라, 과정속에서 실천해가야할것 같다. 활동으로 한정짓지않고 결과물의 공유를 실천할수 있도록.
진로가 정해지고나면 활용할수있는 공인 자격증들도 소개하고있다. 필요에따라 진로에 관한 다양한 정보들을 취합하고 활용할수 있는것들을 알토란같이 챙겨봐야할것 같다.
책속에서 학교생활의 기본부터 활동에 관한 진행방식, 참고할만한 영역별 사이트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책의 말미에는 전반적인 고교활동의 학년별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시해준다.
고등학교 3개년의 과정을 각각 구분해놓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발전해가고 구체화가 되어가는
방식이 되어야한다고 소개하고있다.
겨울방학의 시작인 이시점에 미리미리 새학기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설계를 해야하는데 뭔가 하나의 가이드북같은 책이다.
특히, 절대평가인 영어과목에 대한 학습방법이나 가이드부분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