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에는 어른이 될 줄 알았다 - 흔들리는 어른을 위한 단단한 심리학의 말
구마시로 도루 지음, 정혜주 옮김 / 샘터사 / 2019년 1월
평점 :

어렸을때 막연히 생각할 때는 나이가 들어가며 자연스럽게 어른이 되는것인줄 알았다.
어른이라는 사전적인 의미는 다 자라서 자신의 일에 책임을 다 하는 사람, 혹은 결혼을 한 사람, 혹은
나이나, 지위나 , 항렬이 높은 사람이라고 칭하고 있다.
나이에 관해서 우리는 우스개소리로 "마음만은 20대다!"라는 말로 스스로의 정신적, 신체적 나이의
차이를 이야기 하기도 한다.
막연하게 어른이 되어 내 맘대로 할 수있는 일이 많아지는 나이가 되길 간절히 바랬던 시기도 있었다.
시간이 지나 세월의 나이를 먹어가는 시점에서 돌아보니 어른"이라는 말은 생각보다 참 어려운 말이다.
착한 거짓말처럼 간혹 좋지않아도 내색하기 힘들고, 좋아도 참아야 하는 순간들이 있음을 깨닫는다.
어떤 책에서는 어른은 울고싶어도 울지 못하는 나이라고도 쓰여있다.
언젠가 부터 유난히 이런 주제의 책들이 참 많아진다.
그래서 다들 삶의 고민이 그리 많이 다르지 않구나..하며 또 다른 위안을 받는다.
개인적으로 어른이 되어가며 책임져야 하는 일들이 많아지지만, 삶을 조금은 유연하게 볼 수 있는 여유가
생기는것같아 그리 싫지 않다. 예의가 바르지 않거나, 각박한 사람들을 주변에서 마주할때 느끼는 마음이
어릴때는 짜증이나 분노였다면, 지금은 한걸음 떨어져서 웃어넘길 여유가 생기기도 하는것 같다.
나이들어가며, 청년시점에서는 보이지 않는것,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하고, 삶의 보람도
조금 방향이 달라지는것이라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나이와 상관없이 청년의 마음이나 모습을 고수하고자 하는것 만큼 안타까운 일도 없다.
일상에서 이제는 뗄레야 뗄수 없는 휴대폰이나 컴퓨터등 전자기기는 수시로 업데이트가 됨을 알려온다.
우리 삶도 그렇다.
변화하는 사회속에서 우리도 늘 변화하고, 시대를 읽어가는 삶을 살아야 한다.
그 변화는 보여지는 유행이 아니라, 삶의 방식이다.
한 개인으로서 정체성을 바꾸는것이 쉽지는 않지만, 어른이 된다는것은 유연한 삶의 자세다.
주변에 좋은 사람이 많은것도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다. 저자는 이것을 '거울 전략'이라고 말한다.
좋은것을 본받고, 우리의 삶에 적용시켜가는 방법이다. 타산지석, 혹은 반면교사라고 하는것 처럼
삶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도하다. 이왕 나이들어 갈거라면 노화보다는 '성숙'이라는 결실이 있길.
내 주변의 좋은이들이 더 반가운 이유이다.
떠올리면 마음이 무거워지는 기억일 지라도 그것은 허무가 아니라 오히려 그 통증은 자신이 살아온 의미나
책임을 가르쳐 주는것이라고 하는 문장은 지난 날의 아쉬움을 달랜다. 살아가는 것은 여러 가능성 속에서
선택되지 않은 미래를 상실해가는 것임과 동시에 , 선택에 의해 생긴 카르마나 '인연'이 쌓여가는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저자의 말중 "살아간다는 것은 고되지만 멋진 일이다."
어른은 이렇게 되고싶다!는 가능해도 이렇게 되어야만 한다! 는 아니라는 말에 공감한다.
"오늘 하루를 쌓아 미래를 만들어가는 것은 당신의 부모나 세상의 가치관, 그 시대의 '공기'도 아닙니다.
오로지 지금 여러분 자신입니다. 부디 현재를 소중히 쌓아하고 , 때때로 미래도 생각하면서 자신만의
역사를 사랑하길 바랍니다." <저자의 말 中>
하루하루 소소한 일상들속에서 마주하는 순간들에 감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