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술에게 말을 걸다 - 난해한 미술이 쉽고 친근해지는 5가지 키워드
이소영 지음 / 카시오페아 / 2019년 11월
평점 :

미술을 즐기는 다양한 방법중 하나는 책을 통해 예술과 친근해 지기이다. <아트 인문학>이라는 책을
친구가 서점에서 발견하고 내가 좋아할것 같아서 샀다고 전해준 책인데 그 이후 이 출판사의 예술관련
책들이 몇권 더 추가되었다. 전시 참 많이 보는 일을 하고있지만 아무래도 요즘은 주로 동시대미술을
볼 기회가 많아지다보니 클래식한 전시들과 작품들이 종종 고픈 순간이 있다.
그래서 전시와는 별개로 내가 보고싶은 장르의 예술여행은 책을통해 해결하는 습관이 생겼다.
그런과정에서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이고, 미술여행을 떠나고 싶어지고, 미술이 내게 말을 걸어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책 제목에 정답이 있네. ^^)

생각해보면 요즘 예술이라는 장르는 많이 일상화되어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취향의 차이때문에 전혀 생소하게 느끼는 사람들도 있다. 정답이 있을수 없는 예술에 관한 다양한
접근과 해석은 그래서 한마디로 정의할수 없는 분야인것 같다. 미술관에서 같은 전시를 해설하는데도
매번 관람객의 반응과 감상이 달라지는것만 봐도 그렇다.
이 책에서는 명화"에 한걸음 다가서는 쉬운 방법들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일상을 돌아보면 우리주변에는 꽤 예술과 관련된것들이 많다. 작가와 작품명을 꼭 알아야 할
필요도 없이 눈에 익은 명화작품들은 일상의 곳곳에서 마주하게 되는데 그러다보니 그 작가와
작가관련 에피소드가 익숙한 경우도 있고, 그런것들이 더해지는 과정에서 하나하나 가지를 뻗어
가는 경험들은 누구에게나 있을것이다. 그것이 바로 취향에 따라 쌓여가는 경험들일 것이다.
예술에 대한 범주는 어디까지일까를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다. 예술의 시작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예술은 의외로 일상의 표현방식중 하나였다는것을 알게된다. 그런것들이 점차 변화를 거치며
장르로 자리잡고, 명화를 남긴 예술가들도 생겨나게 된것이다. 방대한 예술사조와 예술가 혹은
작품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고 예술감상에 장벽이 생기는것도 아니고, 특별한 자격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예술에 대한 안목도 경험치가 쌓이는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품들을 감상하고, 예술가들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모든 문화예술은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요즘 가장 반가운 예술영역의 확장은 바로 이런 아트콜라보 상품들이다. 친근한 예술작품의 옷을
입은 일상용품들은 호기심과 반가움에 덥석 집어들게된다. 근간에는 일상가전에도 예술작품이
더해져서 일상예술의 실현을 더해가고 있다. 아쉬운점은 그런경우 제품의 가격이 고가인 경우가많다는 점인데, 다양한 예술접목 사례들이 늘어가는것은 개인적으로도 참 반갑다.
예술에는 다양한 장르들이 있다. 각각의 예술작품을 통해 우리는 상상의 나래를 펼치기도 하고,
평소에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시선을 갖기도 한다. 예술을 흔히 익숙한것들을 낯설게 보는
것이라는 말로 정의하기도 하는데, 예술작품을 통해 미감을 느끼는것도 중요하지만 각각의 작가
들의 시선을 따라 새로운 관점을 갖게되는 것 또한 에술이 주는 매력이라는 생각을 종종 하게된다.
명화를 통해 우리는 거꾸로 역사 속 장면을 떠올리고, 작품이 주는 메시지를 통해 현실의 변화를
시도하기도 한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예술가중 한사람으로 꼽는 마티스. 색채의 마술사로 불리우기도 하는 마티스
그의 예술인생을 따라가보면 힘든순간에도 그에게 예술은 삶의 한 과정이었다.
예술작품은 시대를 넘어 세대를 연결해주는 매개체가 되기도 하고 예술가의 삶이 녹아있는
작품을 통해 삶에 대한 단상을 일깨우기도 한다. 작품과 마주하는 순간 작품과 마주하며 교감을
나누는 그 느낌이 참 좋다. 그래서 작품을 이해하는것은 그 작가의 삶을 이해하는것과도 통한다.
가우디는 스페인을 대표하는 예술가로 많은 이들이 선호하는 예술성지를 남겼다. 그만큼 예술은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한 예술가가 남긴 작품은
또 다른 창조의 에너지원이 되기도 한다. 가우디의 건축물에서 영화 스타워즈의 다스베이더가
탄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니 재미있다. 예술의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런 확장들 참 반갑다.
프리다칼로와 에르메네힐도 부스토스의 정물화를 보다 문득 예술을 한 단어로 정의한다면
바로 이런장면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했다.알록달록 다양한 과일만큼 , 깨지고, 멍든 과일
처럼 불편하고, 달콤하고 맛있는 과일처럼 기분을 좋게하는 그림들.

프리다칼로와 에르메네힐도 부스토스의 정물화를 보다 문득 든 생각은 예술을 한 단어로 정의한다면
바로 이런장면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알록달록 다양한 과일만큼 다양하고, 깨지고, 멍든 과일
처럼 불편하고, 달콤하고 맛있는 과일처럼 기분을 좋게하는 그림들.
미술작품은 화가 한사람의 인생을 반영한다. 많은 작품들과 마주하는 경험들이 쌓여 세상을 보는
우리의 시선또한 확장되어 삶의 반경을 넓혀줄 거란 기대를 한다면 과한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