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 잘하는 사람은 알기 쉽게 말한다 - 쉽고 정확하게 설명하는 7가지 법칙
이누쓰카 마사시 지음, 장은주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사람과의 대화에서 혹은 공적인 자리에서 말하는 법은 늘 내가 관심있어하는 분야이다.
오랫동안 아이들과 수업하며 느낀것도, 미술관에서 오랜시간 작품해설을 하며 꾸준히 신경쓰이는 부분
이기도 하다. 같은 표현이라도 유난히 귀에 쏙 들어오는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있다.
패션에서만 TPO가 필요한것이 아니라 말하기에서도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언어를 구사하는것은 필수이다.
특히 요즘 내가 느낀 여러 상황들에서는 대상별 해설을 하며 느낀 경험들이 또 추가되었다.
가장 어려운일은 어려운 단어를 쉬운말로 설명하기일 때가 많다.
요즘은 워낙 외국어와 혼용이 되는 경우들이 많지만 공적인 자리에서는 되도록이면 표준어와 단정한
언어를 쓰고싶은 욕심이 있다.

이미 책의 서두에서 쉽고 정확하게 설명하는 7가지 법칙으로
흥미끌기 ---> 상대의 수준 파악하기 ----> 목적을 제시하기 ----> 큰 틀을 제시하기
---->연결하기 ----->구체적인 사례와 증거를 제시하기 ----> 전이하기
이렇게 단계를 세분화하고 있고, 책의 본문에서는 각 항목별 사례들을 꼼꼼히 정리해 두었다.
결국 가장 기본은 일단 상대방과의 눈높이를 맞춰서 핵심적인 내용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이야기의 요점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과정을 담고있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전달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아무리 열심히 설명해도 상대방이 들을 준비가 제대로 되지않았거나, 말하는 사람의 요점이 흐려지거나,
듣는사람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경우가 종종있다. 결국 소통의 문제라는것을 알수 있는 대목이다.
특히 설명하는 살마이 제대로 이해되지 못한경우 상대방에게도 그 내용을 제대로 전달하기란 불가능하다.
이런 방식은 종종 학습법에서도 응용이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가장 학습능력을 높이는 방식이 타인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인데 머리속에 그리는 내용을 조리
있게 정리하여 설명하는 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오감이 모두 활용되어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있다.

실제로 일 잘하는 사람과 아닌 사람의 차이는 백지한장 차이라고 할만큼 큰 차이가 없다. 단지 소통의
과정에서 상대방이 느끼는 주관적인 관점에서 일 잘하는 사람의 이미지가 생기는 것이다.
특히 요즘은 다양한 SNS매체를 통해 1인방송을 비롯한 커뮤니케이션 부가가치가 높아지는 시대이다.
그러기에 더욱 표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일반인과 방송인의 경계마저 모호해지는 요즘 표현의 방식으로 인해 부가가치의 창출이 높아지는것을
알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표현하는방식, 말 잘하는 방식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이분야에서는 AI가 따라올 수없는 뭔가가 있다.
학습분야에서 혹은 설명이 필요한 분야에서 스타강사가 부각되는 이유도 또한 이들이 창조해내는
부가가치에서 그 차별성이 있음을 익히 알고있듯이 설명기술에는 무한한 가치를 담고있음을 알 수있다.
말하기는 하루아침에 변화되지 않는 분야이기도 하지만, 노력으로 얼마든지 발전시킬수 있는 분야다.
관심을 갖고 개선의 의지를 갖고 있는 당신은 이미 그 변화의 과정을 통해 발전된 결과를 머지않아
마주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