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정말 이해할 수 없는 꾸릿한 일이 너무 분노가 난다. 개인적으로 책을 좋아하는 측면도 있고 사서라는 직업적인 영향이 크겠지만 책에 손상이 가는 건 상당히 안좋아한다. 그리고 자료실을 꾸려가는 입장에서는 더더욱.   

 

  책에 가해지는 오훼손등에는  각종 밑줄 긋기, 절취 혹은  책을 읽으며 흘리는 각종 이물질(커피, 반찬통과 같이 넣었다가 겪는 훼손들이 있다.)에 의한 오훼손이 있다.  

 

사실 밑줄 긋기는 책을 이용하는데는 크게 어려움은 없지만 깔끔한 이용자들 눈에는 참지 못할 것이 된다.  나 역시도 마찬가지.   물,커피, 반찬등에 의한 훼손은 밑줄 긋기 보다는 이용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상대적으로 큰 불쾌감을 줄 수 있게 때문이다.  이때 변상을 받아내는게 생각보다 어렵다는 점이다.   '한번만 봐주시면 안 되나요' 라는 말.   하도 듣다 보니 뭐 그러려니 하면서도 아니 어쩜...  학생이면 이해 하겠는데 사회인들이...   자신이 잘못한 일 책임질 건 져야 되는게 아닌가  싶은데 이런 내가 이상한 것인지. 그냥 정색하면서 해야된다고 말한다. 그러면 결국 짜증내면서 변상을 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일 파렴치한이라고 할 수 있는 자들은  절취범들이다. 책 자체를 훼손하여  전혀 이용을 못하게 만든다.    이런 경우가 간혹 발생하는게 요리 레시피를 다룬 책들인데  그래도 이건 애교인 것이 한,두장 정도 절취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책을 보수하는데 어려움이 없지만.... 그에 반하여 문제는 최근에 벌어지고 있는 절취의 범위는 상당한 페이지를 뭉텅이로 찢어 간다는데 있다.    주로 요새 유행하는 그림에세이류의 책들인데  하도 너무 심한 절취를 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범인 색출(??)에 고민이 컸는데 오늘 오후에 의심이 되는 회원을 발견했다.  그 회원이 이전에 빌려간 도서의 태반이 뭉텅이로 찢어진 책들이 많다는 점.  오늘 반납한(물론 데스크의 직원을 통하여 반납한 것이 아니라 자동대출반납기로 반납을 했다.) 도서 두 권 모두 그런 형태로 뭉텅이로 찢겨져 나간 점을 보면 거의 틀림 없는 것 같다. 거기다 한 권은 신간으로 그 회원 이전에 딱 한 사람만 빌려 갔고 또한 앞에 빌린 사람이 반납할때 정상적이었음을 기억한다.

 

  화를 최대한 누르고 이게 뭐냐고 물었더니, 일단 나는 모르고 원래 그렇게 되어 있었다... 라고 발뺌을 하던데, 발뺌을 못하게끔 정황이 있어야 겠다 싶어서 그 회원이 빌려간 반납하는 것을 주시하고 있어야 겠다 싶다.  일단 본인을 주목하고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니 당분간은 그런 짓을 안할까 싶기도 하지만. 

 

아휴.  아직도 분노가 가라앉지 않는다.  그래서 그런지 위가 좀.... 

 

제발 그러지 좀 맙시다... 결국 종이쪼가리 휴지통에 버려질 것, 책 만들것도 아니고 뭐하는 짓입니까.  아무리 좋은 문구를 가져 간들 그 행위가 댁의 삶과 인격이란 것이 높아지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는지. 반성 좀 하세요..... 라고 말하고 싶다. 젠장.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arine 2018-07-12 15: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밑줄 긋기 정말 싫어요. 심할 때는 개인 감상도 적어 놓습니다. 이따위 매너로 감명깊게 책 읽으면 뭐하냐 말해 주고 싶어요.
 

 

  어제 신정을 뒹굴뒹굴하면서 보냈네요.  주변 사람들에게 새해소감을 물으니 다들 그냥저냥하네요...  왜 새해가 있고 한건지 하는 소리도 하고...  이제 주변 또래들도 이런 반응을 보이는데 조금 삶에 지쳐가기 시작하는 나이라서 그런가 봅니다.

 

  얼마전에 알쓸신잡이라는 예능프로그램에서  한 건축학 교수가 한해를 구분 짓는 이유를 대나무를 들어 이야기 했는데요.  대나무가 빈 공간이 있는데도 무리 없이 잘 성장하는 것은 중간에 매듭(이라고 해야 하나요...  여튼 구분 지어 지는 부분)을 짓기 때문으로  아마 한 해를 구분하는 것도 마찬가지가 아니겠냐는 의견을 낸 적이 있었는데 그게 사실에 일정 부합되는지는 모르겠어도 인상깊게 들었어요.  그 탓에 저도 지난 해를 반성하자면  너무 나태했다는 것을 꼽을 수 있겠네요.  아무런 계획도 없었고  건강관리도 제대로 못해서 몇번 아파 직장에 병가를 연속으로 낸 적이 2번 있었고요.   이제는 큰 계획을 세워봤자  의지박약이 저는 반의 반도 지키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면 아주 작은 범위의 몇가지 목표만을 세우려고 합니다.

 

  일단 당장에 격렬한 운동은 어렵기 때문에 퇴근 후에 가볍게 산보정도로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일단 몸에 습관을 들여야죠. 그 다음에 어찌할지는 그때 정하고...  그리고 독서말고 사람을 조금이나마 더 접촉할 수 있는 취미생활을 한번 탐색해보려고 합니다.  직장이 유일하게 사람을 접하는 곳이다 보니 너무 우물한 개구리 처럼 지내는가 싶기도 하고요.   독서량도 오래만에 100권을 목표로 하고,  안 읽는 책은 조금씩 버리는 것이 목표 입니다. 강박증 환자 마냥 책을 너무 모아서 원룸에 간신히 잘 공간만 있는 탓에요.  이건 좀 힘들 것 같긴 하지만...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18-01-05 1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넷님 무진년 새해 복많이 받으셔요^^

가넷 2018-01-06 11:57   좋아요 0 | URL
카스피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marine 2018-01-06 1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넷님 올해는 건강하시고 건승하세요~~
전 나이가 40을 넘어가니 인생에 별다른 계획이 없고 오직 독서계획만이 의지가 생기네요

가넷 2018-01-06 11:59   좋아요 0 | URL
네 감사합니다 ㅋ marine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저도 올해는 건강도 좀 잘 챙기고 다시 책도 좀 많이 읽어보려 합니다 ^^
 

 

  1.

 사소한 실수를 한 것에 대해 사과하면 그에 걸맞게 행동하면 될 걸 사람들은 왜 사소한 실수를 꼬투리 잡아서 더 큰 혜택을 보려는지 모르겠다정확히 기준은 없다손 하더라도 이 정도에는 요정도로라는 심리적 저울질이 가능할텐데실수를 한 입장에서 더 할 말은 없지만 가끔씩 어떤 사람들의 이런 행태를 볼 때마다 속으로  혀를 차게 된다.

 

 

 2.

 새로운 업무를 하나 맡게 되었는데 오래만에 하는 일이라 조금 낯설기도 한데 재미있다. 그래도 직에 걸맞는 본연의 업무를 맡게 된 것이 기쁘기도 하다. 다만 실질적인 결과물은 영 실수투성이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테고리 정리한다고 예전에 쓸데없이 싸구려 감성이 터지는 글들을 정리한다고 하다가 아깝게 지워 버린게 있다.  책을 읽은 기록을 적어놓은게... 날라가 버렸다. 크게 정성들여 쓴거야 아니지만, 그래도 재독할때 참고 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아깝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yureka01 2016-12-28 09: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공개로 돌려도 됩니다~~^^.

가넷 2016-12-28 23:45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사실 이전에도 비공개로 돌린 것들이 많았는데 너무 너저분하다보니 필요 없는 건 선별해서 삭제한다고 한 것이 이렇게 되어버렸네요.... ㅎㅎ;;;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