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환상동화 - 프란츠 카프카 외 23인의
프란츠 카프카 외 23인 지음, 김재혁 옮김 / 하늘연못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동화니 환타지니 하는 장르의 독서엔 관심도 없는 사람이 이 책의 구입과 독서를
하게 된 건 순전히 배수아의 '올빼미의 없음'때문이다.
쿠르트 투홀스키-가 언급된 대목에서 그를 검색하게 됐고 국내엔 그의 번역물을
읽을수 없다는 데 실망하다가 그의 작품이 실린 본 도서를 알게 됐다.
여하튼, '골치아픈 소설'의 책읽기에서 벗어나 진도가 잘 나가주는 동화 읽기는 나름 휴식의 독서
가 되었다. 스물네 편의 길고 짧은 동화에서 촌철살인의 감동이나 이건 뭔가 싶은 결말에 벙 찌기
도 했다. 카프카의 '법 앞에서'는 얼음이 빠각 깨지는 것 같이 제대로 한 방 먹은것 같기도 했다.
기획의도는 좋은 도서임에 분명하다.
사족을 꼭 붙여할 마음 읽는 내내 들었는데,
2007년 1월 17일 초판 1쇄본이다. 만약 2쇄를 찍는다면 수정해야 할 곳이 한두 곳이 아닌것 같다.
도대체 교정교열을 어떻게 보고 오케이 사인이 났나 싶을 정도다 최소한 내가 보기에. 너무나 부
적절한 단어들로 번역한 곳도 많고 어색한 행갈이도 많다.
그렇기 때문에 너는 쫓기지만, 나는 아무도 건드리지 않아. 너와 네 종족들이 뿌리가 뽑히는 동안
우리는 이렇게 번창하고 있지. 적응만이 복지로 가는 길이야, 사랑하는 표범아!" -p99 '카멜레온' 가운데
'복지'라는 부분에서 요즘말로 빵 터졌다. '환상동화'라는 책의 성격과 복지 라는 단어가 적절한가?
이런 경우를 일일이 나열하지는 않겠다. 옮긴이 김재혁의 학력을 떠나 감각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심장 피의 동화'에서는 주인공을 지칭 하는 데 한 페이지에서 2-3개를 번갈아 가며 썼다.
'그' '젊은이' '젊은 시인' '한스' 이러한 이름이 나오는데 원본이 어떤지는 알 수 없으나 번역자가 작품에
대한 고민을 조금이라도 했다면 마구잡이로 이름을 가져다 썼을까 싶다.
일반적으로 어떤 문장이 행갈이를 해서 끝맺을 때, 가령 "~했다." 로 끝난다면 '다' 라는 말이 한 행으로
내려온다면 기본적으로 자간을 좁히거나 늘려 윗행으로 붙이거나 몇 자 더 붙여서 한 행을 더 늘린다.
지금까지 교정지를 보면서 그렇게 하지 않는 편집자를 단 한 번도 본적이 없다. 그러나 본 도서는 그런
경우가 허다하다. 얼마나 원고에 관심과 신경을 쓰지 않았나. 그런 원고의 책을 돈주고 사 봤다는데
화가 치민다 이 말이지. 식당을 가서 밥 한끼를 먹어도 아무렇게나 만들어 내는 밥은 딱 봐도 티가 나고
안 먹은거만 못하지 않은가 말이지.
쌩초보 편집자가 봐도 한눈에 지적하고 수정해야 할 편집상의 실수도 거르지 못하고 그대로 지나쳤다.
171p 하단 5-6째 행을 보면 초등학교 아이들도 눈에 보이는 실수가 있다.
이러저러한 문제들을 보면 참 성의 없이 뭔가에 쫓기는 듯 만든책이라는 느낌이다. 그렇다고 많은
책을 출간하는 출판사도 아니더라 검색해보니. 사장 하나에 모든 건 외주인 나홀로 출판사인가?
저작권료와 무관한 외국 작가들의 작품을 짜깁기 해서 출판하는 건 뭐라 못하는거지만 이렇게 무성의하게
'개판'으로 내는 출판사와 대충 날림 번역하는 번역자들, 아주 학을 뗀다.
본 도서를 출판하고 옮긴이의 도서는 두번 다시 읽지 않겠다 장담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