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사람들은 우리 인간이 궁극적으로 찾고자 하는 것은 삶의 의미라고 말하지요. 그러나 나는 우리가 찾고 있는 것은 살아 있음에 대한 경험이라고 생각해요... 우리 삶의 경험은 우리의 내적인 존재와 현실 안에서 공명(共鳴) 합니다. 이럴 때 우리는 실제로 살아 있음의 황홀을 느끼게 되는 것이지요... 신화는 인간 삶의 영적 잠재력을 찾는 데 필요한 실마리인 것이지요.(p29) <신화의 힘> 中


 조셉 캠벨(Joseph Cambell, 1904 ~ 1987)과 빌 모이어스(Bill Moyers, 1934 ~ )는<신화의 힘 The Power of myth>을 통해 '신화(神話, Myth)'가 현대 우리 삶에서 주는 의미에 대해 말한다. 단순한 옛날 이야기로 생각하기 쉬운 신화가 과연 '잠재력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까. 


 신화는 우리 삶의 단계, 말하자면 아이에서 책임 있는 어른이 되고, 미혼 상태에서 기혼 상태가 되는 단계의 입문 의례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런 의례가 곧 신화적인 의례인 것이지요. 우리는 바로 이런 의례를 통해 우리가 맡게 되는 새로운 역할, 옛것을 벗어던지고 새것, 책임 있는 새 역할을 맡게 되는 과정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합니다.(p41) <신화의 힘> 中 


 자연은 곧 우리의 본성이고, 신화에 등장하는 멋진 시적 표현은 우리 안에 있는 것을 반영합니다. 우리의 마음이 외부적인 이미지에 갇혀 있어서, 신화적 이미지를 읽으면서도 그것을 우리 자신과 관련시키지 못하면 제대로 읽을 수가 없는 것이지요. 내면의 세계는, 외면의 세계와 접하는 우리의 요구와 희망과 에너지와 구조와 가능성이 반영된 세계입니다. 외계는 우리가 드러나는 세계입니다. 우리의 세계가 바로 이 외면의 세계입니다. 우리는 내면의 세계, 외면의 세계와 함께 발을 맞추어야 합니다.(p118) <신화의 힘> 中


 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먼저 우리는 신화의 역할에 대해 알아야 한다. 사회에서 의례(儀禮)를 통해 사람들은 외부 세계를 받아들이고, 내면 세계를 표현하게 되는데, 사회적으로 신화는 세대와 세대를 이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외면의 표상을 올바르게 해석하기 위해서, 우리 내면을 바르게 표현하기 위해서도 신화는 필요하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신화를 통해 우리가 알아야 이유는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바를 깨닫는 것이다. 우리의 허상(虛像)이 아닌 실상(實像)을 바로 보기 위해 우리는 삶의 근원으로 내려갈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모험을 하는 이를 캠벨은 '영웅(英雄, hero)'라 부른다.


  우리는 신의 이미지에 따라 만들어졌어요. 이것이 바로 인간의 궁극적인 원형이에요. 우리 삶의 시작에는 두려움도 없고 욕망도 없어요. 그냥 시작되는 것일 뿐이에요. 그러다 존재하게 되니까 여기에서 두려움과 욕망이 시작되는 겁니다. 두려움과 욕망을 버리고, 우리가 시작되었던 바로 그 한 점으로 돌아가보세요. 이 한 점이 바로 요체랍니다.(p394)... 이 발화점은 존재의 모습이 확정되기 전의 상태이기 때문에 세상의 선악과는 무관하고, 공포도 없고 욕망도 없는 순수무구한 점입니다. 이것이 바로 끊임없이 생성되는 삶의 모습입니다.(p395) <신화의 힘> 中


 우리 삶의 에너지는 바로 무의식의 심층에서 솟아오릅니다. 우리 삶은 어디에선가 쉴새없이 솟아오르는 것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세상으로 끊임없이 생명을 내어보내는 곳, 이곳이 바로 무궁무진한 에너지의 근원인 것입니다.(p393)<신화의 힘> 中 

 

 캠벨에게 영웅은 세상을 구원하는 신적인 존재가 아니다. 서로 다른 세계를 화해시키는 노력을 하는 이, 자신의 이기적 욕심을 벗어나 초월하는 존재가 캠벨이 말하는 영웅이며, 영웅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저자의 다른 작품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시련을 극복하고, 기왕에 해석되어 있는 경험에다 다른 사람들을 위해 새로운 가능성의 세계를 열어주는 용기, 이게 바로 영웅의 용기입니다.(p89)... 신화가 지니는 중요한 문제는 인간의 마음과, 다른 생명을 죽여 그것을 먹이로 삼는 잔혹한 삶의 전제 조건을 화해시키는 것이지요.(p91)... 인간의 마음과 삶의 조건을 화해시키는 일, 이것은 창조 신화의 기본 구조를 이룹니다.(p92)<신화의 힘> 中


 영웅의 시련에서 핵심은, 자신을 버려서 자신을 더욱 높은 목적, 혹은 타인에게 준다는 겁니다. 이것만 알면 이 자체가 바로 궁극적인 시련이라는 걸 깨달아낼 수 있지요. ... 결국 모든 신화가 다루고 있는 것은 의식의 변모입니다... 시련과 계시, 이것이 바로 변모의 열쇠인 겁니다.(p234) <신화의 힘> 中


 시련과 이의 극복을 통해 영웅은 궁극적인 깨달음의 단계에 도달된다. 모든 시공간( Time- Space)을 넘어선 영원(永遠) 속에서 영웅의 모험은 외부가 아닌 내부를 지향한다. 그리고, 그의 모험은 자신안에서 서로 다른 두 세계(몸-마음, 필멸-불멸, 삶-죽음 등등)을 통합시키고 만물이 하나됨을 진정으로 알았을 때 끝나게 된다.


 속세의 근원은 영원입니다. 영원은 스스로 이 세상으로 흘러나오는 것입니다. 신에 관한 기본적인 신화적 관념이 바로 영원입니다. 신은 하나여도 속세에 내려와서는 여럿으로 나뉘어 우리 안에 거하게 되지요. 그런데 영원이라는 것은 모든 생각의 범주 너머에 있습니다.(p102)... 끝나지 않는 시간과 영원은 달라요. 영원은 시간 너머에 있어요. 시간이라는 개념은 이미 영원을 나타낼 수 없어요.(p405)  <신화의 힘> 中


 '초월자'라는 말의 본뜻은 모든 개념을 초월해 있는 자라는 것입니다... 시간과 공간은 우리의 경험을 한정시키는 감각 능력을 형성시킵니다. 우리의 감각은 시공의 장에 갇히고, 우리의 마음은 생각의 범주라는 틀에 갇혀 있습니다.(p126)... 무엇이든 궁극적인 실재는 존재와 비존재의 모든 범주를 초월한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있느냐, 없느냐는 시비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겁니다.(p127) <신화의 힘> 中


 깨달음이란, 만물을 통해 영원성의 찬연함을 인식하는 일이지요. 이 만물이라는 것은 이승에서는 선한 것으로 판별될 수도 있고 악한 것으로 판별될 수도 있는 것인데, 바로 그 이면을 꿰뚫어보아 버리는 것이지요. 여기에 이르면 속세적 욕망이나, 잃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서 완전히 놓여납니다.(p301)... 필멸(必滅)의 팔자와, 우리 안에 있는 초월적 영생불사의 관계를 이해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는 합니다만 불가능한 일은 아니지요.(p409)... 형이상학적 깨달음이란 '우리'라고 하는 존재가 사실은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깨달음, '우리'라는 것은 한 생명의 두 측면이라는 깨달음입니다... 우리의 진정한 실재는 모든 생명을 동일시하고 통합하는 데서 비롯됩니다.(p211) <신화의 힘> 中

 

 <신화의 힘>에서 캠벨은 '신화'가 단순한 옛날 이야기가 아니라 사회적으로는 구성원들을 결속시키며, 전통을 이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개인적으로는 삶의 근원을 깨닫고 자신을 변모(transformation)하는 도구임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신화의 사회적 기능과 개인적 기능은 서로 보완적으로 작동하지만, 때로는 충돌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캠벨은 다음과 같은 말로 '깨달음'을 강조한다. 깨달음을 통해 우리 삶의 질문을 던질 수 있도록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 이것이 신화가 현대 우리에게 주는 의미가 된다.


 중요한 것은 영적 수련입니다. 사회는 사람들로 하여금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것이고요. 사람은 사회를 섬겨야 하게 되어 있지가 않아요. 사회가 사람을 섬겨야 하지요. 사람이 사회를 섬기게 되면 우리는 괴물이나 다름없는 상태를 만나게 될 것입니다.(p34) <신화의 힘> 中


[사진] Darth Vader(출처 : www.starwars.com/databank/darth-vader)

 

 <스타워즈>의 등장인물들이 쓰고 있는 가면은 현대인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진짜 괴물 같은 힘을 상징합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우리 삶에 대한 위협입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질문을 던져봐야 합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인간으로서 우리가 속한 시대의 역사를 사는 법을 익히는 일입니다. 이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입니다.(p265) <신화의 힘> 中


 마지막으로, 가면(mask)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자. 다스베이더(Darth Vader)가 쓰고 있는 '가면'은 이어지는 캠벨의 신화 4부작의 핵심어(key word)이기도 하다. '가면'을 통해 무형(無形)의 존재가 유형(有形)의 존재로, 영원의 존재가 현세에 임하면서 축제가 생명력을 얻는다는 <신의 가면> 속의 가면과 스타워즈(Star Wars)의 가면은 다른 의미를 지니겠지만, 캠벨의 저작에 흐르는 일련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축제에서 가면은 그것이 표현하는 신화적 존재의 참된 환영(幻影, apparition)으로 숭배되고 경험된다. 가면을 만든 것은 사람이며 그것을 쓰고 있는 것도 사람이라는 사실을 모두 알고 있지만 말이다. 더군다나 신의 가면을 쓰고 있는 사람은 의례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 그 신과 동일시된다.... 그러한 신의 환영은 구경꾼과 행위자의 감정에 실제적인 힘을 미친다.(p35) <신의 가면 1 : 원시신화> 中


 

 위에서 보듯 <신화의 힘>은 캠벨의 신화학에 대한 개론적인 내용이 많이 담긴 책이기에, 신화학에 대한 좋은 입문서라 여겨진다. <신화의 힘>의 대담 내용은 영상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경우 <The Power of Mtyh>은 좋은 대본집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는 개인적인 경험을 마지막으로 페이퍼를 마무리한다. 


PS. Episode 1,2 편은 조회가 되지 않기에 3편부터 시청해야 하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3-17 21: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조선 후기에 씌여진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 는 우리의 세시풍속의 유래에 대해 설명하는 책입니다. 다만, 많은 풍속의 기원을 중국에서 찾고 있어 학계에서 논란이 없지는 않지만, 책에서는 당대의 풍속과 이에 대한 당대인들의 인식이 잘 드러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동국세시기>에서는 설날 조선의 풍속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서울 풍속에 설날 가묘(家廟)에 인사드리고 제사지내는 것을 차례(茶禮)라고 한다. 남녀 아이들은 모두 새 옷을 입는데 세장(歲裝 : 설빔)이라고 한다. 친척 어른들을 찾아뵙는 것을 세배(歲拜)라고 한다. 제철 음식을 대접하는 것을 세찬(歲饌)이라 하고, 술을 세주(歲酒)라고 한다... 사돈지간의 부녀자들은 서로 곱게 단장한 어린 계집종을 보내 새해 안부를 묻는데, 이런 어린 종을 문안비(問安婢)라고 한다. 조선 영조 때의 참봉 이광려(李匡呂)의 시에 "어느 집 문안비가 문안하러 어느 집에 가는가?"라는 구절이 있다.(p38) <동국세시기> 中


  저자 홍석모(洪錫謨, 1781 ~ 1857)가 묘사하고 있는 조선 후기의 모습에는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이어져 오는 풍속이 담겨있어 전통(傳統) 명절인 설날을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민간에서는 잘 아는 젊은이를 만나면 "과거 급제해라", "벼슬해라", "재물 얻어라" 따위의 말로 덕담을 하며 축하한다... 오행점(五行占)을 쳐서 새해의 신수를 점친다. 오행에 각기 점사(占辭)가 있는데, 나무에 장기알처럼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를 새겨 일시에 던지고, 바로 놓였는지 뒤집혔는지 보고서 점괘를 얻는다.(p43) <동국세시기> 中


 새해의 첫 날을 경사스러운 날로 보고 덕담을 건네고 점을 치는 모습은 우리에게만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이를 오비디우스(Publius Ovidius Naso, BC 43 ~ AD 17)의 <로마의 축제들 Fasti>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십시오, 게르마니쿠스 공이시여, 야누스가 공에게 축복받은 한 해를 알리고 있습니다... 

축복받은 날이 밝아오고 있습니다. 그대들은 나쁜 것은 말하지도 생각지도 마시오. 오늘은 좋은 날이니 좋은 말만 해야할 것이오. 

소송에 귀 기울이지 말고 사악한 말다툼일랑 당장 멀리하시오. 

오늘은 그대들의 일을 뒤로 미루시오(제1권 63 ~ 73)...

시작에는 전조가 들어 있는 법이라오. 

그대들은 맨 처음 듣는 말에 조심스럽게 귀를 세우고 

복점관(卜占官)은 맨 처음 눈에 띄는 새를 풀이하지요. 

이때는 신들의 귀도 신전처럼 열려 있어서, 어떤 혀도 

헛된 기도를 올리지 않고 말하여진 것은 무게가 나가는 법이라오."(제1권 1월 178 ~ 182) <로마의 축제들> 中


[사진] 떡국(출처 : 위키백과)


 맵쌀가루를 쪄서 큰 판자 위에 놓고 자루가 달린 절굿공이(떡메)로 수없이 찧고 길게 늘여서 기다란 다리 모양의 떡을 만드는데, 흰떡이라고 한다. 동전처럼 잘게 썰어서 육수에 넣고 끓인다. 쇠고기, 꿩고기, 고춧가루를 넣어 맛을 내는데, 떡국(餠湯)이라고 한다. 이것으로 제사를 지내고 손님을 대접하니, 빠뜨릴 수 없는 세찬이다.(p38)<동국세시기> 中


 동시에, 지금과는 다른 설날의 모습 또한 확인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사례로 세뱃돈이 언급되는 것을 보면, 전통 또한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임을 새삼 깨닫게 됩니다. <동국세시기> 역해자가 세뱃돈의 유래를 추측했듯, 저도 <로마의 축제들>안에서 세뱃돈을 주는 풍습이 퍼진 이유를 넘겨짚어 봅니다.


 세뱃돈에 대한 언급은 조선 말기의 <해동죽지 海東竹枝>를 제외한 여타 세시기 및 세시기속시에는 보이지 않는다. 조선시대의 도덕 관념상 친지에게 세배를 하고 돈을 받는다는 것은 수긍하기 어렵다. 추측이지만, 문안비에게 주는 수고비에서 유래한 것이 아닌가 한다.(p48) <동국세시기> 中


 지금은 돈이 제일이오. 재력이 관직도 가져다주고 

재력이 우정도 가져다주며 가난한 자는 어지서나 유린당하지요... 

옛날에는 구리를 선물했으나 지금은 금이 더 좋은 전조로 통하니까 

옛날 돈이 새 돈에게 져서 자리를 내둔 것이지요. (제1권 1월 217 ~ 223) <로마의 축제들> 中

 

설이 오기 전날인 2월 4일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入春)입니다. <로마의 축제일>에서도 음력 설날 즈음인 2월 9일을 봄의 시작을 알리는 때로 보고 있습니다.

 

 닷새 뒤에 샛별이 찬란한 빛과 함께 바닷물에서 떠오르면 

 그때는 봄이 시작됩니다. 

 하지만 속지 마십시오. 아직도 추위가 남아 있습니다. 

 떠나는 겨울은 큰 흔적을 남기는 법입니다.(제2권 2월 149 ~ 152) <로마의 축제들> 中


[사진] 입춘대길 건양다경(출처 : 서울신문)


 이제는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으로 유명한 춘련(春聯)을 예전처럼 문에 붙이지는 않지만, <동국세시기>에 있는 춘첩자에는 좋은 내용의 글이 담겨 있어 이를 그대로 옮겨 봅니다.


 대문과 방문의 신령이 불길한 것을 물리친다

 나라는 태평하고 백성은 평안하며 집안은 넉넉하고 사람은 풍족하다

 비바람이 순조로워 계절이 온화하고 풍년이 든다

 산처럼 장수하고 바다처럼 부유하다

 모든 재앙 물러가고 온갖 복이 찾아온다

 입춘이니 대단히 길하고(入春大吉) 봄이 오니 경사가 많다

 요임금의 세월, 순임금의 세상

 임금 사랑하여 도가 태평하길 바라고 나라 걱정하여 농사가 풍년 들기 원한다

 부모는 천년 동안 장수하고 자손은 만대에 걸쳐 영화롭다

 천하는 태평한 봄날이요, 사방에 아무런 일도 없다

 나라에는 좋은 때 만나는 경사가 있고 집에는 먹고 살 걱정이 없다

 재앙은 봄눈 따라 녹고 복은 여름 구름처럼 일어난다

 북당의 훤초는 푸르고 남극성은 밝다

 하늘은 봄날에 가깝고 인간 세상에는 오복이 온다

 닭이 울어 새해의 덕을 알리고 개가 짖어 작년의 재앙을 쫓는다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여려 온갖 복이 온다

 봉황은 남산의 달을 보며 울고 기린은 북악의 바람을 맞으며 노닌다

 대문으로 춘하추동 복을 맞이하고 방문으로 동서남북 재물을 들인다

 여섯 마리의 자라가 절하며 남산같은 장수를 바치고 아홉 마리 용은 사해의 보배를 실어온다

 하늘은 세월을 더하고 사람은 수명을 더하며, 봄은 천지에 가득하고 복은 집에 가득하다(p61) <동국세시기> 中


 위의 글을 읽으니 올 한해 토정비결 괘가 위와 같다면 좋은 일만 가득한 한 해가 될 듯 합니다. (아마 힘들겠지요?) 입춘이 '작은 설날'로 들어온 올해, 이웃분들 모두 입춘을 통해 액운을 쫓고 설날 복 많이 받으시길 기원하며 이만 인사드립니다. 행복한 설 연휴 되세요.


댓글(8)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2-03 07: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2-03 07: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2-03 09: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2-03 11: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2-03 11: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2-03 11: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bookholic 2019-02-05 08: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떡국도 맛있게 드시고요~~^^

겨울호랑이 2019-02-05 08:48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bookholic님께서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가족과 함께 행복한 연휴 보내세요!
 


 도마복음서의 발견이 신학계에 일으킨 가장 커다란 파문은 뭐니뭐니 해도 Q복음서를 가설 아닌 실체로서 등장시킨 사건이다.... 마태, 누가 복음서 중에서 복음서원형이라고 말할 수 있는 마가자료를 제외한 부분 중에서, 마태와 누가에 공통된 부분을 그냥 자료(Quelle)라는 의미로 Q라고 불렀던 것이다. 그 가설적 문헌을 치밀하게 연구해본 결과, 그것은 단지 어록(로기온 자료) 형식의 모음집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던 것이다. 즉 예수의 말씀(가라사대 파편)만으로 구성된 자료라는 것이다.(p349)... 도마복음서는 꿈에 그리던 어록복음서(saying gospel)이었던 것이다.(p350) <도올의 도마복음 이야기1> 中


 이 <숫타니파타>는 수많은 불교 경전 중에서도 가장 초기에 이루어진 경전이다... 불교 경전은 원래 눈으로 읽는 문자로 쓰여지지 않고 부처의 가르침을 들은 제자들이 그 내용을 함께 암송해오다가 후기에 문자로 정착된 것이다... 부처에게는 자기 자신이 어떤 종교의 창시자라는 의식이 전혀 없었다. 단지 눈 뜬 사람으로서 그 역할을 다했을 뿐이다.... <숫타니파타>를 보면 부처가 말한 그 가르침의 원형이 어떤 것인가를 자세히 알 수 있다.(p12) <숫타니파타 - 서문(법정)> 中 


[사진] 피할수 없는 죽음(출처 : http://aristeinhk.blogspot.com/2015/04/inevitable-death-sutta-nipata-574-581.html) 


 <숫타니파타>와 <도마복음>. 별로 관련없어 보이는 두 문헌의 공통점이 있다면  아마도 불교와 기독교 가르침의 원형(原形)을 담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길(道)은 통해서일까. <숫타니파타>와 <도마복음>를 비교해서 읽다보면 다른 듯 같은, 같은 듯 다른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 <도마복음한글역주>의 저자 도올 김용옥 교수는 그의 저서 여러 곳에서 <숫타니파타>를 통해 <도마복음>을 풀이하고 있다. 이번 페이퍼에서는 <숫타니파타>와 <도마복음>의 말씀을 통해서, 가르침의 원형을 거칠게나마 느껴보고자 한다.


[사진] 도마복음서( 출처 : https://www.alphawiki.org/w/%ED%86%A0%EB%A7%88%EC%8A%A4%20%EB%B3%B5%EC%9D%8C%EC%84%9C)

 

 <도마복음한글역주>의 저자는 복음서 속의 방랑하는 자의 모습 속에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숫타니파타>의 말씀을 떠올리고 있다. 모든 것에 미련을 갖지말고 나가라는 두 말씀 사이에서 우리는 '고독함'이라는 공통된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버리고 떠나야 하는가? <숫타니파타>는 그 이유를 '집착'이라고 말한다.


제42장 1 예수께서 가라사대, "방랑하는 자들이 되어라."(p104) <도마복음한글역주 3> 中

 

 52 추위와 더위, 굶주림, 갈증, 바람, 그리고 뜨거운 햇볕과 쇠파리와 뱀. 이러한 모든 것을 이겨내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p30)... 16 우리들을 생존에 얽어매는 것은 집착이다. 그 집착을 조금도 갖지 않은 수행자는 이 세상도 저 세상도 다 버린다. 뱀이 묵은 허물을 벗어 버리듯.(p19) <숫타니파타> 中


 <숫타니파타>에서는 집착을 버리기 위해 열심히 정진한 것을 강조한다. 마찬가지로 <도마복음>에서 방랑하는 자는 구하는 것을 찾을 때까지 그치지말고, 나아갈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은 무엇을 찾기 위해서 이처럼 나가야 하는가?


 61 '이것은 집착이구나. 이곳에는 즐거움도 상쾌함도 적고 괴로움뿐이다. 이것은 고기를 낚는 낚시이구나.' 이와 같이 깨닫고, 지혜로운 자는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68 최고의 목표에 이르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마음의 안일함을 물리치고 수행에 게으르지 말며, 부지런히 정진하여 몸의 힘과 지혜의 힘을 갖추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p33) <숫타니파타> 中 

 

 제2장 예수께서 가라사대, "구하는 자는 찾을 때까지 구함을 그치지 말지어다. 찾았을 때 그는 고통스러우리라. 고통스러울 때 그는 경이로우리라. 그리하면 그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되리라."(p133) <도마복음한글역주2> 中 


 <숫타니파타>에서는 '마음의 통일'이라는 경지를 얻기 위한 정진을, 그리고 <도마복음>에서는 '(아버지의)나라가 너희 안과 밖에 있음'을 발견할 것을 강조한다. '안에도 있고, 밖에도 있음'에서 '마음의 통일'의 의미를 찾는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224 이 세상과 저 세상의 그 어떤 부라 할지라도, 천상의 뛰어난 보배라 할지라도, 우리들의 완전한 스승에게 견줄만한 것은 없다. 이 뛰어난 보배는 눈 뜬 사람 안에 있다. 이 진리에 의해서 행복하라.(p86)... 225 마음의 통일을 얻은 스승은 번뇌와 욕망과 죽음이 없는 경지에 도달한다. 그 이치와 견줄 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이 뛰어난 보배는 그 이치 속에 있다. 이 진리에 의해서 행복하라.(p87) <숫타니파타> 中


 제3장 진실로, 나라는 너희 안에 있고, 너희 밖에 있다. 너희가 너희 자신을 알 때 비로소 너희는 알려질 수 있으리라. 그리하면 너희는 너희가 곧 살아있는 아버지의 아들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리라. 그러나, 너희가 너희 자신을 알지 못한다면, 너희는 빈곤 속에 살게 되리라. 그리하면 너희 존재는 빈곤 그 자체이니라."(p157) <도마복음한글역주2> 中


 <숫타니파타>에서 '마음의 통일'을 강조하는 이유는 아마도 다음의 구절이 잘 설명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피아(彼我)의 구별이 없는 통일된 상태에 이르렀을 때 모든 괴로움(苦)는 사라지는 것이 아닐까. 마음의 통일 상태에서 무상(無常), 무아(無我)임을 깨닫는다면, 일체개고(一切皆苦)에서 벗어난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도마복음>에서의 '안에도 있고, 밖에도 있음'도 이러한 의미는 아닐런지.

 

734 "모든 괴로움은 식별 작용으로 인해 일어난다. 식별 작용이 없어지면 괴로움은 생길 수 없다. 735 괴로움은 식별 작용에 의해 생긴다는 것을 알아 식별 작용을 고요히 가라앉힌 수행자는, 쾌락에서 벗어나 평안에 이르게 된다.(p255) <숫타니파타> 中


 그렇다면, 이러한 진리를 깨닫게 되었을 때, 우리는 무엇을 가질 수 있을 것인가. <숫타니파타>에서는 이를 윤회를 넘어선 자, '바라문'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하였고, <도마복음>에서는 이를 통해 '구원'받을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순환적인 불교의 시간관과 직선적인 기독교의 시간관은 비록 다르지만, 끝까지 나아감을 통해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한다는 점에서는 같다고 여겨진다.


 519 "사비야여, 모든 악을 물리치고 때묻지 않고, 마음을 잘 가라앉혀 스스로 안정시키며, 윤회를 넘어서 완전한 자가 되어 걸림이 없는 사람, 그를 '바라문'이라 합니다. 520 절대 평화의 세계에 들어가 선과 악을 버리고 때묻지 않으며, 이 세상과 저 세상을 알고 생과 사를 초월한 사람, 이런 사람이야말로 '사문'입니다.(p184) <숫타니파타> 中


 제70장 1 예수께서 가라사대, "만약 너희가 너희 내면에 있는 것을 끊임없이 산출해낸다면, 너희가 가지고 있는 그것이 너희를 구원하리라. 2 만약 너희가 그것을 너희 내면에 가지고 있지 못하다면, 너희가 너희 내면에 가지고 있지 못한 그 상태가 너희를 죽이리라."(p214) <도마복음한글역주 3> 中


 <숫타니파타>와 <도마복음> 속의 말씀을 이처럼 조합하다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분별이 없는 상태에서 진리를 깨달을 수 있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중단없이 용맹정진하며, 미련을 가지지말고 혼자서 방랑하는 고독한 삶을 살아야 한다... 개인적인 생각이기 때문에, 분명 놓친 부분이 있을 것이고 비약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가장 큰 종교의 가르침 속에서 공통 분모(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있다는 사실은, 종교간 대립이 심해지고 있는 지금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과연 종교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을 던지게 된다. <숫타니파타>와 <도마복음> 속에서 옛 성인(聖人)의 가르침을 확인하면서 이번 페이퍼를 마친다.


PS. <도마복음>에서 말하고 있는 '비어있는 동이를 이고 간 여인'은 자신의 동이가 비어있는 것을 발견했을 때 어떤 마음이 들었을까?


 제97장 1 예수께서 가라사대, "아버지의 나라는 밀가루를 가득 채운 동이를 이고 가는 한 여인과도 같다. 2 그녀가 먼 길을 걸어가는 동안, 이고 가는 동이의 손잡이가 깨져서, 밀가루가 새어나와 그녀가 가는 길가에 흩날려 뿌려졌다. 3 그러나 그녀는 그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 그녀는 문제를 눈치채지 못했던 것이다. 4 그 여인이 집에 당도했을 때, 그녀는 그 동이를 내려놓았다. 그리고 그것이 비어있는 것을 발견했다."(p302) <도마복음한글역주 3> 中


766 욕망을 이루고자 하는 사람이 욕망을 이루면, 그는 얻고자 하는 것을 얻었기 때문에 기뻐한다. 767 욕망을 이루고자 하는 사람이 욕망을 이루지 못하게 되면, 그는 화살에 맞은 사람처럼 괴로워하고 번민한다. 771 그래서 사람은 항상 바른 생각을 지키고 모든 욕망을 피해야 한다. 배에 스며든 물을 퍼내듯이, 욕망을 버리고 거센 강을 건너 피안에 도달한 사람이 되라.(p271) <숫타니파타> 中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8-09-16 20: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수천년 전의 기록이 지금까지 전해오는 것, 그리고 지금 읽어도 의미를 생각해야 할 내용이 있다는 것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그 시기보다 많이 달라졌지만, 달라지지 않은 것들도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겨울호랑이님, 편안한 일요일 저녁시간 보내세요.^^

겨울호랑이 2018-09-16 21:28   좋아요 1 | URL
시간이 흘러 옛날과 많은 것이 바뀌어도 근원적인 것은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서니데이님 남은 일요일 밤 잘 마무리 하세요!^^:)
 

 

<신과 함께>는 주호민 작가가 그린 웹툰을 출판한 책이다. 주로 제주 지역 민간 설화를 바탕으로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해석하여 재밌게 읽을 수 있다. 내용을 요약 정리하는 기존의 리뷰 작성 방식은  만화책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적절치 않은 방식이라 생각되어 조금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 본다. <신과 함께>에서 다루고 있는 설화 중 주요한 몇몇 인물에 대해 <살아 있는 한국 신화>에 수록된 원전(原典)의 내용과 저자인 신동흔 박사의 설화 해설을 옮겨 볼 계획이다. 결론 부분에 다소의 스포가 있지만, <신과 함께>의 많은 내용이 작자 창작이라는 점과  설화들 다수가 '해피엔딩'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독서에 큰 방해는 안되리라 생각된다.


 1. 천지왕과 수명장자, 대별왕과 소별왕, 태초에 싸움이 있었다

 

[그림] 대별왕과 소별왕(왼쪽부터)


'수명장자가 도끼로 머리를 깨라고 하는 뜻밖의 상황에서 천지왕은 수명장자 머리에 씌웠던 두건을 벗겨서 돌아선다. 천지왕은 왜 그냥 돌아선 것일까?... 인간 세상의 일에 대해 신이 지나치게 개입하는 것을 제한하는 사고가 거기 담겨있음을 본다. 인간이 하는 일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신이 달려와서 그를 쳐 죽인다든가 하는 것은 한국 신화의 사고 방식이 아니다.'(p44)


  '소별왕이 수명장자를 징치하고 세상의 질서를 잡은 것은 원시적 삶에서 문명적 삶으로 나아온 역사적 과정의 신화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대별왕(또는 미륵)의 존재다. 본질을 꿰뚫는 지혜와 생명을 살려내는 능력을 함께 지녔으면서도 이 세상을 책임질 수 없었던 진짜 능력자 말이다. 그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우리가 저승이라 부르는 또 다른 세상에서 사람들의 빛이 되었다.(p47)... 소별왕에게 이승을 넘기고 저승으로 떠나간 대별왕은 이렇게 사람들에게 구원과 희망의 존재가 된다. 그 구원은 저세상에서의 일이지만 이 세상에서의 구원을 향해서도 열려 있다.'(p48)


[그림] 저승 삼차사 : 해원맥, 강림도령, 이덕춘(왼쪽부터)


 2. 저승 삼차사 : 백년해골을 모신 사만이와 저승 삼차사


 '명신손님처럼 멀리 낯선 땅에 깃들어 있으면서 긴 여행을 통해 이 땅을 찾아오는 신들이 있다. 그 대표적인 존재가 바로 어둠의 신 저승사자다. 그들은 저 멀리 저승 황천에 살면서 인간 세상으로 훌쩍 건너와서는 수명이 다한 사람들을, 또는 신의 노여움을 산 사람들을 왈칵 붙잡아서 아득한 어둠의 땅으로 데려간다.'(p134)


 '잠깐 저승사자 이야기를 해보자면, 염라대왕 명을 받고 사람의 영혼을 거두러 오는 이 어둠의 사자는 셋이 함께 다니는 것이 보통이다. "삼차사"라는 말이 보편화되었을 정도다. 삼차사를 명차지 차사와 복차지 차사, 녹명차지 차사라고 말하고 있는데, 다른 자료에서는 천황차사와 지황차사, 인황차사라고도 하고, 저승차사 이승차사 부왕차사라고도 하며, 일직사자와 월직사자, 이원사자(또는 강림차사)라고도 한다. 세 사자에게는 각기 해원맥과 이덕춘, 강림도령이라는 이름이 붙이기도 한다.' (p150)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초상에 임하여 저승사자를 위한 상을 차리는 풍속이 이어져 왔다. 혹시라도 저승사자들이 마음을 돌려 목숨을 살려주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죽은 이를 편안하게 데려가주기를 기원하는 행위였다. 떠나는 이에 대한 마음을 그렇게라도 표현함으로써 아쉬움과 서글픔을 달래고자 했던 바, 그러한 마음의 표시를 미신이라고 폄하할 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과 신이, 죽은 자와와 산 자가, 그리고 산 자와 산 자가 함께 살아가는 방식이었다.'(p154)


 3. 용사 강림 : 염라왕을 잡으러 저승으로 간 용사 강림


 '이름에서부터 범상치 않은 기운이 느껴지는 강림도령은 사람의 혼을 저승으로 데려가는 저승차사다. 본래 이승의 차사였는데 능력을 인정받아 저승의 차사가 되었다.'(p443)


 '이 신화를 관통하는 기본 요소가 무엇인가 하면 바로 삶과 죽음의 문제다. 죽을 운명을 탐지하고 그것을 회피하려다가 결국은 운명에 맞닥뜨리는 버물왕 삼형제의 역정이 그러하며 억울한 죽음이 원수의 자식으로의 환생과 재죽음으로 이어지는 서사도 그러하다. 과양생이 각시가 김치원에게 요구한 것도 생사 문제의 해명이었으며, 강림이 염마왕을 찾아 저승길을 넘나드는 것 역시 생사의 경계를 오간 자취에 해당한다.'(p478)


[그림] 할락궁이, 황우양씨, 막막부인(왼쪽부터)


 4. 할락궁이 : 신비의 꽃세상서 천꽃밭 찾아간 할락궁이


 '신비한 꽃의 세상을 우리는 한 편의 본풀이 신화를 통해 제대로 만나볼 수 있다. 사람을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하는 신비의 꽃들이 가득한 꽃밭이 있으니, 그 이름은 "서천꽃밭"이다. 그 꽃밭을 주재하는 신의 이름은 할락궁이(또는 한락궁이).'(p184)


 '이 이야기의 신화적 재탄생의 핵심에 무엇이 있는가 하면 바로 서천꽃밭의 상상력에 있다. 사람을 웃기고 울리며 죽이고 살리는 신비의 꽃들이 가득 차 있는 꽃밭. 그 꽃밭이 있는 곳이 어디인가 하면 저 너머 또다른 세상이었다.(p201)... 서천꽃밭이 꽃이 표상하는 생사와 고락은 이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 및 행로와 맥이 통한다. 이 신화 속의 사라도령과 원강아미, 할락궁이는 생과 사가 엇갈리는 경계 속에서 누구보다 큰 비애를 경험하는 존재들이다.'(p203)  


 '사라도령과 원강아미는 삶과 죽음을 경계로 갈라져야 하는 운명에 직면한다. 온몸으로 그 운명에 맞서보지만 마침내 남는 것은 회한과 절망이었다... 할락궁이는 그야말로 사무치는 원한과 분노의 화신이었다.(p203)... 할락궁이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생사의 경계에 놓인 채로 누구보다 크고 뜨겁게 희비의 쌍곡선을 경험한 그였다. 그러니 그는 세상 누구보다 밝은 거울이 된다.'(p205)


 5. 황우양씨와 막막부인 : 시험에 대처하는 황우양씨와 막막부인


 '<성주풀이>는 가신(家神)의 내력을 풀어낸 신화이다. 부부가 함께 가정에 깃들어서 아내는 집터의 신이 되고 남편은 집의 신이 되어 집안을 수호해주게 된다는 설정이 흥미롭다.(p416)... 이 신화의 서사적 맥락은 한 가정의 평화가 심각한 위기에 놓였다가 회복되는 과정을 기본 줄기로 삼고 있다.(p417)... 이 부부의 동선에서 무엇보다 마음을 끄는 것은 바로 "믿음"이다. 겉으로 내놓고 말하지 않아도 서로에 대한 깊은 믿음으로 이어져 있다.'(p419)


 '황우양씨와 집의 신인 성주신이 되고 막막부인이 집터의 신인 지신이 되는 것도 의미심장한 면이 있다. 겉으로 눈에 보이는 화려함은 당연히 "집"의 몫이다. 하지만 집보다 더 중요한 것이 터다. 터가 좋아야 집이 잘되는 법이다. 집은 허물어져도 터는 영원히 남는다.'(p422)


[그림] 여산부인, 녹두생이, 노일저대(왼쪽부터)


 6. 조왕신 여산부인과 측간신 노일저대 


 '전체적으로 인물간의 대립 관계가 매우 극적으로 부각되어 있는 것이 이 신화의 특징이 된다.(p577)... 노일저대가 "배설"의 장소인 뒷간의 신이 된다는 것은 너무나 정확히 들어맞아서 오히려 놀랍다. 배설에 대한 본능적 욕구란 인간의 삶에서 사라질 수 없는 요소이다. 배설하기 때문에 인간이다. 그리고 그 배설을 통해 생명이 자라는 것이기도 하다. 그것은 인간의 어둡고 추한 부분이지만, 또한 그를 위한 자리가 필요하다. 노일저대에게 측도부인이라는 신직이 부여되는 것은 이러한 삶의 이치가 신화적으로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p580)


 7. 불운의 신 지장


 '이름만 보면 "지장보살"을 떠올리게 되지만, 이 신은 "지장이 많다" 할 때의 지장에 가까운 존재다. 살 煞이 끼었다거나 사 邪가 둘렸다 할 때의 부정한 그 무엇이 지장이다.(p588) ... 빛 속의 신과 그늘 속의 신을 갈라본다면 지장은 당연히 후자에 속한다. 그늘 가운데도 가장 어둡고 차가운 쪽에 자리 잡은 신이 될 것이다. 그러한 존재를 관심의 대상으로 여기고 신령한 의례의 대상으로 삼아서 한 편의 덩그런 신화를 전승해온 것이 지난 시절의 민중들이었다.'(p593)

 

 

<신과 함께>에 나오는 신 神 의 모습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 익숙한 우리에게 차라리 낯설기까지 하다. 미남  美男, 미녀 美女의 모습으로 인간 위에 군림하는 그리스 신과는 달리 우리 신의 모습은 우리 자신들의 모습이며 우리 이웃들의 모습이다.


 '멋지고 아름다우며 강령한 힘을 가진 신, 인간과 전혀 다른 차원의 전능한 신을 상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런 신들이 우월한 능력으로 인간의 삶을 지켜준다면 참 고맙고 편안한 일 일 것이다. 그런데 우리 민간 신화는 왜 이렇게 굳이 남선비와 노일저대 같은 누추하고 험한 존재들을 신으로 삼는 것일까. 이는 그것이 인간 본연의 모습이기 때문일 것이다. 신성이 다른 데 있지 않고 그 안에 있기 때문일 것이다.'(p581)


  <살아 있는 한국 신화>의 저자 신동흔 교수는 신성 神性을 우리 자신 안에서 발견하고 있다. 멀지 않은 곳에 신이 있다는 것은 그리스의 주요 신들이 태양신, 바다의 신, 달의 여신 등 멀리 떨어진 존재인 반면, 우리 민화에는  집을 지켜주는 가택신, 부엌을 관장하는 조왕신, 대문을 지켜주는 문왕신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또, 그리스 신화에서 신은 누구나 될 수 있지 않다. 신들은 하늘과 맞닿은 올림푸스 산에서  '불멸 不滅'의 존재감을 과시하면서 그들만의 삶을 누린다. 인간으로서 그들과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신들의 피가 섞여 '반인반신 半人半神'의 영웅으로 살아가는 정도가 최선일 뿐 대부분, '필멸 必滅'의 존재인 인간은 수동적인 존재일 뿐이다. 신에 대한 두려움은 신들이 살고 있는 올림푸스 산의 모습 속에 잘 드러난다.

 

[사진] 올림푸스 산 (출처 : 나무위키)


 그리스 신들이 사는 거처가 멀리 떨어져 경외 敬畏의 대상인 올림푸스산이라면, 우리네 신들(산신령)이 사는 산은 우리 주면에 마음만 먹으면 갈 수 있는 우리 앞 산, 뒷산이다. 엄마가 떡을 팔고 집에 오다가 호랑이를 만나기도 하는 곳. 우리 근처에 우리의 신들은 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신들은 결코 먼 존재가 아니었다. 민간설화가 많이 남아있는 제주의 오름을 보면 우리 '신들의 공간'을 느끼게 된다.

[사진] 제주 오름 (출처 : http://jejulover.tistory.com/24)


 신화(myth) 神話라고 하면 그리스 아프로디테가 바리데기 공주보다 더 익숙한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의 신화를 읽다보면 그리스 신화에 없는 따뜻함을 느낄 수 있다.  그것은 아마 오랜 세월 우리 선조들이 느꼈던 그런 감정이 아닐까. 우리는 그러한 감정을 우리 신화를 통해 느낀다. 바쁜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이지만, 잠시나마 시간을 내서 <신과 함께>와 <살아 있는 한국 신화>를 통해 따뜻함을 느끼고 우리 삶을 충전하는 것 또한 삶을 살아가는 작은 지혜라 여겨진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철나무꾼 2017-06-02 17: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제 잡이라는 티비 프로그램 보는데 주호민 나와서 반가웠어요.
저는 저승편 3권만 본 것 같은데, 영화로도 만들어진다죠?^^

겨울호랑이 2017-06-02 17:54   좋아요 1 | URL
네 그렇습니다. 올 여름에 영화 개봉한다고 하던데, 캐스팅도 하정우, 이정재, 차태현, 주지훈 등이 나온다고 하니 기대되네요.^^:

2017-06-02 18: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6-02 19: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사마천 2017-06-03 13: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자연의 위력이 강한 곳에서 신들이 함께 머물려 인간을 돌봅니다. 일본도 비슷해요. 신과 함께 대단한 웹툰이라고 들었는데 제주에 뿌리를 두었군요. 오늘도 새로운 지식 나눔. 호랑이님 화이팅 ^^

겨울호랑이 2017-06-03 13:43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사마천님 말씀 들으니 그리스에 올림푸스산이 있다면, 일본에는 후지산이 있음을 생각하게 되네요^^: 그래서 일본을 ‘신의 나라‘라 하는 것 같습니다. 좋은 내용의 만화라 사마천님께서 편하게 읽으시리라 생각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나와같다면 2017-06-03 14:4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寒 氷 저승편에서 봤던 한빙지옥이 떠오르네요..
타인의 마음을 얼어붙게 만든 자를 심판하는 지옥..
마음이 얼어붙은 적도, 타인의 마음을 얼어붙게 한 적도 있기 때문에..

겨울호랑이 2017-06-03 14:53   좋아요 2 | URL
네, 저도 저승편에서 7가지 지옥이 떠오르네요. 착하게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습니다..^^:

AgalmA 2017-06-03 20:1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님이 이 글 쓰셔서 더 어울림요ㅎ ˝비나이다 비나이다 겨울호랑이님께 비나이다˝~ ˝에비~ 겨울호랑이님이 잡아 가신다!˝~ ˝만나면 반갑다고 곶감곶감~˝
(내 귀에 굿청장치)

겨울호랑이 2017-06-03 20:44   좋아요 2 | URL
ㅋㅋ 이런.. 졸지에 산신령 졸개 호랑이가 되버렸네요 ㅋㅋ

커피소년 2017-06-08 19: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일 기억이 남는 신화는 단군신화입니다.. 예전에 만화로도 재미있게 봤습니드.. 호랑이는 사람이 못 되고 곰은 사람이 되고.. 생각해보면 곰이 오히려 어리석은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동물이 사람이 되어서 얻는 것이 무엇일까요?

겨울호랑이 2017-06-08 19:54   좋아요 1 | URL
^^: 저도 인간인지라 잘 모르겠네요. 인간이 새의 날개, 호랑이 이빨 등을 부러워하는 것처럼 자신이 없는 것을 동경하는 것은 아닐까요? 큰 머리같은...
 

 

<선의 나침반 The compass of Zen>은 숭산(崇山, 1927 ~ 2004)스님의 가르침을 현각(玄覺, 1964 ~ ) 스님께서 엮은 책이다. <선의 나침반>은 불교 입문자들에게 '불교(佛敎)가 무엇인가?'를 전반적으로 잘 소개한 책이라는 평(評)을 받고 있다. 좋은 평가에 맞게 간결하면서도 핵심(核心)을 설명하고 있어 불교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을 잡는데 도움이 되며, 특히 불교 신자가 아닌 이들에게도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종교가 다른 이들에게 <선의 나침반>은 어떤 방식으로 불교(佛敎)를 알려주고 있을까. 먼저 책의 제목인 <선의 나침반>의 의미를 서문(序文)에서 살펴보자. 


 '이 책의 제목을 왜 "선의 나침반"이라고 지었는가? 부처님은 우리 인생이 "고해(苦海)"라고 가르쳤다. 모든 사람들은 나고 늙고 병들어 죽는다. 그리고 또 다시 태어나고, 우리의 욕망과 집착 때문에 우리는 고해에 빠지기를 반복한다. 산스크리트로 이것을 "삼사라(samsara, 輪回)"라고 부른다. 돌고돌고 돈다는 뜻이다. 부처님은 우리가 이 고통의 바다를 건너기 위해 "지혜(prajna)의 배"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이 배에는 다른 배들과 마찬가지로 나침반이 필요하다.'(1권 p17)


 '불교 가르침의 진수는 바로 이 "나는 누구인가?" 하는 질문을 깊이 함으로써 "오직 모를 뿐......" 이라는 깨달음을 얻는 순간이 우리의 본성, 참 나(眞我)를 얻는 것이라는 점이다. 진정한 불교는 단지 종교가 아니다. 불교는 길(道)이다. 그 길의 이름이 "오직 모를 뿐"이다.'(1권 p28)


 우리가 삶이라는 고통의 바다를 건너기 위해 '진리'를 가르키는 진리의 나침반을 필요하다. 그리고, 그 나침반을 발견하는 과정이 참선 수행일 것이다. <선의 나침반>에서는 진리 그 자체보다 참선 수행의 목적에 대해 반복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여기에 필요한 불교 지식을 함께 소개하고 있다. <선의 나침반>에 소개된 여러 내용 중에서 특히 인상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리뷰를 작성해 본다. 


 1. 불교(佛敎)와 물리학(Physics)


 <선의 나침반>에서는 불교의 우주관(宇宙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세계를 시간과 공간으로 구분하고 우리의 상황이 세계 안에서 어떤 관계(인과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이 세계는 시간과 공간으로 나뉜다. (p112)... 우리가 스스로 시간과 공간을 만든다. 원인과 결과를 만든다. 그리고 이것이 우리 삶을 지배하도록 하는 것이다. 공간이 조건과 결과를 지배한다면 시간은 원인을 지배한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원인은 변하기 때문이다. 시간과 공간을 수평선과 수직선에 비유해 보면 시간은 공간을 가로지르는 수평선이며 공간은 수직선이다. 원인은 항상 어떤 조건을 가로질러서 어떤 결과를 만들어낸다. 우리가 어떤 상황에 놓여져 있다고 할 때 그 상황은 공간이다. 나의 상황은 나의 위치, 방, 관계, 집, 경험, 삶이다. 마음이 만들어내는 원인은 어떤 조건, 상황을 가로질러 "고통"이라는 결과를 만들어낸다.'(1권 p119)

 

 이와 같은 불교의 우주관을 우리는 현대 물리학 안에서 찾을 수 있다. 물리학은 시간과 공간의 장(場)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운동(運動), 그리고 그 안의 질서를 찾아내는 학문이다. 자연의 법칙을 찾는 물리학의 모습 속에서 우리는 불교를 발견하게 된다. 

 '먼저 이 행위들이 전개되는 연출무대는 공간space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 space and time임을 명심해야 한다. 실제로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은 삼차원이지만, 그래프에는 직선(일차원)으로 표시하도록 하자. 즉, 수평축은 공간을, 수직축은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에 사건의 위치를 표시하기로 한다.'(p138) <일반인을 위한 파인만의 QED강의>







[그림] 시간과 공간 (출처 : http://hkpark.netholdings.co.kr/web/manual/default/manual_print.asp?menu_id=107589&id=2773)


2. 불교와 기독교(基督敎)


 종교가 다르기 때문에 내 인식틀은 '기독교'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불교 신자들의 인식과는 차이가 생겨나지만, 그런 인식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선의 나침반> 안에서 많은 부분을 공감하게 된다. 그 이유는 <선의 나침반>에서 숭산 스님께서 불교의 용어로 불교를 설명한 것이 아니라, 다른 종교를 통해서도 불교의 진리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본문에서 '열반적정'을 설명한 부분을 살펴보자. 


 '열반적정(涅槃寂靜), 생사를 윤회하는 고통을 벗어난 피안이다. 신을 찾고 싶으면, 또 부처를 찾고 싶으면, "참 나" 혹은 "절대"를 찾고 싶으면, 당신은 이 완벽한 정적과 소멸의 상태를 얻어야 한다. 이 정적이란 진정한 공이다. 우리 마음과 우주의 본질이다. 14세기에 지어진 한 기독교 시(詩)는 이것을 아주 맑게 표현하고 있다.


 하느님은 깨끗하고 텅 빈 자리이다.

 그 자리에서 모든 모양이 나타난다.

 그것이 본성품이 되어

 밝음과 어둠, 고요함과 폭풍이 된다.


 The God who is pure emptiness(空)

 Is created as form(色)

 Becoming substance, light and darkness,

 The stillness and the storm.'(p140)


 또한, 프랑스 신부님들과의 대화를 소개한 다른 대목에서는 비록 책에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기독교의 시간관(時間觀)과 불교의 시간관이 서로 통함을 발견하게 된다. <선의 나침반>에서는 바로 '지금' 이 우리가 성불(成佛)하는 순간이라고 말한다.


  '선사님께서는 "원점(primary point)"이 무한대의 시간과 공간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원점과 하느님의 창조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 것입니까?(프랑스 신부의 질문)... 하느님의 창조에 대해 얘기하는 것은 단지 생각입니다. 그러나 이 테이블을 치는 것은 생각 이전입니다. 그것은 예수님과 부처님 이전입니다. 우주 이전입니다.... 법화경은 바로 이 지점이 어떻게 우리의 본성이고 모든 현상의 본질인지 깨닫게 해준다. 실제 우리는 바로 지금, 바로 이 장소가 아닌 때에 부처가 되지 못한다... 지금 이 순간에 뭔가를 하겠다는 마음이 이미 부처의 마음이다.'(1권p192)


 이와 관련하여 아우구스티누스 는 <고백록> 11권에서 현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해당되는 내용을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 리뷰에서 옮겨본다.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관련 내용 : http://blog.aladin.co.kr/702641187/8621064] 

<고백록> 11권에서는 "태초에 하느님이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창세기 1:1)"는 구절을 통해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론이 주된 내용으로 다루어진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생각하는 '시간'이라는 개념은 신(神)적인 개념이 아니라, 인간의 개념이다. 하느님(神)의 시간은 영원이며 불변이다.  '시간'과 '공간'마저 창조된 것이기 때문에, '창조 이전의 시간'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시간은 인간에게 있어, '현재'로 존재한다. 인간에게만 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영혼 안에서 시간을 재게 되고, '미래->현재-> 과거'라는 일련의 흐름으로 통해, 생명의 확장이 일어나게 되고, 끊임없는 시간의  확장을 통해 하느님께  영혼이 흘러간다는 것이 아우구스투스의 '시간론'이다.


 '차라리 시간은 셋인데 과거에 대한 현재, 현재에 대한 현재, 미래에 대한 현재라고 하는 편이 적절하다. 이 셋은 영혼 속에 존재하는 무엇이고 다른 곳에서는 이것들이 안 보이며, 과거에 대한 현재는 기억(記憶)이고 현재에 대한 현재는 주시(注視)이며, 미래에 대한 현재는 기대(期待)다'. <고백록> (11권 20,26) 


 이처럼 <선의 나침반>에서는 불교와 다른 종교가 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단어 하나만 바꿨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것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진리(眞理)가 결코 언어(言語)의 형식에 좌우되지 않음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점을 느끼는 것은 나뿐만은 아닌듯하다.


 '나는 미국 가톨릭 겟세마네 수도원에서 수도사들에게 참선 지도를 할 때마다 한번도 "부처"라거나 "불성"이라는 말을 쓴 적이 없다. 대신 "신성(神聖)"으로 바꿔 불렀다. 수도사들은 아주 행복해했고 우리 모두는 완전히 서로를 공유할 수 있었다.'(2권 p185)


 3. 진리를 깨닫다


 이러한 다른 종교의 세계관(世界觀), 교리(敎理)가 통할 수 있다는 점은  '진리를 깨닫는 과정'을 통해서도 발견할 수 있다. 기독교에서 진리를 찾는 과정은 <요한 복음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8장을 통해 잘 드러난다. 


'너희가 내 말 안에 머무르면 참으로 나의 제자가 된다. 그러면 너희가 진리를 깨닫게 될 것이다. 그리고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If you remain in my word, you will truly be my disciples, and you will know the truth, and the truth will set you free.'(요한 8 : 31 ~ 32)


 한편, <선의 나침반>에서는 '선원(禪圓 The Zen Circle)'을 통해서 이러한 깨달음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들어가 깨달음의 의미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0도는 "작은 나(small I)"이다. 90도는 "업을 가진 나(Karma I)"이다. 180도는 "나가 없는 나(Nothing I)"이고, 270도는 "자유로운 나(Freedom I)"이다. 그리고 360도는 "큰 나(Big I)"이다. "큰 나"란 시공을 초월한 것이다. 나와 너는 하나이다. 선 수행은 바로 이 360도에 도달하는 것이다.'(2권 p128)


 '"나"가 없음을 깨닫는 것이 만물의 실체를 깨닫는 것이다. 360도에 오면 만물을 있는 그대로 본다. 꽃은 붉고 벽은 하얗다. 나와 이 세계가 언제나 하나가 된다. 그러면 순간순간 오직 다른 사람을 위해 살게 된다. 큰 사랑과 큰 자비로 오로지 중생을 돕는 것. 그것이 바른 삶이다.'(2권 p130)


  이처럼 <선의 나침반>은 불교입문서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내용을 담고 있고, 쉽게 설명하고 있다. 또한, 다른 종교를 가진 이들도 공감할 수 있도록 여러 관점에서 불교를 설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불교 신자 뿐 아니라 나와 같은 타종교인들도 편견없이 불교에 대한 개관(槪觀)을 파악할 수 있게끔 해주는 좋은 책이라 생각한다.


ps <파인만의 일반인을 위한 QED강의>의 출판사가 '숭산' 스님과 발음이 비슷한 '승산' 출판사라는 것은 '불교'와 '물리학'과의 관계와는 무관(無關)하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4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5-22 15: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22 15: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23 11: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23 13: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29 22: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30 08: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AgalmA 2017-05-24 06:4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지금 제 인식으로는 시간과 공간은 나뉘지 않습니다. 굳이 나눠야 한다면 차라리 그것은 [시간-공간] 한 경계 그리고 다른 [시간-공간] 이 이어지는 연속체이자 무한 다발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다같이 움직이고요. 과거를 떠올리면 공간과 시간은 따로 오지 않습니다. 함께 옵니다. 여튼 이것도 제 사고실험일 뿐이겠지만요.
시간과 공간을 나누기 때문에 우리는 과거-현재-미래라는 선적인 세계에 갇히고 인과론적 사고밖에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이런 사고에서 물리적으로 벗어나기 어렵다는 거 저도 잘 압니다만. 10차원 상상이 어려운 이유이기도 하죠.

선의 나침반은 저도 읽어보려 한 책인데, 제겐 좀 실망스러운 소식이네요;

겨울호랑이 2017-05-24 07:52   좋아요 2 | URL
^^: 제가 쓴 리뷰가 <선의 나침반>에 대한 전체 내용을 정리하지는 못했습니다. 제가 인상적으로 느꼈던 부분이
리뷰에서 언급한 구절이지만,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내가 ˝모른다˝는 것을 잡고 끊임없이 정진하라.‘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제가 깨닫지 못해서 정확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공(空)의 세계에서는 시간-공간의 구분도 무의미할 것 같습니다. (설명 자체가 필요없겠지요.) 그럼에도 1권에서 ‘시간-공간‘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은 일반인들과 함께 이해하기 위한 방편이라 생각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AgalmA님께서 말씀하신 부분이 책의 내용과 더 가깝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후애(厚愛) 2017-05-26 12:1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님 즐겁고 행복한 금요일 되세요.^^
맛있는 점심 드시구요~

겨울호랑이 2017-05-26 12:17   좋아요 1 | URL
^^: 후애님도 여유있는 금요일 되세요. 보노보노가 아기해달인 것을 보니 제 생각보다 스케일이 큰 캐릭터인것 같습니다 ㅋ

서니데이 2017-05-26 20:4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종교와 철학의 문법도 수학과 과학의 문법처럼 낯선 먼 나라의 언어같습니다.
겨울호랑이님, 편안한 금요일 저녁시간 보내세요.^^

겨울호랑이 2017-05-26 21:51   좋아요 2 | URL
^^: 저 역시 낯선 이방인중 한 명입니다.ㅋㅋ ㅜㅜ 어렵기만 하네요. 서니데이님 하루 마무리 잘 하시고 편한 밤 되세요^^: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