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문화혁명
야마모토 요시타카 지음, 남윤호 옮김 / 동아시아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16세기 문화혁명이 외면적으로는 학문의 주역 교대, 그리고 그 표현 언어의 변화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직인, 예술가, 상인들이 속어로 자기표현을 시작해, 당시까지 라틴어가 단독으로 지배하던 문자 문화의 영역으로 월경해 들어감으로써 지知의 독점 구조의 일각을 허물어 냈던 것이다. 이런 분야에서 그들은 무엇보다 정확한 관찰과 정밀한 측정 그리고 정확한 기록을 중시했다. 그런 방식으로 새로운 인식이 나타났으며 나아가 자연에 대한 지식이 어떠한 것이어야 하느냐는 진리관에 근본적 전환이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이것이 16세기 문화혁명의 기본적인 의미다.(p689)  <16세기 문화혁명> 中


 야마모토 요시타카(山本義隆, 1941 ~ )는 <16세기 문화혁명>을 위와 같이 정의한다. 저자에 따르면 15세기 르네상스(Renaissance)와 17세기 과학혁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16세기는 우리에게 어떤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시기인가. 저자는 책에서 16세기 문화혁명의 여러 요인을 미술, 의학, 상업, 군사학, 기계학, 수학, 천문학, 지리학 등 여러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이번 리뷰에서는 효과적으로 내용 정리를 위해 16세기 문화혁명을 가능하게 만든 몇 가지 요인을 책 순서와 조금 달리해서 정리해 본다.


  <16세기 문화혁명>에서 저자는 16세기가 이전 세대와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바로 속어(俗語)로 쓰여진 서적의 등장이었음을 지적한다. 기존에 유럽에서 학문어로서 역할을 하던 라틴어 대신 각국의 언어로 쓰여진 책이 출간되었으며, 이로 인해 각 나라의 언어가 발달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발달은 과학에만 한정되지 않고,  문학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영국의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1564 ~ 1616), 프랑스의 몽테뉴 (Michel Eyquem de Montaigne 1533 - 1592)를 통해 입증된다.


[사진] 셰익스피어(출처 : 위키백과)


 16세기에 이르러 속어로 쓰인 과학서가 등장한 과정을 통해 원래 민중의 대화체 언어였던 속어가 어휘를 풍부하게 더해 가며 사상과 학문의 기술에도 적합하게 성숙되었다.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문법의 정비나 철자법의 확정을 통해 표준화가 이뤄졌다. 이것은 '국어'로서 자리 잡을 요건을 갖춘 언어가 형성돼 갔다는 사실을 의미한다.(p645) <16세기 문화혁명> 中 


 16세기 문화혁명의 지표는 대학과 인연이 없던 직인, 예술가, 외과의들이 속어로 고학서와 기술서를 쓰기 시작했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즉, 당시까지 문자 문화에서 소외되었던 사람들이 자신의 언어로 자신의 경험과 사고를 공표함으로써 학문 세계로 월경해 지식의 독점 구조에 바람 구멍을 뚫기 시작했던 것이다. 16세기 문화혁명은 언어혁명과 병행해 진행됐다.(p617) <16세기 문화혁명> 中


 그리고, 이러한 국어(國語)의 발달을 가져온 것은 바로 인쇄술의 발달이었다. 이전 세기 구텐베르크(Johannes Gensfleisch zur Laden zum Gutenberg, 1398 ~ 1468)에 의해 유럽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금속활자는 사상의 전파에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루터(Martin Luther, 1483 ~ 1546)의 종교 개혁이 독일 전역으로 확산될 수 있었으며, 과학에서는 해부학과 식물학에 있어서 도상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사진]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출처 : 게티이미지코리아)


 정밀한 도판이 딸린 과학서, 기술서는 그 뒤 16세기에 이르러 잇따라 인쇄돼 근대 자연과학서, 공학서의 원형을 형성하게 된다. 아그리콜라 Georgius Agricola의 광산학, 에르커 Lazarus Ercker의 천체관측용 기기, 그리고 오르텔리우스 Abraham Ortelius 나 메르카토르 Gerard Mercator의 지도책 등이 대표적이다. 이는 언어 해석에 일관하던 스콜라 학을 초월한 것이었다.(p274),,, 언어에 의한 전달이 거의 절망적이던 시대에 인쇄된 도상은 거의 유일한 전달 수단이었다. 정확한 도판이 목판(나중엔 동판)을 통해 원화와 똑같이 몇 장이나 복제될 수 있게 돼서야 비로소 이들 과학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p276)<16세기 문화혁명> 中


 이러한 상세한 도상 표현은 유럽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저자는 <16세기 문화혁명> 안에서 이러한 변화가 기술자 계급에서 발생했으며, 기존 기득권이었던 소수 엘리트 지식인과의 대립(對立)을 가져왔다고 파악한다.


 16세기 문화혁명은 선진적인 직인, 기술자와 알베르티와 같은 소수 엘리트 지식인이라는 양 진영의 긴장감을 내포한 채 진행됐던 것이다.(p65) <16세기 문화혁명> 中


 라틴(Latin)어와 스콜라(scholasticu) 철학으로 대표되는 소수 엘리트 지식인들에 대해 속어와 근대 과학 철학을 가진 기술자들이 등장하면서 이들의 경쟁이 16세기 문화 혁명을 가져온 동인(動因)이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 자연학은 질의 자연학이다. 거기엔 정량화를 지향하려는 의식을 희박했다. 이에 비해 근대에 이르러 정량화를 추구하려는 인식이 나온 배경에는 다름 아니라 상품생산과 화폐경제의 확대가 존재한다.(p302) <16세기 문화혁명> 中


  16세기에 플라톤(Platton, BC 427 ~ BC 348)과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4 ~ BC 322)로 대표되는 질(質)의 자연학, 형이상학적 기하학(幾何學)은 뒤러(Albrecht Durer, 1471 ~ 1528)로 대표되는 현실의 필요에서 비롯된 대수학(代數學)으로 대표되는 현실 기술의 거센 도전을 받게 되었다. 


[사진] 뒤러와 원근법(출처 : 위키백과)


 뒤러는 기하학에서 유클리드의 탄탄한 논리의 철감을 벗겨내, 실용적으로 도움이 되는 기법으로서 직인과 기술자에게 제공했던 것이다... 중요한 것은 뒤러가 현실 세계에 대한 수학의 광범위한 적용 그리고 근대적 수학의 유용성을 공공연히 논했다는 점이다. 플라톤의 이데아론에서 기하학은 이데아의 세계 - 인간의 감각으로 느끼는 외형적 세계의 배후에 있는 영원히 변치 않는 진실적 존재의 세계 - 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뒤러의 기하학은 다름 아닌 '목수의 기하학'이다. 이는 그 이전엔 학문적 고찰의  대상에서 제외됐던 분야이며, 문장으로 기술된 적도 없었다. 그러나 뒤러는 '목수의 기하학'을 저서로 펴냄으로서 그것이 현실 인식에 매우 유용한 존재임을 보여주었다.(p105) <16세기 문화혁명> 中


 이러한 경쟁과 도전을 통해 과학(science)와 기술(technology)가 결합되어 17세기 과학-기술이 탄생하게 되는데, 이는 특히 수학(mathematics)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구체적으로 17세기 데카르트(Rene Descartes, 1596 ~ 1650)에 의해 대수학과 기하학이 결합되면서 결실을 맺는데, 이를 근거로 저자는 16세기 문화혁명이 과학혁명을 가능하게 했다는 주장을 편다. 저자는 책에서 말하고 있지 않지만, 후에 칸트(Immanuel Kant, 1724 ~ 1804)에 의해 대륙의 합리론과 영국의 경험론이 종합되었던 사상의 종합 역시 이 시기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추론해 본다.


 근대 대수학은 16세기 후반의 비에트와 17세기의 데카르트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해석기하학과 미적분도 17세기 데카르트, 뉴턴, 라이프니치의 손에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런 성과는 르네상스 시대 대수학의 발전에 힘입는 바 크다. 르네상스 대수학은 상업수학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상인과 산수교사의 손에서 시작돼 16세기 중반 하나의 결말을 봤다고 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근대수학의 단서는 상인들이 주도한 상업수학이었다.(p431) <16세기 문화혁명> 中


 이처럼 16세기는 유럽에 있어서 17세기 산업 혁명과 18세기 정치 혁명을 만들어내기 위한 동력을 쌓아가고 있었던 시기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잠시 책을 덮고 우리에게 16세기의 의미를 생각하게 된다. 유럽과는 달리, 우리에게 16세기는 너무도 아픈 시기였다. 우리의 16세기는임진왜란(壬辰倭亂, 1592 ~ 1598)과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 ~ 1637)이 이어지면서 이전 시대까지 축적되어온 많은 것들을 잃어버린 시기였다. 그리고, 이러한 상실 속에서 우리는 정치적으로는 우암 송시열(宋時烈, 1607 ~ 1689)로 대표되는 노론(老論)이, 사회적으로는 종법(宗法)이 지배하는 시대가 되었음을 생각하게 된다. 16세기가 우리에게 '상실의 시대'였기에, 경직되고 움츠러들었던 사회의 모습 속에서 이 시기가 우리에게 주는 아쉬움은 클 수 밖에 없다.


[사진] 우암 송시열(출처 : 위키백과)


  다시 책으로 돌아오자. <16세기 문화혁명>은 우리에게 유럽 근대화의 맹아(萌芽)가 16세기부터 싹트고 있었음을 여러 분야를 통해 잘 보여주고 있는 책이다. 또한, 이러한 가능성이 언어 혁명과 인쇄술의 발달로 인한 사상의 확산에서 비롯되었음을 우리는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16세기와 마찬가지로 인터넷(Internet)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 우리에게 많은 점을 시사해 주고, 과거 우리 조상들의 아픈 역사를 돌아보는 계기를 준다. 이처럼 여러 면에서 우리에게 생각할 거리를 주기에 <16세기 문화혁명>은 읽고 생각할 가치가 있는 책이라 생각하면서 이번 리뷰를 마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1-05 10: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1-05 10: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단발머리 2019-01-05 11: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어제부터 <에디톨로지>를 읽고 있는데요. 뒤러의 원근법 이야기에서 올려주신 사진과 똑같은 사진이 실려있네요.
다른 책에서 같은 사진 보게 되니 무척 반가운 마음입니다^^

겨울호랑이 2019-01-05 13:23   좋아요 0 | URL
아 그렇군요. 뒤러의 원근법이 여러 곳에서 언급되는 것을 보니 매우 중요한 사건임을 알겠네요. 단발머리님 덕분에 저 역시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지도로 보는 아프리카 역사 그리고 유럽, 중동, 아시아 - 인류의 기원부터 현재까지
장 졸리 지음, 이진홍 외 옮김 / 시대의창 / 2016년 11월
평점 :
품절


[그림] 선사시대의 아프리카(p11)


 <지도로 보는 아프리카 역사 그리고 유럽, 중동, 아시아 L'Afrique Atlas Historique et son environnement Europeen et Asiatique >는 다른 아프리카와 관련된 책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의 장점은 선사 시대의 아프리카 역사부터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인간 계보에서 확인된 가장 오래된 개체는 말라위와 케냐에서 발견된 호모루돌펜시스로 약 250만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더 오래된 인류가 있었을 가능성도 알려졌다. 약 4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프레안트로푸스 아프리카누스가 있고 350만년 전의 케니안트로푸스 플라티오프스다... 인류의 조상이 아프리카 대륙을 넘어서 유라시아로 이주했음을 알려준다.(p9)


 대부분의 아프리카 역사서들이 선사시대 아프리카와 식민시대이전의 아프리카를 별도로 구분짓지 않고 한데 모아 서술하는데 반해, <지도로 보는 아프리카 역사>에서는 인류의 기원이 아프리카였음을 시각적으로 보다 잘 보여준다. 책은 마치 중고등학교 사회과 부도를 보는 듯 풍부한 시각적 자료 제공을 통해 이전에 잘 알지 못한 아프리카 부족 역사를 제공하기에 우리는 아프리카 역사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독자로 하여금 현대 아프리카의 비극이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를 생각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림] 빈 회의(1815~ 1830) 시기의 아프리카(p111)


 독자들은 유럽의 여러 강대국에 의한 아프리카 침략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19세기 초반의 지도 모습에서 자연 환경에 따라 거주지가 바뀌온 여러 부족들의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아프리카의 지형적 특성은 북부지역의 사하라 사막과 중부의 사바나 초원, 남부의 열대 우림, 동부의 고원지대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자연 환경의 영향으로 아프리카의 여러 부족은 선사 시대 이래 자유롭게 살고 있었지만, 제국주의 시대 아프리카 분할 시에는 이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림]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 사이(1818~ 1939) 시기의 아프리카(p134)


 제국주의 시대 만들어진 현대의 아프리카 국경이 아프리카 부족의 분포와 자연을 고려하지 않은 것임을 <지도로 보는 아프리카 역사>는 확인시켜 준다. 그리고, 이로부터 최근까지도 발생하고 있는 부족간 내전이 발생하고 있는 현재 아프리카 문제의 원인을 발견할 수 있다. 이처럼 시각적 자료를 통한 문제 제기는 이 책이 주는 장점이라 여겨진다.


 반면, 이 책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은 무엇인가. <지도로 보는 아프리카 역사 그리고 유럽..>으로 된 책 제목과는 달리 이 책의 저자는 철저하게 유럽인의 입장에서 아프리카 문제를 바라보고 있으며, 이러한 점이 이 책이 가진 가장 큰 단점이다. 저자의 이러한 관점을 제국주의 시대를 총평한 다음의 글을 통해 확인해 보자.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아프리카 식민지는 종주국에 거의 이익을 가져다주지 않았다. 심지어 포르투갈은 더 가난해지기까지 했다. 한 예로 1960년 포르투갈의 1인당 국내총생산 GDP은 앙골라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p156)... 식민지 건설의 경제적 수익이 형편없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1960년 기준으로, 유럽 열강은 무역량에 견주어 너무 많은 비용을 해외 영토의 인프라 건설에 쏟아 부었다.... 이렇게 인프라를 정비하는 데 든 투자비와 농업보조금은 식민지가 본국에 가져다준 수익보다 훨씬 높았다. 아프리카 식민지 건설로 인한 적자액이 총 700억 금 본위 프랑(1913)에 달했다. 이는 마셜 플랜으로 프랑스가 받은 원조금의 세 배에 해당한다.(p157)


 저자의 유럽의 아프리카 지배를 요약하면 유럽은 아프리카에서 손해를 입었으며, 식민시대를 통해 아프리카는 무거운 세금에서 해방되었고, 교육, 의료 서비스 등에서 큰 혜택을 입었기 때문에 식민시대가 아프리카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암흑 시대는 아니었다...


 1939년 유럽인이 전체 인구의 0.4퍼센트에 불과했던 네덜란드 동인도의 경우, 국민의 세금 부담이 과거 이슬람 술탄 시대보다 낮았다. 영국령 인도의 경우에도 1941년 전체 인구 약 3억 3800만 명 중 유럽인의 수는 13만 5000명으로 0.004퍼센트에 불과했다. 무굴 제국이 주로 사치스러운 궁전을 유지하느라 부과했던 무거운 세금에 시달리던 인도 납세자들에게, 식민 정부는 중간 과정을 없애는 방법으로 부담을 덜어주었다... 식민지 개발과 근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식민 본국에서 교육을 받고 서구화한 엘리트 계층이 등장한다... 의료 부문은 가장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다. 식민 통치기 말에는 영아 사망률도 크게 준다.(p157)... 끝으로, 유럽 식민지 몇 군데에서 후기에 발생한 분쟁(케냐, 알제리, 앙골라, 모잠비크)을 제외하면, 식민 통치기간은 대체적으로 비교적 평화롭게 번영한 시대였다.(p158)


 일본에 의한 식민지 시대를 겪은 우리는 저자의 주장에 대해 쉽게 동의하기 어렵다. 일제 시대(1910 ~ 1945)의 시대에 철도, 도로, 항만 등의 건설이 이루어졌음을 근거로 일본이 우리 나라를 근대화시켰다는 주장과 책의 본문의 내용은 사실당 동일한 내용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과연 일제 시대 이루어진 근대화로 인해 행복했으며 지금 행복한가?


 <지도로 보는 아프리카 역사 그리고 유럽, 중동, 아시아>는 위와 같은 의미에서 <유럽인이 바라본 아프리카 역사 - 지도를 중심으로- > 라고 제목이 고쳐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다른 책에서 제공하지 않는 선사 시대부터 대항해 시대 이전의 아프리카 역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인 반면, 프랑스인인 저자의 편향된 시각이 이 책의 가장 큰 단점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이 책은 아프리카 역사 부도로만 활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아프리카 역사를 바로 보기 위해서는 아프리카인의 입장에서 저술된 책을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할 것이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18-05-27 18: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프리카 지도 크기가 넘 작다는 걸 봐도 충분히 이해되는 책입니다. ㅎㅎ

겨울호랑이 2018-05-27 18:49   좋아요 0 | URL
역시 북다이제스터님의 통찰력은 날카롭기만 합니다! ㅋ 한 방에 정리되네요.

2018-05-27 19: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5-27 20: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NamGiKim 2018-06-04 21: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프리카를 보면 항상 드는 생각이지만 현재 아프리카에서 일어나는 내전들이 따지고 보면 19세기 서구제국주의자들이 그어놓은 컴퍼스줄 때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겨울호랑이 2018-06-08 15:32   좋아요 1 | URL
NamGiKim님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아프리카의 문화와 자연을 고려하지 않은 인위적인 분할이 아프리카를 내전으로 몰고 있는 주요 원인이라 생각됩니다. 피식민지인들을 배려하지 않은 제국주의 시대의 상처때문에 지금도 아프리카의 피가 흐르고 있다 여겨집니다...

NamGiKim 2018-06-08 12:07   좋아요 1 | URL
따라서 아프리카 내전의 원흉은 서구 제국주의자들이라 볼 수 있다 봅니다.
 
제국 - 유럽 변방의 작은 섬나라 영국이 어떻게 역사상 가장 큰 제국을 만들었는가
니얼 퍼거슨 지음, 김종원 옮김 / 민음사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빙스턴(David Livingstone, 1813 ~ 1873)이 의도했던 대로 상업(Commerce), 문명(Civilization), 기독교(Christianity)가 아프리카에 주어질 것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네 번째 "C" 즉 정복(Conquest)과 함께 올 것이다.'(p231) 


<제국 Empire>은 영국 제국의 흥망성쇠(興亡盛衰)를 다룬 닐 퍼거슨(Niall Ferguson)의 저술이다. <제국>은 영국이 다른 유럽 열강보다 강대한 제국(帝國)을 건설할 수 있었던 원인을 시대순으로 서술하고 있다. 16세기 에스파냐, 포루투갈에 비해 늦게 제국으로 출발한 영국이 어떤 방식으로 최대 제국으로 발돋움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제국이 해체되었는지 분석하는 <제국>을 통해 영국 제국주의의 특성을 살펴보자.


1.  제국의 시작 : 뒤늦은 출발 그리고 남다른 발전


 영국은 다른 유럽 제국보다 늦게 식민지 전쟁에 참여했기 때문에 에스파냐, 포루투갈과는 달리 달리 금, 은 등의 귀금속이 산출되는 지역을 차지하지 못했다. 대신, 사탕수수 등 농산물을 재배할 수 있는 지역을 식민지로 개발하게 되었다. 에스파냐, 포르투갈이 식민지 개발을 통해  화폐(money)를 가져온 반면, 영국은 식민지에서 원재료를 본국으로 가져올 수 밖에 없었고, 이를 통해 영국 본토는 제조업이 발달할 여건을 갖추게 되었다. 


 '인상적인 것은 모건이 약탈한 은화를 갖고 행한 일이었다. 그는 자메이카의 부동산에 투자하여 리우미뉴 계곡(오늘날의 모건 계곡)에 100만 평 가량의 땅을 취득했다. 나중에 그는 성 엘리자베스 교구에 500만 평을 추가했다. 중요한 점은 그곳이 사탕수수 재배에 이상적인 곳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영국의 해외 팽창의 특성이 낳은 일반적인 변화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영제국은 금을 약탈하는 것으로 시작했고 설탕 재배와 더불어 발전했다.'(p47)


[그림] 플랜테이션 농업(출처 : http://blog.daum.net/_blog/)


2. 자본 시장 : 선진 금융제도


 1688년 명예 혁명은 당시 금융 선진국이었던 네덜란드의 금융 기법이 잉글랜드에 전해지는 계기가 되었고, 선진 금융 기법을 통해 동원된 자금력의 우세는 영국이 경쟁국보다 앞설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또한, 같은 시기에 전해진 주식회사 제도를 통해 영국은 '동인도 회사'를 만들고 인도를 식민지로 만들어가게 되었다.


 '신용이 전쟁을 낳고 평화를 낳으며 육군을 육성하고 해군을 무장시키고 전투를 치르고 도시를 포위한다. 그리고 한마디로 말하면, 그것은 단순한 돈이 아니라 군자금이라고 불린다... 신용이 보수 없이 군인을 싸우게 하고 식량 없이 육군을 행군하게 하고, ... 그것은 난공불락의 요새이며... 그것은 대부 허가증이 되고... 수요가 있을 때는 즉시 재무부와 은행을 충분한 자금으로 채운다.'(p62)


 '(7년 전쟁의 승리는) 해군의 우위에 기반을 둔 승리였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영국이 프랑스보다 결정적으로 우위에 있는 한 가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는데, 바로 돈을 빌리는 능력이다. 영국의 모든 전쟁 경비의 3분의 1이상이 대부금으로 조달되었다. 윌리엄 3세 치세에 네덜란드 것을 모방한 제도가 이제 본래의 특성을 발휘하게 됨으로써, 피트 정부로 하여금 투자하는 대중에게 낮은 이율의 채권을 판매하여 전쟁 비용을 늘릴 수 있게 했다. 대조적으로 프랑스 인들은 구걸을 하거나 훔치는 수밖에 없었다. 주교 버클리가 썼듯이, "신용은 잉글랜드가 프랑스보다 우위에 있는 주요한 강점"이었다.'(p76)


[그림] 동인도회사(출처 : http://mediapen.com/news/view/183191)


3. 노동 시장


 또한, 영국의 식민 정책은 노동 시장에서도 다른 제국들과 차이가 있었다. 종교의 자유, 경제적 자유 등을 추구하던 이들은 해외로 진출했고, 마치 '잡초를 뽑듯이' 원주민들을 몰아내고,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한편, 귀금속 대신 설탕산업을 육성해야 했던 식민지는 막대한 노동력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아프리카에서 노동력이 제공되고, 카리브해에서 설탕이 제조된 후 이 제품을 팔아 자본이 영국으로 유입되는 산업 구조가 마련되었다.


 '1660년대 초에서 1950년대 사이에 2000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영국 섬을 떠나 해외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했고, 지금까지 소수만이 돌아왔다... 영국을 떠나면서 초기 이주민들은 그들의 전 재산뿐 아니라 목숨까지도 걸었다... 영국 제국에 없어서는 안 될 기초가 인류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대량 이민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영국 탈출이 세계를 변화시켰다. 그것은 전 대륙을 하얗게 변화시켰다.'(p104)


 '식민화에 대한 그들의 용어는 "플랜테이션'이었다. 존 데이비스의 말에 의하면 정착민들은 "좋은 곡식"이고, 원주민들은 "잡초"였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사회적 원예술 이상의 것이었다. 이론상 플랜테이션은 식민화, 즉 정치적 변경 지역에 충성스러운 백성들을 내보내 정착지를 건설하는 고대 그리스의 관행에 대한 또 다른 표현이었다. 그러나 사실 플랜테이션은 오늘날 우리가 "인종 청소"로 알고 있는 것을 의미했다.'(p108)


 '뉴펀들랜드 어장은 오랫동안 영국 어부들을 멀리 대서양으로 이끄는 유인이었다. 물론 아메리카에서 그 어장에 도달하는 것이 훨씬 더 쉬웠다. 뉴잉글랜드 근해 역시 물고기가 가득했다. 마블헤드 앞바다에는 물고기가 풍부해서 "발을 적시지 않고도 물괴의 등을 밟고 갈 수 있을 것"처럼 보였다.'(p114)


 '1770년에 이르자 영국, 서아프리카 그리고 카리브 해 사이의 삼각 무역은 플랜테이션에 지속적으로 노동이 공급되게 했다. 아메리카 본토 식민지들은 지속적으로 그곳에 식량을 공급했다. 설탕과 담배는 영국으로 흘러들어가 상당 비율이 유럽 대륙으로 재수출되었다. 그리고 이 신세계 상품들로부터 이윤은 제국의 아시아 교역의 수레바퀴에 기름을 쳤다. '(p139)


[그림] 노예무역 (출처 : https://0jin0.com/tag)


4. 과학


 19세기 영국이 제국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영국 해군의 지배력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영국 해군의 지배력은 산업 혁명 이후 발전된 과학인 '증기기관', '전신 케이블' 그리고 '철도' 등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한편, 영국 육군은 지도를 만드는 '지구 과학'의 뒷받침으로 제국의 지배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노예 제도에 반대한 전쟁과 아편을 위한 전쟁의 공통점은 영국 해군의 지배력 덕분에 가능했다. 증기력은 영제국을 접합시켜 주었다. 1850년대에서 1890년대 사이에 잉글랜드에서 케이프타운까지 여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42일에서 19일로 줄었다. 증기선은 훨씬 빠를 뿐 아니라 외양도 커졌다. 그래서 같은 기간에 평균 총 용적 톤수는 대략 두 배가 되었다. 1870년대에 이르면 인도에서 오는 전보가 몇 시간 안에 이곳에 도착할 수 있었고, 여왕은 전보를 주의 깊게 읽었다. 이것은 빅토리아 여왕 치세 동안 세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완벽하게 보여준다. 세계는 축소되었다... 1840년대 말에 이르자 전보가 육상 통신에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는 사실이 명백해졌고, 1850년대에 이르면 인도의 건설 공사는 전신이 폭동을 진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정도로 충분히 발전했다. 전신 케이블과 증기선 노선은 세계를 일제히 단축시키고 통제를 더 쉽게 만든 세 개의 금속 네트워크들 가운데 두 가지였다. 세번째는 철도였다.'(p242)


 '빅토리아 시대에 일어난 세계 통신 혁명은 "거리의 소멸"을 완수했다. 단거리뿐 아니라 장거리도 극복할 수 있게 만들었다. 전쟁시에 거리는 극복되어야만 했다. 단지 영국 군사력의 주요 원천이 세계 반대편에 있었기 때문이다.'(p243)


 '빅토리아 중기 제국의 모든 구성 요소처럼, 인도 육군 역시 과학 기술(총을 생산하는 기술뿐 아니라 지도를 만드는 기술에도)에 의존하고 있었다. 지배적 기술에서 경위의(經緯儀)가 전신만큼이나 중요한 것이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p246)


[사진] 증기선(출처 : http://qumalog.tistory.com/entry)


5. 교육


 영국이 발달된 금융 제도, 과학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세계의 약 25퍼센트에 해당하는 육지와 대양을 지배하는 제국을 유지하는 것에는 자체의 힘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때문에 효율적인 제국을 통치하는 수단이 필요했으며 이는 관료 집단에 의한 통치로 현실화 되었다. 효율적인 제국의 관료집단은 어떠한 방식으로 양성되었는가? 이는 '주입식 교육'으로 제국의 이념을 공무원에게 입력시키는 것을 통해 이루어졌다.

 

 '키플링은 <오티스 이어의 교육>에서, "제국의 작업에서 증기가 인력을 대체할 때까지", 항상 "단순 기계적인 일에 혹사당하고 소모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라고 썼다. 그런 사람들은 "라이어트(ryot, 소작농민)나 쟁기를 끄는 수소와 더불어 국가의 기초가 되는 초석이라는 영예를 공유하는 일반 시민(열병의 희생양)이었다." 오티스 이어는 "공식적인 풍자에 의하면" 전형적으로 "눈이 움푹 들어간 사람으로, 스스로를 돕기에는 무력하지만 남을 해치고 훼방 놓고 괴롭히는 데에는 강하며, 불평불만으로 들끓는 나약한 군중을 책임지고 있는 인물"이었다.'(p259)


 <제국>에는 영국 제국이 다른 경쟁 제국(프랑스 제국, 에스파냐 제국 등)보다 앞설 수 있었던 이유를 위와 같이 비교적 객관적인 시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다른 한 편으로 영국인인 저자의 주관적 한계 또한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민의 윤리적 측면에서 일어난 심오한 변화를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단지 수익성이 없게 되자 노예 제도는 폐지되었다고 주장되곤 하지만, 모든 증거는 이와 다르다. 실제로 노예 제도는 여전히 수익성이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폐지되었다. 우리가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것은 집단의 심정 변화다. 모든 위대한 변화들처럼, 그것 역시 아주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했다. 1740년대와 1750년대에는 아메리카에서 소위 대각성 운동이 일어나고 영국에서 감리교가 발흥하면서 그러한 이념은 더욱 광범위한 프로테스탄트 집회로 확산되었다. 또, 어떤 사람들은 계몽주의의 가르침으로 인해 노에 제도 반대로 돌아섰다.'(p179)


  우리는 미국 남북 전쟁(美國南北戰爭, American Civil War, 1861 ~ 1865)을 대표적인 노예 해방 전쟁으로 알고 있다. 그렇지만, 노예 해방이 남북전쟁 모두를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도 알고 있다. 노예 해방에 반대하는 남부의 주(州)와 북부의 주(州)간의 대립은 단순한 이데올로기 대립이 아닌 경제체제의 대립이었다. 산업화를 통해 북부는 노예제가 필요없어진 반면, 농업에 의존했던 남부에서는 노예제가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그 결과로 미국남북전쟁이 발생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결국, 남북전쟁은 '노예 해방'이라는 아름다운 가치의 실현을 위해 일어난 전쟁이 아니었던 것이다. 이의 연장선상에서 우리는 1세기 이전에 일어난 영국의 노예제 폐지 운동 역시 같은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는 것은 아닐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국>에서는 영국에서의 노예제 폐지를 종교에 기반한 박애정신의 확대로만 해석하고 있는데 이는 납득하기 어렵다. 저명한 경제사학자인 저자가 경제적 체제 대립이라는 해석방법을 모르지 않았을테고, 의도적으로 외면한 것과 같다는 생각을 떨치기 힘들다.


[그림] 남북전쟁(출처 : http://www.kamerican.com/GNC/new/)


 또한, 이슬람 포로를 학살하는 영국군의 모습에 대해 묘사하고 다음과 같은 설명을 덧붙이는 부분을 보면 제국주의 자체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지만, 그래도 영국 제국주의가 다른 곳보다는 인도적이었다는 저자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그럴수도 있겠지만, 당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오십보 백보'차이정도 아닐까. 


 '이 내용을 읽으면 독일군 SS 장교들이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유대 인들에게 행했던 방식이 떠오른다. 그러나 한 가지 차이가 있다. 이 살인을 목격한 영국 병사들은 처음에는 "부끄러운 줄 알라."고 소리쳤고, 총이 발사되었을 때는 "분노와 야유의 함성"을 터뜨리며 장교의 행동을 큰 소리로 비난했다. 비슷한 상황에서 독일 병사들이 공개적으로 상급자를 비난한 일은 있다 하더라도 아주 드물었다.'(p221)


 <제국>에서는 영국 제국주의가 다른 유럽의 제국주의와 달랐던 점을 상품시장, 노동시장, 문화, 정부, 자본시장 등의 분야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고, 이를 통해 영국이 가장 강력한 제국을 만든 원인에 대해 잘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원재료 공급지로서의 식민지 역할, 네덜란드와의 합병으로 인한 선진 금융 기법의 전수, 종교적/경제적 이윤을 추구한 자발적인 식민지 이주, 과학기술의 적절한 적용, 효과적인 제국 통치를 위한 교육 시스템 구축. 이러한 요인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영국을 제국주의 시대의 승자(勝者)로 만들었음을 <제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저자 자신이 영국인인 관계로 영국 제국주의에 대한 다소 우호적인 목소리는 영화 <덩케르크 Dunkirk>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을 독자에게 선사하는데 이 부분은 다소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라 생각된다. 다음은 영국을 이어 새로운 제국인 미국(美國, America) 순서다. 다음은 저자의 또다른 저서인 <콜로서스 Colossus>를 통해 미국 제국주의를 알아보자.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8-27 22: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8-27 22: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8-27 22: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8-27 22: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8-31 15: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8-31 15: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9-01 14: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9-01 14: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서니데이 2017-09-01 18: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늘부터 9월입니다. 즐겁고 기분 좋은 날들로 이어지는 한달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겨울호랑이님, 저녁 맛있게 드시고, 편안한 금요일 보내세요.^^

겨울호랑이 2017-09-01 19:23   좋아요 1 | URL
^^: 서니데이님 감사합니다. 서니데이님도 상쾌한 9월 출발과 한주 마무리 즐겁게 하시기 바랍니다^^: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읽기 - 자본주의라는 이름의 히드라 이야기
페르낭 브로델 지음, 김홍식 옮김 / 갈라파고스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읽기>는 프랑스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Fernand Braudel, 1902 ~ 1985)의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Civilisation materielle, economie et capitalisme>에 대한 입문서(入門書)다. 본문은 강의형식으로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내용을 파악하기는 역자가 작성한 해제(解題)가 더 좋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이번 리뷰에서는 해제를 중심으로 <물질문명과 자본주의>에 담긴 전체적인 그림을 살펴보자.


1. 시간(Time) : 중층적 시간대에서의 변증법 구조


가. 장기지속(longue duree)의 역사


 브로델은 역사를 '표층의 역사'와 '심층의 역사'로 구분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심층의 역사'에 주목하고 있다. 브로델에 따르면 장기 지속하는 심층의 역사가 인간의 조건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빙하의 90%가 수면 밑에 있으며 빙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듯이,  '무의식'이 '의식'을 결정한다는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 ~ 1939)의 이론이 브로델의 역사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사진] 의식과 무의식(출처 : https://brunch.co.kr/@onestepculture/171)


 '브로델은 단기적 시간대에 주목하는 역사를 "표층의 역사"라고 봅니다. 하지만 이 세계의 배후에는 천천히 흐르는 시간 속에서 장기 지속하는 "심층의 역사"가 자리 잡고 있다고 봅니다... 장기 지속하는 역사가 만들어내는 심층의 세계는 브로델에게서 크게 세 가지 의미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하나는, 인간의 조건을 결정하는 구조는 긴 시간의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입니다.(p151) ... 둘째, 장기 지속하는 심층의 세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또 다른 의미는, 브로델이 본격적으로 연구했던 주제는 아니지만 반복적으로 강조하는 무의식과 관련됩니다.(p153)... 셋째, 장기 지속이라는 개념은 역사를 기술하는 내용이나 결과라기보다는 역사를 기술하기 위한 방법이 아닐까 하는 점입니다.'(p158)


나. 시간 지속의 변증법 dialectique de la duree

 

  브로델은 세계를 움직이는 힘을 '표층의 역사'와 '심층의 역사' 의 대립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표층의 역사'를 움직이는 '빠르게 지나가는 시간'과 '심층의 역사'를 움직이는 '천천히 흐르는 시간'과의 대립이 역사를 움직이는 힘이 된다. 이러한 힘과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역사학 뿐 아니라 사회과학 방법론 전반에 걸쳐진 개념임을 브로델은 강조한다.


 '인간의 삶을 구성하는 다중적이고 모순적 contradictoire인 여러 가지 시간, 그처럼 사회적으로 진행되는 시간의 지속은 과거의 실체일 뿐 아니라 씨실과 날실처럼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적 삶을 짜는 피륙입니다... 빠르게 지나가는 시간과 천천히 흐르는 시간, 이 둘 사이에는 활발하고 밀접한 대립 opposition이 끊임없이 일어납니다. 우리 역사가들이 보기에 이러한 대립이야말로 사회적 실제의 핵심에 존재하며 다른 어느 요소보다도 중요한 것입니다.'(p145)


다. 다중적(혹은 중층적) 시간대 temporalite multiple(p143)


 이처럼 '빠르게 지나가는 시간'과 '천천히 흐르는 시간'이 같은 시간대에 공존(共存)하며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가기 때문에 우리는 '중층적 시간대'에서 살고 있다고 브로델은 설명한다.


 '역사상 일어났던 모든 혁명은 짧은 시간의 힘이 긴 시간의 힘과 격전을 치르며 승리한 사례들입니다. 그만큼 엄청난 에너지가 수면 아래에 오랫동안 잠재해 있다가 짧은 기간안에 빠른 속도로 응집해서 폭발했음을 뜻합니다. 실패한 혁명은 반대로 빠른 속도로 응집하는 짧은 시간의 힘이 긴 시간의 힘에 굴복한 셈입니다... 브로델은 시간을 알기 위해 제삼의 참조점을 잡는 인식의 방향을 뒤집어서 사회적 실재를 알기 위해 시간을 참조점으로 삼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참조점이 바로 중층적 시간대라는 "시간의 지도"인 셈입니다.'(p150) 


2. 공간(Space) : 경제계(經濟界)


가. 삼층집 모델


 <물질문명과 자본주의>에서 다루고 있는 모델은 물질생활을 기반으로 한 시장경제, 그리고 시장 경제 위에 자본주의가 위치하면서 계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자급자족 경제를 '물질 생활'이라고 한다면, 교환이 발생한 이후 '경제 생활(시장경제)' 형태가 발생하게 된다.


 '브로델은 14~15세기에서 18세기 사이 약 400 ~500년 동안의 유럽에 적용했던 여러 가지 모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삼층집 모델입니다. 맨 밑에는 물질생활이 있고, 그 위에 시장경제가 있고, 꼭대기에 자본주의가 위치한다는 경제 모델입니다. (물질생활 - 시장경제 - 자본주의)(p162)... 인간이 가족이나 마을 단위에서 자급자족하며 사느냐, 아니면 교환하며 사느냐는 기준에서 보면, "물질생활(물질문명 civilisation materielle)"은 거의 다 자급자족에 가까운 사용가치의 세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브로델은 자급자족에서 탈피해, "교환가치의 문지방을 넘어서며서부터 경제가 시작된다"고 말합니다. 이때부터 물질생활의 거대한 등판을 딛고 "경제생활 vie economique"이 시작됩니다.'(p169)


 여기서, 자본주의는 시장경제를 기반으로 한 일종의 특수한 형태로 단순한 경제 구조로 정의되기 어려운 문화적 실체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 


 '자본주의는 경제 영역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특수한 형태입니다. 그 실체는 인접한 영역과 그 영역들에 침투한 모습을 비추어 보지 않고는 충분히 설명될 수 없을 것이고, 그때에야 자본주의의 진정한 모습이 드러날 것입니다.(p182)... 자본주의는 물질생활과 시장경제를 자신의 존재 기반으로 깔고 앉아 독점으로 높은 이익을 추구하는 무언가의 활동이다. 그러기 위해 기존의 사회 질서와 위계, 국가, 문화 등 온갖 영역에 침투하여 무언가의 사회적 구조물을 만들어 그와 결합해 존재하는 실체다.'(p183)


나. 경제계 economiemonde


 또한, 브로델은 일정 공간 내에서 중심부-중간부-주변부의 구조를 가지면서 하나의 독립된 경제권을 다음과 같이 '경제계'로 정의하고 있다.


 '경제계의 특징으로는 첫째, 경제계는 일정한 지리적 공간을 차지하며 그 공간의 한계를 이루는 울타리는 매우 천천히 변한다. 둘째, 경제계에는 하나의 핵, 즉 중심이 존재하며 이 핵이 경제계 전체의 분업을 조직하는 힘을 행사한다. 셋째, 경제계는 이 핵을 중심으로 생활수준의 높낮이가 갈리는 계층적 경제원(중심부, 중간부, 주변부)으로 분화된다는 것입니다.'(p163)

 

다. 삼층집과 경제계의 조합


 '주저 <물질문명과 자본주의>에서 15 ~18세기의 자본주의를 분석할 때 도입한 삼층집 모델과 함께 생각해보면, 삼층집 모델을 지리적 공간에 횡적으로 펼치고 그 공간에 '중심부-중간부-주변부'라는 계층적인 지배/종속관계를 더한 것이 경제계 모델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중심부에도 자본주의-시장경제-물질생활의 삼층집이 있고, 중간부와 주변부에도 각각 삼층집이 있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브로델의 논의를 따라가다 보면, 결국 중심부의 최상층에 위치한 자본주의가 경제계 전체를 조직하는 힘을 발휘하는 곳이 됩니다.'(p189)


 위의 삼층집과 경제계 모델을 브로델의 설명에 따라 조합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을 것 같다. 




[그림] 삼층집과 경제계의 조합(by 겨울호랑이)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읽기>에서는 이처럼 브로델의 역사를 움직이는 힘과 경제 모델이 잘 정리되어 있다. 아마도 <물질문명과 자본주의>에서는 시간적으로 '표층의 역사'와 '심층의 역사'가 부딪혀서 만들어낸 힘(역사를 움직이는 힘)이 공간적으로는 '경제계'에'중심부-중간부-주변부'의 관계 속에서 어떤 작용을 하여 경제계가 확대 또는 축소되어 왔는지가 그려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추론해본다. 구체적인 내용은 <물질문명과 자본주의>를 통해 확인해 보면 될 듯하다. 이처럼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원서 3권(번역본 6권)에 해당하는 경제사상(經濟思想)의 큰 틀을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읽기>는 유익한 브로델 사상 입문서라 생각된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퐁당살롱 2017-08-22 20: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려운 내용을 읽기 좋게 써 주셔서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

겨울호랑이 2017-08-22 20:04   좋아요 0 | URL
^^: 퐁당살롱님 재밌게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태인 2017-08-22 20: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렇잖아도 최근에 읽은 책 중에 브로델을 언급하는 책이 있었죠. 브로델에 대한 짧은 소개였지만 맘에 들어서 구하려고 하는데, 겨울호랑이님의 리뷰 덕분에 자료를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겨울호랑이 2017-08-22 21:08   좋아요 0 | URL
^^: 그렇군요 태인님께 작은 도움이 되어 저도 기쁘네요. 즐거운 독서 되세요^^:

황금모자 2017-08-22 21: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브로델 이후로 월러스틴의 [근대세계체제] 시리즈를 읽어보시면, 브로델의 ‘중심-중간(아주변)-주변‘ 이론이 어떻게 변형돼서 쓰이는지 잘 알 수 있습니다. 나중에 이 책도 도전해보세요. 이 이론은 나중에 가라타니 고진이 [세계사의 구조]에서도 이용합니다.

겨울호랑이 2017-08-22 21:55   좋아요 0 | URL
^^: 황금모자님 감사합니다. 월러스틴과 「근대세계체제」가 이렇게 연결되는군요. 황금모자님 덕분에 보다 알찬 독서를 할 수 있을것 같네요. 좋은 책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017-08-23 00: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8-23 01: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니얼 퍼거슨 위대한 퇴보 - 변혁의 시대에 읽는 서양 문명의 화두
니얼 퍼거슨 지음, 구세희 옮김 / 21세기북스 / 2013년 6월
평점 :
품절


[그림] 열강의 침략을 받고 있는 중국을 풍자한 만화(출처 : https://fineartamerica.com/featured/imperialism-cartoon-granger.html)


<위대한 퇴보 The Great Degeneration>는 니얼 퍼거슨(Niall Ferguson, 1964 ~ )이 2007년 세계 금융 위기를 계기로 서구 문명의 쇠퇴 원인이 무엇인가 민주주의(民主主義), 자본주의(資本主義), 법치주의(法治主義), 시민사회(市民社會)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저자인 니얼 퍼거슨이 <위대한 퇴보>에서 진단한 서양문명(西洋文明)의 쇠퇴원인은 무엇일까. 결론에 정리된 책의 전체 내용을 먼저 간략하게 살펴보자.


 '현재 서양 국가들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인 공공 부채 위기는 곧 미래 세대에 대한 배신의 증상임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향후 금융 위기를 피하기 위해 복잡한 규제를 쓰려는 시도는 곧 시장경제를 잘못 이해한 데서 비롯된 결과라고 주장했다... 또한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운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하는 법치주의가 실은 변호사들의 통치로 쇠퇴할 위기에 처해 있다고 경고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때 활기찼던 우리의 시민사회가 부패의 위험에 빠졌으며, 이것은 과학기술 때문이 아니라 국가의 과도한 간섭 때문이라고 주장했다.'(p174) 

 

 많은 이들이 현재 위기에 빠져있는 세계 경제의 원인을 세계화와 과도한 규제 완화등의 내용을 바탕으로한 '신자유주의(新自由主義)'로 지적하고 있다. 이에 반해, <위대한 퇴보>에서 저자는 오히려 위기의 원인을 '과도한 규제'로 지목한 근거는 무엇일까. 세부적으로 살펴보자.


1. 민주주의


 저자는 먼저 민주주의를 위기를 지목한다. 금융위기 이후 큰 규모로 증가한 재정정책, 고령화(高齡化) 사회의 도래로 인해 지불해야 하는 연금(年金)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 결과 막대한 규모의 부채(負債)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 결과 각국의 정부는 막대한 재정 부채에  대해 정치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만 했다. 


 '하지만 우리 서양의 정치제도에 무언가가 잘못되었다는 서양 민주주의 비판가들의 생각에는 틀린 점이 없다. 병폐의 가장 뚜렷한 증상은 최근 몇십 년간 쌓여버린, 과거처럼 전쟁 탓으로 돌릴 수도 없는 어마어마한 부채다.... 국제통화기금에 따르면 그리스의 순정부 부채는 2012년 GDP의 153퍼센트에 달할 전망이다. 이탈리아는 123퍼센트, 아일랜드는 113퍼센트, 포르투갈은 112퍼센트, 미국은 107퍼센트다. 영국은 88퍼센트에 가까워지고 있다.'(p58)


 현재 세대의 부채를 미래 세대의 부담으로 넘기는 정치적인 결정은 세대간 갈등을 유발하게 되었고, 그 결과 사회계약을 기초로 한 현대 민주주의는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고 저자는 분석한다.


 '문제의 핵심은 공공 부채가 투표권조차 없는 어린 세대나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세대를 희생시켜 현재의 유권자 세대를 부양한다는 사실이다.(p60)... "사회"는 분명 하나의 계약이다. 국가는 현재 살아 있는 사람들간의 파트너십뿐 아니라 살아 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 그리고 앞으로 태어날 사람들간의 파트너십이다... 성숙한 민주주의 국가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 과제는 세대 간 사회계약을 원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p63)... 이 문제를 해결할 법적 해답이 있는가? 일종의 균형예산으로 수정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중앙은행에 독립성을 주어 통화정책에 관한 입법자들의 재량권을 축소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적자 지출을 할 수 있는 입법자들의 재량권이 줄어든다.'(p64)


2. 자본주의


 저자는 자본주의의 위기는 '규제의 완화'가 아니라 '과도한 규제'에 있다고 진단한다. 연방준비은행(FRB)를 비롯한 민간 부문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이들의 힘이 거대하기 때문에 스스로 규제안을 만들고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민간 자본 스스로의 규제가 과연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인가? 이러한 민간부문의 완벽하지 못한 규제로 인해 오히려 금융 거품이 유발된다.


 '2007년 시작된 금융 위기의 시초는 바로 지나치게 복잡한 규제에 있었다. 위기의 시작 그 첫 장에서는 대규모 상장 은행의 임원들이 "주주 가치를 극대화"하려 안간힘을 쓴다... 두 번째 장에서는 1996년부터 서서히 수정을 거친 바젤 협정에 따라 기업은 내부적인 리스크 추산을 바탕으로 자신의 자본 요건을 사실상 직접 정할 수 있게 되었다... 연방준비은행을 필두로 중앙은행들이 매우 편파적인 통화정책을 마련하기에 이른다... 네 번째 장에서는 미국 의회가 자가 주택을 소유한 저소득층 가구 비율을 늘리기 위한 법안을 통과시켰다... 마지막 장의 시장 왜곡은 달러 대비 위완화 가치 상승을 막기 위해 말 그대로 수조 달러에 달하는 돈을 뿌린 중국 정부에 의해 이루어졌다.'(p78)


 '현재 우리가 직면한 문제는 금융 개혁 때문이 아니라 금융 규제 때문이다. 일련의 금융 위기를 통해 명확히 깨달았듯 민간 부분의 리스크 관리 모델은 분명 완벽하지 못하다. 거기다가 공공 부문의 리스크 관리 모델이라는 것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다. 법률 제정자와 단속 기관들은 모든 활동에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따른다는 법칙을 거의 무시한 채 움직였고,  그 결과 선진국 거의 전역에 부동산 거품을 부추기는 꼴이 되고 말았다.'(p81)


 그렇다면, 저자가 생각하는 자본주의 위기를 해결하는 방안은 무엇일까? 역설적이겠지만, 저자는 '규제의 완화와 엄격한 처벌'을 해결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법을 위반했을 경우 이에 대한 엄한 처벌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법치주의'가 확립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현재 서구 문명의 법치주의 역시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위협은 무엇일까?


 '우리가 할 일은 배젓의 말처럼 "현재의 은행 시스템을 나름대로 최대한 이용하고, 그것의 역량이 허용하는 한 잘 운영하는 것이다. 지금 쓸 수 있는 건 일시적인 처방뿐이다.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우리가 손에 넣을 수 있는 최고의 처방을 얻는 것이다.(p102)... 이 장 처음에는 엄한 규제의 지지자들에게 반박하다가 끝에 와서 나쁜 은행가들을 본보기 삼아 엄하게 다스려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으니 모순처럼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규제의 단순화와 법률의 강력한 집행만이 복잡한 금융 세상을 덜 취약하게 만드는 유일한 길이다.'(p106)


3. 법치주의


 저자가 지목한 법치주의의 위기는 무엇일까? 법치주의의 위기는 영국의 관습법(慣習法)의 위기로 설명된다. 영국 경험주의(經驗主義) 전통에 기반한 영국 관습법 체계는 과거 유연한 적용과 내용의 진화라는 면에서 우위에 있었으나, 과도한 규제로 인해 성문법(成文法) 체계의 확립이 요구되자 제도적 우위를 상실하게 되었다. 그 결과로 인해 현대 사회는 막대한 법률비용이 증가되는 부담을 갖게 된다. 


 '경제가 복잡해지면서 민간 계약 집행 기간이 공공 기관으로 대체되는 과정에서 국가로 하여금 사유재산권을 존중하면서 집행권을 쓰게끔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경제학에서 보면 그것이야말로 법치주의의 가장 필수적인 기능이다. 근본적인 것은 인간의 권리가 아니라 재산권이다.'(p116)


 '계약 집행과 강요 제한이라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영어권문화에서 진화한 관습법 체제가 다른 모든 체제보다 뛰어났다... 로마의 법적 전통에서 유래한 프랑스의 민법 체제는 말할 것도 없고, 로마의 법적 전통에서 유래한 프랑스의 민법 체제나 독일과 스칸디나비아 반도 국가들의 법률 체제는 그 수준이 다소 낮았다.'(p116)


  '관습법은 구체적인 규정 대신 광범위한 기준을 쓰기 때문에 관습법 아래에서 법적 의사 결정의 유동성이 커진다.(p119)... 영국의 법체계와 다른 나라의 비슷한 제도들에 경제 발전상의 우위를 가져다준 것은 투자자나 채권자 처리 방식의 기능적 차이가 아니라 바로 이러한 관습법의 진화였다.'(p128)


 '오늘날 서양, 특히 영어권 국가들에서 법치중의의 실상은 어떠한가? 현재 가해지고 있는 네 가지 명백한 위협을 다음과 같이 가려내보았다. 첫 번째로 국가의 안보 상태로 인해 우리의 자유가 얼마나 손상되었는지 자문해야 한다... 두 번째 위협은 민법의 특성을 갖춘 유럽의 법률이 영국의 법 체제를 침식해 들어오는 문제다... 세 번째 위협은 점점 더 복잡하고 엉성해지는 성문법으로, 정교한 규제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정치판 곳곳에 퍼지면서 유럽과 북아메리카 양쪽 모두에서 벌어지고 있는 아주 심각한 문제다... 네 번째 위협, 특히 미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이 문제는 법적 비용이 점점 늘어가고 있는 것이다.'(p130)


 서양 문명에서 '법의 성문화(成文化)' 요구에 따라 도래된 사회는 '법률가들의 통치'로 귀결된다.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개혁이 요구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다음 수순이다. 시스템에 대한 개혁의 마지막 종착역은 '시민 사회'다.


 '오늘날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은 법의 통치가 아닌 법률가들의 통치다. 분명 미국 의회에 변호사가 너무 많다는 사실도 우연의 일치는 아닐 것이다... 시스템의  내부에, 즉 법안 안에, 단속 기관 내부에, 법적 제도 자체에 썩은 부분이 많다면 그 시스템을 어떻게 개혁할 수 있단 말인가?'(p143)


4. 시민사회


  서양 문명의 위기에 대한 저자의 최종적인 해결 방안은 '시민사회의 참여'다. 온라인(On line) 상의 네트워크가 아닌 전통적인 시민사회의 복구와 시민 개개인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서만이 현재 위기를 극복하고 서양 문명은 다시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 저자는 결론을 내린다.


 '이 마지막 장에서는 "시민사회"라는 표가 붙은 블랙박스를 열어보고자 한다. 한때 우리가 당연히 여겼지만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활기찬 시민 사회의 참여 없이 과연 자유로운 국가가 번창할 수 있는지 묻고 싶다. 또 시민사회의 반대말은 무책임한 사회이며, 이런 사회에서는 사소한 반사회적 행위 같은 문제도 국가의 도움이 필요함을 알리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네트워크가 우리 해변을 깨끗하게 복원했던 실제 사람들의 네트워크를 대체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p150)


 <위대한 퇴보>는 이처럼 '과도한 규제 -> 법치주의의 위기 -> 경제위기 -> 민주주의의 위기'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회적 고리를 역사학자인 저자의 시각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저자만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위대한 퇴보>는 경제 위기를 그 자체만의 원인으로 바라보지 않고, 정치/사회적인 면에서 종합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면에서 그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저자인 니얼 퍼거슨의 분석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은 다른 문제라 여겨진다. 


 저자인 니얼 퍼거슨은 영국의 경제사학자다. 그는 제국주의 시대의 영국을 배경으로 많은 책을 저술하였으며, 이들 저술을 통해 영국 제국주의의 승리 원인이 '금융(金融)'이 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다른 유럽국가들과는 다른 섬나라 영국만의 독자성과 EU 내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금융'에 특화한 산업구조를 강조한 그의 역사관(曆史觀)속에는 1년 전 영국의 브렉시트(BREXIT)를 바라보는 영국인들의 관점이 담겨있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시민 사회의 참여에 있어 Off-line참여를 강조하며, 전통 사회의 복구를 강조하는 <위대한 퇴보>의 결론 속에서그가 제시한 해결책은 결국 '고립주의'적인 해결안이라 생각된다. 세계의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현실을 고려한다면 니얼 퍼거슨의 폐쇄적인 해결책은 그런 면에서 마음 깊이 와 닿지 않는다. 


[그림] 브렉시트(출처 : http://newstreet.tistory.com/5)


  영국 역사학자의 입장에서 '아편전쟁' 당시 중국을 분할 침략하던 영국 제국주의 전성기를 연구하다 'Made in Cina'가 장악한 현대의 모습은 정말 인정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한 결과로 '위대한 영국 Great Britain'으로의 복귀를 저자는 꿈꾸는 것은 아닌가 생각하게 된다.


[그림] 중국 상품의 세계 지배( 출처 : http://www.indiatimes.com/news/world)


 다만, 이러한 폐쇄적인 해결안을 제시했음에도, 그가 인용한 아담 스미스(Adam Smith, 1723 ~ 1790)가 <국부론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을 통해 제시하고 있는 '정체된 사회의 문제'는 우리 모두가 공감하고 있는 우리의 문제라 생각된다. 인용된 <국부론>의 문구를 마지막으로 이번 리뷰를 마친다.


 '국가의 부가 매우 크더라도 오랜 기간 정체 상태에 있었다면 노동 임금이 매우 높을 것이라는 기대를 버려야 한다... 사회가 부 전체를 완전히 획득했을 때가 아니라 더 많은 획득을 위해 나아가고 있을 때, 즉 진보하는 상태일 때 인구 대다수인 가난한 노동 계층이 가장 행복하고 안락함을 느낀다. 정체 상태일 때는 살기 힘들고, 경제가 쇠퇴한 상태에는 비참해진다.'(p19)


 '부자나 대자본 소유자들이 경제적 안정을 누리는 반면, 가난한 자나 소자본 소유자들이 정의라는 미명하에 안정은 커녕 저급 공무원들에게 약탈당하고 강탈당하는 국가에서는, 종류를 막론하고 산업에 이용되는 주식자본이 그 산업의 본질과 규모가 허용하는 최대 수준까지 절대로 이를 수 없다. 어떤 산업 분야든 가난한 자들에게 가하는 압제는 곧 부자들의 독점으로 이어지고, 부자들은 해당 산업 전체를 고스란히 소유함으로써 더 큰 이익을 보게 된다.'(p20)


ps. 번역된 제목 <위대한 퇴보>는 내용에 맞게 <커다란 퇴보> 또는 <급격한 쇠락> 정도로 해석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위대한 퇴보'라는 지금의 제목은 서구 문명의 퇴보가 마치 동양 문명을 위한 양보 같은 느낌을 주는 듯하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와같다면 2017-07-25 19:3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주주 가치 극대화‘를 경영 이념으로 이야기했던 그 대규모 상장 은행에 근무하면서.. 그 당시에도 내 가슴속 깊은 의문은

- 회사는 주주 이익 극대화를 위하여 존재하는가?
- 노동자들은 주주보다 더 절박한 처지에서 회사를 위하여 일하는데.. 이런 생각들

겨울호랑이 2017-07-25 19:36   좋아요 1 | URL
자본주의 사회에서 결국 회사는 자본을 위해 존재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최근에는 인간 중심 경영을 외치지만, 결국 노동자들이 제공하는 ‘노동‘은 ‘자본‘과 마찬가지로 생산 투입 요소 취급밖에 받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결국 회사와 노동자들은 1:1의 관계에서 각자의 이익을 추구하는 계약 상대이지, 파트너는 될 수 없는 것 같아 씁쓸하네요...

서니데이 2017-07-25 23: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중국 상품의 세계 지배 지도에서 많은 지역에 중국 국기가 있지만, 중국에는 일본 국기가 있네요.^^
겨울호랑이님, 더운 날이지만, 즐겁고 좋은 하루 되세요.^^

겨울호랑이 2017-07-25 23:24   좋아요 1 | URL
^^: 중국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중간 부품 중 다수가 일제여서 그런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서니데이님도 편한 밤 되세요.

사마천 2017-07-26 00: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요약과 정리가 참 잘되어 있네요. 감사합니다 ^^ 니얼 퍼거슨은 아주 독특한 인물입니다. 말도 거침 없고요. 로스차일드 가문 공식 역사서도 집필하고.. 크루구먼하고도 맞장 토론..

겨울호랑이 2017-07-26 01:02   좋아요 0 | URL
네^^: 사마천님 감사합니다. 사마천님 말씀처럼 퍼거슨이 쓴 「로스차일드」는 쑹홍빙이 「화폐전쟁」에서 그린 로스차일드 가문보다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그려졌다 생각됩니다. ^^: 퍼거슨의 다른 저작들도 더 찾아 읽어보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