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데아의 동굴
호세 카를로스 소모사 지음, 김상유 옮김 / 민음사 / 2005년 10월
평점 :
절판
사람들이 동굴에 갇혀있습니다. 온 몸이 꽁꽁 묶인 채 말이죠. 그들은 동굴 밖을 나갈 수 없습니다. 단지 동굴을 지나가는 그림자만을 볼 뿐. 오직 그것밖에 볼 수 없는 그들은 그 그림자가 실체라고 여깁니다. 사실은 그림자일 뿐이지만.
이것은 그 유명한 ‘플라톤’의 ‘국가’에 나오는 ‘동굴의 비유’입니다. 동굴 밖의 진정한 이데아를 보지 못한 채 그림자를 참 모습이라고 여기는 현실 속의 우리들.
‘이데아의 동굴’은 독특한 구조를 가진 액자소설입니다. ‘플라톤’이 ‘아카데메이아’를 경영하던 시기의 고대 그리스를 배경으로 벌어지는 살인사건을 다룬 ‘동굴’이라는 소설과, 그 소설을 번역하는 번역자의 이야기가 주석으로 이어집니다. 처음에는 거리감을 두고 소설은 소설대로, 번역자는 번역자대로 각자 이야기가 진행되지만 어느새 소설과 번역자는 한 데 뒤엉키고 맙니다.
고대 그리스에 써진 소설 속에 현재를 사는 번역자가 들어가 있기도 하고, 분실된 원본 대신 소설 속 첫 번째 희생자처럼 늑대에게 찢겨 죽은 채 발견된 ‘몬탈로’의 판본을 번역하던 번역자는 누군가에 의해 납치되고 계속 번역해서 최종적인 진짜 열쇠를 발견하라는 압력을 받게 됩니다.
이 소설이 놀라운 건 이런 이중적인 구조가 아닙니다. 이 소설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이 이중적입니다. 살인 혹은 자살, 이성적인 것 혹은 눈에 보이는 것, 이상 혹은 현실, 번역자 혹은 등장인들, 이데아의 입증 혹은 반증 등등의 것들과 반전, 반전, 반전!!
그리고 그 이중성은 모순이며, 교묘하게 감춰져 있다가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 진실이라고 생각했던 것은 거짓이 되고, 우리는 동굴에 갇혀 있었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그렇습니다. 모든 것은 처음부터 잘 짜여진 거짓이었고, 우리는 그림자만을 본 것입니다.
지금 읽고 있는 책을 멈추고 이 책을 읽으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훌륭한 책이지만, 고대 그리스에 대한 약간의 배경지식을 요합니다. 진짜 주석은 책의 제일 마지막에 있으며 그마저도 그다지 친절하게 많은 걸 설명하고 있지 않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많은 것을 알고 있어야만 하는 건 아닙니다. 알아듣지 못할 어려운 말들은 대충 넘겨도 최종적인 열쇠가 무엇인지를 아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으니까요. 다만, 에이데시스를 발견하기 전에, 해독자와 철학자가 본격적인 수사에 돌입하기 전에, 이 책이 단순한 추리소설이 아니라는 걸 깨닫기 전에.. 손에서 책을 놓는 이유가 난해한 듯 보이는 단어들과 고대 그리스에 대한 몰이해(沒理解)에서 오는 것만은 아니기를.
[숨겨진 이데아나 최종적인 열쇠나 궁극적인 의미 찾기를 중단하시오! 읽기를 멈추고 삶을 사시오! 텍스트에서 빠져 나오시오! 당신들은 무엇을 보고 있소?]
킬링타임용 대중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추리소설이라는 장르로 일반인들은 가까이 하기도 어려워하는 철학을 멋지게 한데 버무려, 등장인물과 독자가 같이 사유하고, 참여하고.. 종국엔 놀랍고도 충격적인 지적 반전을 만들어낸 작가의 솜씨는 가히 경이롭기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