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에 브리태니커에서 발간한 그레이트 북스 총서를 장만한 이야기를

여기 블로그에 올렸었는데요, (이전 글은 여기)

그때 50권 맑스 부분이 결권이라는

(그리고 시중에 나도는 대부분의 총서가 비슷한 사정이라는)

언급을 한 바 있습니다. 벌써 2년 반 전이네요.

 

그때 한창 아마존에서 헌책으로 사는 방안도 알아보고 했더랬는데 ...

클릭질만 하고 사지는 못했어요 ...

(돈이 아까워서 ... 는 아니고, 한번 시작하면 주체를 못할까봐 ㅋ

알라딘에서도 처음 온라인 헌책방이 생겼을 때 제법 뭘 많이 샀거든요?)

 

헌데 이번에 뭐 다른 물건을 살 일이 생겨서 ...

 

 

라는 건 홍차 ...

모카씨를 붓통에 숨겨온 문익점처럼

맑스씨를 차통에 숨겨온 나님이심. (이게 바로 아재개그)

 

 

뭐 하여간, 맑스는 이런 모습입니다.

(비교를 위해 기존 소장본 44권, 49권을 함께 찍었어요.)

 

 

 

헌데 기존에 가지고 있던 1971년도 19쇄와 이번에 새로 산 1989년 31쇄 ......
저 때깔 차이 나는 거 보이시나요?
예상은 했지만 실상은 좀 심각하네요.

44권은 더럽 하늘색인데 50권은 코발트 느낌 확!

 

그리고 두 권 중에 한 권은 구판이 아니라 신판 ㅠ

난 분명 구판을 시켰는데 .... 망할 판매자 놈 제대로 좀 보고 팔등가 ㅠ 

이거 반품도 힘들텐데 워짜스까이 ㅠㅜ

 

신판은 아마도 다들 맑스 부분을 포함해서 판매되었겠죠?

 

아, 참고로 맑스 독본으로서의 GBWW는 썩 좋은 선택은 아닙니다.
독어판 3판을 대본으로 한 Samuel Moore 와 맑스의 사위 Edward Aveling 의 자본론 1권 번역, 그리고 양념처럼 곁들여진 공산당 선언이 전부인지라.

사상계 ...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 미친 영향력으로 봐서는 기번이나 아리스토텔레스처럼 두 권 정도는 할애할만 한데 말이죠. 되려 보스웰인지 뭔지 하는 (아마 살아 생전에 저 총서를 다 훑어본다 해도 저거는 안보지 싶네요) 책이 더 두껍기나 하고 ...

 

그래도 ... 자본론 1권의 영문판을 보고 싶다거나,

신판 총서를 가지고 있는데 마침 맑스 부분이 결권이시라면 ...

하여튼 누가 제 꺼 좀 사가주세요~ ^^

 

참고로, 아마존 여기(클릭하세요!)를 가시면 GBWW MARX 살 수 있으니,

혹시 구판 소장자 중에 결권이신 분은 ...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붉은돼지 2016-03-08 14: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자태가 아름답습니다. 멋집니다.
뭐,,,저에게는 그림의 떡이지만요...소생은 까막눈이라서,,,ㅜㅜ

비로자나 2016-03-08 15:22   좋아요 0 | URL
뭐 저런 책들은 꼭 다 읽어야 맛인가요?
튼실한 장정과 휘황찬란한 금색 책등을 즐기는 것도 좋지요.

니르바나 2016-03-08 20: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비로자나님, 안녕하세요.

무엇보다 부러운 것은 그레이트북스 총서를 진열할 공간을 가지고 계신 점입니다.
저의 경우 오래 전 개정판으로 한질, 60권을 들여놓을까 생각하다
책값도 책값이지만 들여놓을 책 무게와 공간을 재다가 포기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고보면 책도 다 인연이 따로 있는 모양입니다.

그레이트북스 총서 소장을 축하드립니다.^^

비로자나 2016-03-08 22:11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
소장이 중요한 게 아니라 평생 한번은 다 읽고 죽어얄텐데요 ㅎㅎ
저도 공간 없어요. 책장 한칸에 두 줄로 쌓아놨습니다 ㅠ
유리문 달린 기품 있는 장식장에 따악~ 진열해도 시원찮지만...
그런 호사는 저에게도 너무 큰 사치라서요 ㅎㅎ

그리고 개정판은 아마존 평을 보니 제본 상태 등에 약간의 문제가 있나 보드라고요.
가격도 보다 저렴하고 만듦새도 나쁘지 않은 구판을 추천드립니다 ^^
 

 

 

 

 

 

 

 

 

 

 

 

 

 

 

한나라 시대의 학자 왕충의 작품, [논형]은 소나무에서 이주행 번역으로

선역본이 나온 바 있다. 1996년이니 20년 전이네 ...

(자료 화면으로는 잘 전달이 안되는데, 사실 저 표지가 고급진 클로스 양장에 금박으로 글자를 박은 ... 실물을 보면 꽤나 고급스럽다.)

 

당시에 책을 읽으며 부분 번역이라 약간의 아쉬움이 남았더랬는데 ...

(소나무에서 나온 [주자어류]도 앞부분만 하다가 끝나버렸지)

 

 

 

 

 

 

 

 

 

 

 

 

 

 

 

2011년에 [논형]의 부분 번역을 선보인 바 있는 성기옥 교수가 이번에 드디어 완역본을 펴냈다. 그러고 보니 그때 저 책을 보고서 이왕이면 기존 소나무 판에 실리지 않은 부분 위주로 좀 내면 어떨까 라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난다. (당연히 선역이라면 핵심적이고 중요한 편 위주로 낼테니, 그럴리가 만무하다만.)

 

약간은 특이하게도 [논형]과 [논형교감]으로 나뉘어서 나왔고,

 

출판사는 무려 동아일보사. 인문플러스 동양고전 100선으로 기획되었는데, 100선을 채우려면 만만찮을텐데 ...

(임동석 중국사상이라고 동서문화사에서 나온 총서가 권수로는 140권 이상 되고, 자유문고 동양학총서도 80권 이상 되고 있긴 하다.)

그래도 이왕이면 [논어], [맹자], [대학], [중용] 뭐 이런 사서오경부터 시작하는 약간은 식상한 책들은 지양해주셨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러쟎아도 함께 나온 책들의 면면은 일단 참신하다.

 

 

 

 

 

 

 

 

 

 

 

 

 

 

마뜩찮은 번역본을 찾기 힘들었던 [열자] 번역본도 반갑고.

(생각해보면 1992년에 나왔던 [열자의 지혜]라는 편역본으로 [열자]를 처음 만났는데 ... 아무래도 첫 단추가 잘못 끼워진 듯 하다. 제대로 된 번역본으로 다시 봐야겠지?) 

 

 

 

 

 

 

 

 

 

 

 

 

 

 

 

 

[지낭]은 기존에 연변의 학자 이원길 선생이 총 3권으로 완역한 판본이 있는데, 이번 '문이원' 번역본은 1200 여 편 중에서 150 여 편을 번역했다고 하니, 분량이 과하게 적다 싶다. 핵심만 추려보는 선집인 셈. 보통 연변 쪽에서 번역한 [수호지] 등의 작품이 충실하기로 정평이 나 있으므로 [지낭]의 전모를 파악하려면 이원길 선생의 번역본을 고르면 되겠다.

(그리고 '문이원'이 개인의 인명이 아니고 전공자들의 모임이라고 하는데, 사실 개인적으로 이런 식의 정확한 책임소재를 알 수 없는 공역을 좋아하지는 않는다.)

 

 

 

 

 

 

 

 

 

 

 

 

 

 

 

[반경]은 동아일보사에서 이전에 장순용 번역으로 두 번 나왔던 것을 역시 '문이원' 번역으로 새로 완역해서 펴냈 ... 아니 근데 딱히 번역자를 바꿀 필요가 전혀 없어 보이는데 대체 왜? 혹시 기존 번역자도 '문이원' 모임 소속이라거나 하지 않는 이상 뭔가 설명이 안되는데 ...

 

[황석공소서]도 사실 어지간한 동양고전 총서류에서는 다루어지지 않던 책이라 대환영.

 

 

 

 

 

 

 

 

 

 

 

 

사실 동아일보사가 알음알음으로 소설가 조성기 선생이 각색한 [맹자]나 [전국책] 등의 동양고전을 꾸준히 펴내던 곳이었는지라, 이런 책들도 좀더 새로운 모습으로 보게 되려나? (인문플러스의 약간은 아카데믹한 분위기와는 조금 안 맞긴 하다만 ...) 어쨌든, 일본 朝日新聞社의 中國古典選에 버금가는 알찬 동양 고전 총서가 되기를 기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침 움베르토 에코와 비슷한 시기에 유명을 달리한 하퍼 리 여사 ...

단 한 권의 소설로 불멸의 이름을 얻게 된 작가.

아마도 미국인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소설 중의 하나가 아닐까 싶다.

 

그 명성에 비해 우리나라에는 상당히 늦게 소개된 편이다. 

한겨레 라는 출판사에서 무명의 번역가에 의해 초역.

이 때문인지 약간은 묻혀버린 감이 있다.

 

 

물론 지금은 그 명성에 걸맞게, 탄탄한 출판사에서 김욱동의 새로운 번역(2010년 문예출판사에서 나왔다가 열린책들로 이전)으로 후속편(사실은 오히려 이걸 먼저 썼다고 하는데...)과 함께 잘 나오고 있지만. 

 

 

 

 

 

 

 

 

 

 

 

 

 

 

서고를 뒤지니 90년대에 워너북스에서 나오던 영문판 페이퍼백이 있어 찍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n omnibus requiem quaesivi, et nusquam inveni nisi in angulo cum libro.

 

내 알라딘 서재 첫머리에 나오는 말이다.

물론, 다들 아시다시피 [장미의 이름] 어딘가에서 따온 말이고.

 

움베르토 에코를 처음 알게 된 것은 어린 시절 주말의 명화 정도에서 소개된 영화 [장미의 이름]에서였던 걸로 기억한다.

 

학창 시절에는, 에코 광팬이던 동학을 따라 드디어 소설 [장미의 이름]을 읽고 [장미의 이름 창작노트]인가 하는 것도 사보고 했던(그 친구가 선물로 줬던가?) 기억이 난다. 알라딘 DB를 찾아보니 [창작노트]와 에코 선집으로 나온 [작가노트]만 나오는데, 90년대 초반에 저것 말고도 [주석서]인가 [깊이 읽기]인가 뭐 그런 제목의 아주 얇은 책자가 있었고, 내가 소장한(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중 희극편 마냥 서고 어딘가에 숨어있을) 책은 아마도 그것이지 싶다.

 

 

 

 

 

 

 

 

 

 

 

 

 

 

아, 에코 마니아였던 그 동학은 공부에는 그닥 소질이 없었던지 후에 서울에서 남쪽으로 가면 나오는 어느 산골짜기 대학의 미학과라는 생경한 이름의 학과에 진학했는데 ... 아마 에코의 영향도 없지않았을 것이다. (왜 언어학과에 진학하여 기호학을 전공하지 않았느냐, 뭐 이런 의문이 생길 법도 한데 ... 사실 난들 알겠는가. 문예창작과를 가서 에코처럼 멋들어진 소설을 쓰지 않았느냐, 공부를 좀더 잘해서 그래도 서울 도심에 더 가까운 명문 대학인 한국외대 이태리어학과라도 가서 에코의 전작을 원어로 감상하지 않았느냐, 뭐 이런 수준의 허접한 의문이 아니던가. 그러고 보니 에코가 어느 인문학도의 학과 선택에 미친 영향이란 것은 미미하다고 봐야겠다.)

 

 

 

 

 

 

 

 

 

 

 

 

 

 

 

어쨌든 [장미의 이름], 그리고 [푸코의 추]([푸코의 진자]로 개명)는 당시 독서계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지성파 소설들이었다.

 

여담이지만, [장미의 이름]도 그 특유의 난해함으로 인해 한때 오역 시비 등도 있었고 ... 심지어 책이 한 권 나오기도 했다는 ... 이런저런 오류들을 고치고 고쳐 아마도 3판까지 나왔던 걸로 기억하는데 ...

 

(사실 1986년도에 열린책들의 이윤기 역본보다 조금 더 일찍 나왔던 우신사의 이동진 역본이 초역본인데 ... 그 이야기는 이번엔 생략하자. 1986년이면 우리나라가 베른 협약에 가입하기 전이어서, 해외 저자의 서적을 출판권을 획득하지 않고도 아무 출판사에서나 펴낼 수 있던 시기라 이런 일들이 종종 있었다.)

 

[푸코의 추]도 만만찮은 오탈자의 향연이 벌어졌던지라 ... 번역자에게 몇 건의 정정표를 보내드리기도 했던 기억이 난다(그런데 이후에 개정판인가에 지적했던 사항들이 반영이 안되서 급실망).

 

마침 찾아보니 ... 에코 책은 [바우돌리노] 영문판만 보인다.
어딘가에 해석학 어쩌구 하는 책도 있을텐데 ... 찾지를 못하겠네.
(지금 나오는 움베르토 에코 마니아 컬렉션이 아니라 에코 라이브러리 판인디... 아울러, 에코의 드넓은 작품세계를 폭넓게 소개해준 열린책들에도 감사를.)

 

어쨌든, 에코의 저서를 하나 올리며 추모를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당히 재미있는 대학 학부 과정이다.

고전을 읽고 토론한다. 끝.

물론 이는 시카고 대학에서 주창한 Great Books Program 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교육과정.
(reference: Great Books of the Western World, Britannica)

 

 

(아래는 대표적인 주창자인 모티머 아들러의 번역서들.

대개 "How to Read a Book"이라는 같은 책의 번역서다.

[개념어 해석]은 아마도 "Six Great Ideas"의 역서로 보이고,

[토론식 강의 기술은 "How to Speak, How to Listen"의 번역.)

 



 

 

 

 

 

 

 

 

 

 

 

 

 

 

 

 

 

 

 

 

 

 

 

 

 

 

 

 

1696년에 윌리엄 왕 학교로 처음 세워진 성 요한 대학 은 1937년부터 고전 읽기 과정으로 전환했다. 메릴랜드 주 아나폴리스와 뉴멕시코 주 산타페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데, 후자는 동양 고전 과정도 운영한다고.

따로 과가 나뉘지 않고, 전교생이 4년간 고전어와 프랑스어를 배우고 고전들을 읽고 토론하고, 문리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

미국에 많이 있는 탄탄한 학부 과정 중심의 소규모 문리대(college of liberal arts)의 전범을 보여준다.

 

 



 

 

 

 

 

 

 

 

 

 

 

 

(이번에 이런 책이 나왔다고 해서 하는 블로그 포스팅이다.

20여 년 전에 무슨 유학기 하나가 나와서 베스트셀러가 되더니

너도나도 조기유학 열풍이 불어 약간의 부수적 사회문제가 생긴 바 있는데,

이런 바람직한 유학기라면 대환영이다.)

 

우리도 이런 대학 하나 만들자!

아니 사실 이런 취지 하에 비슷한 시늉들은 하고 있다.

(0. 굳이 따지자면 조선시대 성균관 뭐 이런 데도 ...^^)
1. 원래 동숭동 시절의 서울대는 문리대였다. 물론 전공별로 나뉘긴 했지만.
2. 90년대 중반에 본고사가 부활하면서 서울대 등등에서 필독 고전 목록을 제시하고 뭐 그랬는데, 사실 본고사 논술 대비용이라기보다는 학부 과정 필독서 정도의 성격이 짙었다. 아니나다를까, 몇년 뒤부터는 학부 교양수업에 고전읽기 강좌도 개설하고 그랬다.
3. 법학전문대학원이란 걸 만들면서, 기존의 법대 학부는 폐과를 해야 했는데, 대체로 자유전공학부라는 정체불명의 학부들을 만들었다. (저런 미국식 교양 학부보다는 옥스포드 PPE 정도를 꿈꾸며 만들었을 것이다.)
일부 대학은 없앨 법대도, 만들 법전원도 없으면서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역시 아무 생각 없는 학생들을 일단 받고 보자는 생각으로 유사한 과정을 만들었고. 얼마 뒤 인기가 시들해지자 폐과 수순.

(4. 위키페디아 관련 항목을 보니, 언더우드 국제대학 이란 곳이 한국 최초이자 유일한 문리대학으로 소개-"It is the first and only liberal arts college in the country"-되고 있던데 ... 어떤 허언증 환자가 이거 썼냐.)

자유전공. 자유학예. LIBERAL ARTS.
여기가 원래 이런 거 하는 데구만.

선진국에서는 융합형 인재니 뭐니 하여 인문학이 재조명을 받는다지만, 인구론과 문송합니다가 당연시되는 우리로선 저런 대학의 모습은 너무 머나먼 이야긴가?

(아참, 6년 동안 고전어도 배우고 동양고전도 주구장창 읽고-토론 수업은 없다, 아쉽게도- 논어 맹자 정도는 기본으로 암송하고 하는 과정은 우리나라에도 있는거로 안다. 12간지에 맞춰서 12개 학교가 있다던데...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