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문학동네 시인선 32
박준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1103 매일 시읽기 36일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 박준

철봉에 오래 매달리는일은
이제 자랑이 되지 않는다

폐가 아픈 일도
이제 자랑이 되지 않는다

눈이 작은 일도
눈물이 많은 일도
자랑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작은 눈에서
그 많은 눈물을 흘렸던
당신의 슬픔은 아직 자랑이 될 수 있다

나는 좋지 않은 세상에서
당신의 슬픔을 생각한다

좋지 않은 세상에서
당신의 슬픔을 생각하는 것은

땅이 집을 잃어가고
집이 사람을 잃어가는 일처럼
아득하다

나는 이제
철봉에 매달리지 않아도
이를 악물어야 한다

이를 악물고
당신을 오래 생각하면

비 마중 나오듯
서리서리 모여드는

당신 눈동자의 맺음새가
좋기도 하였다


좋아서, 아쉬워서, 박준의 시를 또 읽는다.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는 읽고 나면 '슬픔은'이 '슬픔도'로 자꾸 읽힌다. 더는 자랑할 것이 없어지는 세상에서, 정말 "좋지 않은 세상에서" "많은 눈물을" 흘리고 흘리고 또 흘려도, 그래도 더껑이처럼 남는 슬픔, 그 슬픔은 쉬이 내보이기 힘들다. 많이들 그러거든. 그만큼 울었으면 됐잖아. 그만 슬퍼해도 되잖아.

이 시를 읽으면서 나는 사회적 죽음, 사회적 슬픔을 떠올렸다. 2014년 4월 16일. 그 많은 사람들, 특히 학생들이 구조의 손길 한 번 제대로 받지 못한 채 수장되는 걸 두 눈 뜬 채, 속수무책으로 보면서 나는 한 명의 어른으로서 엄청난 분노와 슬픔과 죄책감을 느꼈다. 그들을 보러 갔다. 일일이 새길 수 없는, 너무 많은 얼굴들이 웃고 있었다. 다른 한편에선 소리조차 낼 수 없어 눈으로만 우는 이들이 있었다.

박준 시인은 "촌스럽더라도 작고 소외된 것을 이야기하는 시인이 되고 싶다"(<한겨레21> 통권2호 p67)고 말했다. 2011년 한진중공업 노동자 수백 명이 부당 정리해고를 당한 것에 항의해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이 크레인에 올라가 300일 넘게 고공농성을 하고 있을 때, 송경동 시인을 비롯한 젊은 시인들이 '그 사람을 보라'는 주제로 <프레시안>에 시를 연속 기고했다. 그 젊은 시인들의 대열에 박준이 있었고, 그가 쓴 시 제목은 '당신이라는 약'이었다.

박준 시인은 "좋지 않은 세상에" 사는 사람들의 "아득한" 슬픔에 다가가 같이 부대끼고 어우러지고 스며들다, 마지막엔 '시'라는 약을 제조해 그네들을 치료해줄 줄 아는 시인이다. 시인 자신이 아픈 독자에게 '당신이라는 약'이 되어 주는 것이다.

"비 마중 나오듯 / 서리서리 모여드는 / 당신 눈동자의 맺음새가 / 좋기도" 한 것은, 저도 모르게 방울방울 맺히는 그 눈물이 나의 슬픔, 너의 슬픔, 우리의 슬픔을 들여다보게 만드는 유리알이기 때문이다. "이를 악물고" 살아야 하는 풍진 세상에서 앙다문 턱의 긴장을 느슨하게 풀어주는 것은, '여기, 있는 나'를 바라봐주는 누군가의 촉촉한 눈빛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문학동네 시인선 32
박준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1102 매일 시읽기 35일

오늘의 식단
- 영(暎)에게

나는 오늘 너를
화구에 밀어넣고

벽제의 긴
언덕을 내려와

산 사람은
살아야 하지 않겠냐며
말을 건네는 친구에게

답 대신 근처 식당가로
차를 돌린 나는 오늘 알았다

기억은 간판들처럼
나를 멀리 데려가는 것이었고

울음에는
숨이 들어 있었다

사람의 울음을
슬프게 하는 것은
통곡이 아니라

곡과 곡 사이
급하게 들이마시며 내는
숨의 소리였다

너는 오늘
내가 밀어넣었던

양평해장국 빛이라서
아니면 우리가 시켜 먹던
할머니보쌈이나 유천칡냉면 같은 색이라서

그걸 색(色)이라고 불러도 될까
망설이는 사이에

네 짧은 이름처럼
누워 울고 싶은 오늘

달게 자고
일어난 아침
너에게 받은 생일상을 생각한다

이건 미역국이고 이건 건새우볶음
이건 참치계란부침이야

오늘 이 쌀밥은
뼈처럼 희고
김치는 중국산이라

망자의 모발을 마당에 심고
이듬해 봄을 기다린다는
중국의 어느 소수민족을 생각하는 오늘

바람은 바람이어서
조금 애매한

바람이
바람이 될 때까지
불어서 추운

새들이
아무 나무에나
집을 지을 것 같지는 않은

나는 오늘


박준의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를 계속 읽는다. 이 시집에는 너, 당신, 미인이 자주 등장하는데, <한겨레 21> 통권 21호 인터뷰를 읽고 그 이유를 알았다. "시집에 등장하는 미인 중 30% 정도는 사고로 세상을 떠난 누나예요. 그리고 10%, 5% 등의 지분으로 다 다른 사람들이 있어요."(한겨레 21 통권 21호 p65)

'오늘의 식단 - 영(暎)에게'에 등장하는 너는 아무래도 시인의 누나 같다. '화구를 밀어넣'을 만큼 가까운 사이는 보통 가족이니까. 피붙이를 떠나 보내도, 그 이별이 아무리 가슴 찢기듯 아파도, 친구의 말마따나 "산 사람은 살아야" 한다. 그렇기에 울음 대신 해장국을 삼킨다.

기억이 "간판들" 같다며 이어지는 문장 앞에서 숨을 멈췄다. "사람을 / 슬프게 하는 것은 / 통곡이 아니라 / 곡과 곡 사이 / 급하게 들이마시며 내는 / 숨의 소리였다" ​

이 느낌을 나는 안다. "곡과 곡 사이", 그 끊어질 듯, 끊어질 듯 위태위태한 소리를 이어주는 것이 후욱후욱 들이키는 "숨의 소리"다. 사랑하는 이를, 그것도 급작스럽게, 그것도 황망하게, 잃어본 적이 있는 이들이라면 이 문장 앞에서 찌르는 듯한 고통과 더불어 어루만지는 듯한 위로도 같이 느끼지 않을까.

박준의 시는 서정적이다. 이리 와봐, 내가 위로해줄게, 라고 대놓고 말하지는 않지만, 나도 당신들의 슬픔을 압니다 라고 느 끼 게 한다. 더 나아가 "당신의 슬픔은 아직 자랑이 될 수도 있다"('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며, 그만 좀 슬퍼하라고 말하는 이들의 입에 재갈을 물려버린다. 전혀 힘차지 않은 표현인데, 나는 이 시구에서 슬픔의 장례식을 자꾸만 요구하는 우리 사회에 일침을 가하는 듯한 통쾌함을 느꼈다. 슬픔의 유예기한은 당사자만이 정할 수 있다. 그러지 강요하지 말라.

박준의 시는 느리게 읽힌다. 해장국을 입 안으로 밀어넣듯 시어들을 마음 안으로 밀어넣을 수가 없다. 입 안 가득 물고 있다, 침이 고이려 할 때 오물오물 씹어야 제대로 맛을 음미할 수 있다. 하기사 대개의 시들이 그렇다만.

83년생 박준 시인은 생업으로 6년째 창비에서 편집자로 일하며 틈틈이 시를 쓴다고 한다. 머릿속으로 영감이 떠오를 때면 수첩이나 다이어리, 휴대전화 메모에 옮겨놓는다고. 그런 글들을 다듬고 다듬어 "미학적 도약"을 한 것이 두 권의 시집과 한 권의 산문집이다. 세 권 모두 경이로운 판매 수치를 보였다고. "무인도에 혼자 남아도 시를 쓸 것 같아요. 좋은 시를 한 편 쓰고 나면 엄청 행복하거든요"(한겨레 21 통권 21p65)라고 말하는 이 젊은 시인이 또 어떤 시들로 독자들의 마음을 적셔줄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1101 매일 시읽기 34일 

​눈썹
ㅡ1987년 
- 박준 

엄마는 한동안 
머리에 수건을 
뒤집어쓰고 다녔다 

빛이 잘 안 드는 날에도 
이마까지 수건으로 
꽁꽁 싸매었다 

봄 날 아침 
일찍 수색에 나가 
목욕을 오래 하고 

화교 주방장이 
새로 왔다는 반점에서 
우동을 한 그릇 먹은 것까지는 좋았는데 

우연히 들른 미용실에서 
눈썹 문신을 한 것이 탈이었다 

아버지는 그 날 저녁 
엄마가 이마에 지리산을 그리고 왔다며 
밥상을 엎으셨다 

어린 누나와 내가 
노루처럼 
방방 뛰어다녔다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의 발문을 쓴 시인 허수경은 자신은 ˝다른 시인의 시들을 해설할 수 없다˝며 ˝다만 읽고 느낄 수만 있다˝고 썼다. 그의 느낌으로 써내려간 발문은 독자들에게 박준의 시들을 더 마음 깊이 들여다볼 수 있는 현미경 구실을 해준다.

그럼에도 나에게 박준의 시는 쉽게 읽히지 않는다. 후루룩 넘겨 보니 이 시집의 가장 큰 특징은 마침표가 전혀 없다는 것. 

<눈썹>이 자전적 이야기라면 83년생 박준이 다섯 살 때 일이었을 것이다. 어머니가 지리산 눈썹 문신을 했다는 이유로 아버지가 저녁 밥상을 엎어도, 아이들은(어린 누이와 나) ˝노루처럼 방방 뛰어다닌다˝ 아이들이라 그럴 수 있고, 아이들이라 용납이 된다. 마누라는 용납이 되지 않는다. 이 시에 대한 허수경 시인의 느낌글이 좋다.

˝유사 신화 속의 어머니가 고독하다면 일상 속의 어머니 또한 고독하다. 어쩌면 일상 속의 어머니가 더 고독할지 모른다. ˝눈썹 문신˝을 이마 위에 지리산처럼 얹고 있는 어머니, 아마도 매일매일 눈썹을 그리는 시간을 줄이려고 문신을 시도한 어머니가 차리는 것이 매일의 밥상이다. 매일의 밥상을 위하여 그러니 어머니는 이마에 지리산을 얹고 잇는 것이다. 그놈의 밥상! 내일 세계의 종말이 와도 밥상은 차려져야 하고 아이들은 노루처럼 방방 뛰어다니니. 밥상은 비워지기 위해서 차려지는 것이다. 차려지고 비워지고 그 흔적을 설거지하는 매일의 범박한 일상 속에서 아이들은 철모르게 뛰어다니다가 문득 어른이 된다.˝(137)

˝그놈의 밥상!˝ 이 대목에서 덩달아 맞장구를 쳤다. 코로나 19로 아이들이 학교를 가지 않아, 코로나 19로 외식을 삼가야 해서 차려내야 했던 삼 시 세 끼를 헤아릴 수가 없다. 나는 밥상을 위해 눈썹 문신을 하는 대신, 날마다 같은 시각에 일어나 몸을 단장하고(가볍게) 아침상을 준비한다. 출근하듯이. 그리고 ˝엄마는 백수야˝라고 아이들에게 말하는 옆지기에게 ˝나는 월급 없는 주부 노동자야˝라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01101 코스모스호 타고 히치하이킹 100일 0일 

​나는 과학 문외한이다. 30대 초반 과학책을 읽어 보려 노력했으나, 3분의 1 정도 읽다 힘에 부쳐 포기했다. 이해는 둘째치고 도저히 재미를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때는 몰랐다. 이해와 재미는 따로 노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올해 읽은 마리아 포포바의 <<진리의 발견>>을 읽고 과학을 바라보는 눈이 살짝 달라졌다. 내가 생각하는 과학은 어렵고 딱딱하고 고리타분한 것이었다. 그러나 포포바가 ˝과학계의 휘트먼˝이라 칭송하며 일대기를 풀어놓은 레이철 카슨의 이야기를 읽은 후로 생각이 바뀌었다. 아, 과학도 재밌을 수 있구나. 과학도 문학이 될 수 있구나, 생각하게 된 것이다. 

얼마 전부터 듣기 시작한 팟빵 방송이 있다. <과학으로 장난치는 게 창피해? 과장창!> 출연진은 몇 년 전 선풍적 인기를 누렸던 <지대넓얕>의 한 패널 이독실, 기상캐스터 김가영, 과학커뮤티케이터 이선호 엑소이다(현재는 엑소 빠짐).완전재미있다. 나 같은 사람을 위해 과학의 문턱을 낮춰 준 느낌이라고나 할까. 이독실은 지대넓얕부터 좋아했지만, 과장창을 통해 목소리, 박식함, 이해력, 공감력, 연기력, 게다가 유머 감각까지, 아주 반할 지경이다. 어쨌든 이 방송 때문에 과학이 부쩍 가깝게 느껴지고 있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는 그 명성 때문에 죽기 전 언젠가는 읽으리라는 야무진 생각으로 2004년 초판에 이어 2006년 특별판이 나오자마자 구매했다. 무려 14년이 지났다. 팔아 먹지 않고 묵혀 두길 잘했다. 이 책을 읽겠다고 하자 책 좋아하는 지인들이 따라붙었다. 하여 ‘코스모스호 타고 히치하이킹 100일‘ 여행을 떠난다. 오늘은 0일이다. 

˝앤 드루얀을 위하여 / 공간의 광막함과 시간의 영겁에서 행성 하나와 찰나의 순간을 앤과 공유할 수 있었음은 나에게는 하나의 기쁨이었다.˝

​시적인 감사의 글이다. 칼 세이건은 1934년 한 점 먼지에서 숨쉬는 인간으로 태어나 1996년 자신이 사랑한 우주로 떠나 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1031 매일 시읽기 33일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 박준 

이상한 뜻이 없는 나의 생계는 간결할 수 있다 오늘 저녁부터 바람이 차가워진다거나 내일은 비가 올 거라 말해주는 사람들을 새로 사귀어야 했다 

얼굴 한번 본 적 없는 이의 자서전을 쓰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았지만 익숙한 문장들이 손목을 잡고 내 일기로 데려가는 것은 어쩌지 못했다. 

‘찬비는 자란 물이끼를 더 자라게 하고 얻어 입은 외투의 색을 흰 속옷에 묻히기도 했다‘라고 그 사람의 자서전에 쓰고 나서 ‘아픈 내가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는 문장을 내 일기장에 이어 적었다

우리는 그러지 못했지만 모든 글의 만남은 언제나 아름다워야 한다는 마음이었다 


박준. 1983년 서울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문학을 잘 배우면 다른 이에게 줄 수도 있다는 사실을 대학과 대학원에서 알았다. 2008년 <<실천문학>>으로 등단했다.(겉표지 글)

매일 시읽기를 까짓 함 해봐, 일단 100일만 채워봐, 라는 마음으로 시작했을 때 내가 생각한 것은 내 집 책꽂이에 꽂혀 주인의 손길만 기다리는 가여운 시집들부터 읽겠다는 것이었다. 허나 우후죽순. 비가 온 뒤 솟는 죽순처럼 시를 한 편씩, 또는 몇 편씩 매일 읽기 시작하자 읽고 싶은 시들, 시인들이 떠오르거나 찾게 되고, 북플이 인공지능으로 소개도 척척 해준다.

시집 네 권만 사 보기는 처음인 듯. 두 권은 전부터 읽고 싶었고, 한 권은 검색했고, 한 권은 북플 친구 덕에 알게 되었다.

일단 박준부터. 시 제목. 독특하고 상징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