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노벨문학상 수상 축하합니다!

 

'내이름은 빨강' 느무느무 좋게 읽었던지라, 파묵의 수상이 기쁘다.
올해도 후보로 거론된 사람은-- 바르가스 요사(어쩐지 정이 안 가는), 아모스 오즈(이 사람이 수상해도 굉장히 기뻤을 터이지만), 아도니스(통 접하기 힘들어서 잘 모르겠음), 고은 시인(문학성이 다른 후보들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걸 우리도 스스로 잘 알고 있지 않나;;)...

파묵의 수상- '받을 사람이 받았다'는 생각도 들지만, '내이름은 빨강' 이외의 다른 소설을 사실 읽지 못해서 단언하긴 힘든데, 98년 작품으로 2006년 상받았으니 노벨상 싸이클이 엄청 빨라지긴 한 모양이다. 과학분야에서는 업적과 수상 사이 시차가 최근 급격하게 줄어드는 걸 느낄 수 있었는데 이젠 문학에서도? 그 부분에 대해서라면 좀 논란이 있을 수도 있겠다. 진정 권위로운 상이라면, 특정 소설에 국한된 상이 아니라 작가의 모든 것에 대해서 주는 (노벨문학상은 그런 측면이 많으니깐) 것이라면, 작가와 작품에 대한 오랜 동안의 평가 말하자면 '검증'이 철저하게 이뤄진 뒤에 한참 지나서 주는 것이 맞다는 생각도 든다.




파묵의 책 중에서, 유독 읽고 싶은 것이 있다. '이스탄불' 이라는 작품인데 작년에 나왔으니 신간이라면 신간이다. 아직 국내 번역 안 됐고 영어로 된 걸 살까 하다가 말았는데... 노벨상 탔으니까 이제 곧 번역돼 나오겠지? 이 작가가 이스탄불을 어떻게 그렸는지 궁금해 죽겠당...

 

Turkish Writer Wins Nobel in Literature

Published: October 12, 2006

LONDON, Oct. 12 — The Turkish novelist Orhan Pamuk, whose exquisitely constructed, wistful prose explores the agonized dance between Muslims and the west and between past and present, won the 2006 Nobel Prize in Literature today.

Tolga Bozoglu/European Pressphoto Agency

Orhan Pamuk was interviewed in Istanbul on Sept. 15.

Announcing the award from Stockholm, the Swedish Academy said in a statement that Mr. Pamuk’s “quest for the melancholic soul of his native city” had led him to discover “new symbols for the clash and interlacing of cultures.”

Mr. Pamuk, 54, is Turkey’s best-known and best-selling novelist but also an increasingly divisive figure in a nation pulled in many directions at once. A champion of freedom of speech at a time when insulting “Turkishness” is a criminal offense, he has run afoul of Islamists who resent his Western secularism, and Turkish nationalists who object to his unflinching, sometimes unflattering portrayal of their country.

The Swedish Academy never offers nonliterary reasons for its choices and presents itself as being uninfluenced by politics. But last year’s winner, the British playwright Harold Pinter, is a prominent critic of the British and American governments, and there were political implications once again in the choice of Mr. Pamuk.

The Conversation With Orhan Pamuk“You’re beginning to notice a certain sensitivity to trends — they are giving the prize as a symbolic statement for one thing or another,” Arne Ruth, former editor-in-chief of the Swedish daily Dagens Nyheter, said in an interview. Of Mr. Pamuk, he said: “he is a symbo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urope and Turkey, and they couldn’t have overlooked this when they made their choice.”

Mr. Pamuk, who said in 2004 that he has begun “to get involved in a sort of political war against the Turkish state and the establishment,” is currently spending a semester teaching at Columbia University in New York. Nationalist Turks have not forgiven him for describing the Turkish campaign against the Armenians during the First World War as genocide — a matter of bitter contention — and last year he narrowly escaped prosecution when a group of nationalists began a criminal case against him for remarks they considered anti-Turkish.

Because of the deeply mixed feelings Mr. Pamuk inspires back home, some prominent Turks had to walk a fine line today, expressing pride while trying to play down the significance of his political views.

“I want to believe that the Nobel Prize was given to him purely on his literary talents, but not political declarations,” Egemen Bagis, a member of Parliament from the ruling Justice and Development party, said. At the same time, Mr. Bagis said that the prize “shows how far Turkey has come in its contribution to the world’s arts and literature.”

In a brief interview with the Swedish newspaper Svenska Daglabet, Mr. Pamuk said today that he was “very happy and honored” and trying “to recover from the shock.”

Born to a wealthy, secular family of industrialists in Istanbul in 195, Mr. Pamuk originally meant to be an architect. But he defied family pressures, quit architecture school and became instead a full-time writer, publishing his first novel, “Cevdet Bey and Sons,” about three generations of a family, in 1982.

Among his best known works is “My Name is Red.” The novel, first published in Turkey in 1998 and subsequently translated into 24 languages, introduced Mr. Pamuk to a wider audience and cemented his international reputation. Set over nine winter days in 16th-century Istanbul, it is at once a mystery, an intellectual puzzle and a romance with a range of narrators, including a murder victim who opens the novel by saying, “I am nothing but a corpse now, a body at the bottom of a well.” In 2003, it won the $127,000 IMPAC Dublin literary prize.

“Nothing changed in my life since I work all the time,” Mr. Pamuk said at the time. “I’ve spent 30 years writing fiction. For the first 10 years, I worried about money and no one asked me how much money I made. The second decade I spent money and no one was asking me about that. And I’ve spent the last 10 years with everyone expecting to hear how I spend the money, which I will not do.”

“Snow,”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in 2004, expands further on themes — alienation, religion, modernization, the hidden corners of Turkey — that Mr. Pamuk has explored over and over in his work. Writing in the New York Times Book Review, Margaret Atwood called the novel “not only an engrossing feat of tale-spinning, but essential reading for our times.” The Turkish public reads Mr. Pamuk’s work, she said, “as if taking its own pulse.”

Ms. Atwood continued: “The twists of fate, the plots that double back on themselves, the trickiness, the mysteries that recede as they’re approached, the bleak cities, the night prowling, the sense of identity lost, the protagonist in exile — these are vintage Pamuk, but they’re also part of the modern literary landscape.”

Mr. Pamuk was quick to denounce the fatwa against Salman Rushdie over Mr. Rushdie’s work “The Satanic Verses.” In 1998, he turned down the title of state artist in Turkey, saying, “I don’t know why they tried to give me the prize.”

Mr. Pamuk’s Nobel comes at a particularly tricky moment for Turkey, whose efforts to join the European Union are viewed with suspicion by its own nationalists, by Europeans who worry about the country’s high proportion of Islamists, and by European governments, who are insisting that it first adhere to Western standards in human rights and justice.

Coincidentally today, a bill that would make it a crime to deny that the Turkish killing of Armenians from 1915 to 1917 constituted genocide was passed in the lower house of the French Parliament. And from Armenia, the foreign minister, Vartan Oskanian, praised what he said were Mr. Pamuk’s courageous words about the past, in a statement that is bound to irritate Turkey.

“Orhan Pamuk ventured into issues of memory and identity, and with intellectual courage and honesty, explored his own history, and therefore ours,” Mr. Oskanian said in an e-mail message to The New York Times. “We welcome this decision and only wish that this kind of intellectual sincerity and candor will lead the way to acknowledging and transcending this painful, difficult period of our peoples’ and our countries’ history.”

Reporting was contributed by Ivar Ekman from Stockholm, C.J. Chivers from Moscow, Nina Bernstein from New York and Sebnem Arsu from Istanbul.


댓글(3) 먼댓글(1)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6-10-13 1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두요. 이 참에 몇 작품 더 나오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수퍼겜보이 2006-10-13 1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남이네요~! ^^a

마노아 2006-10-13 1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생각보다 훨씬 잘 생겼네요. ^^;;;
 

만델라 할아버지 자서전을 읽고 있다.
재미는 있는데, 워낙 길어서 조금씩조금씩 천천히 읽고 있다.

650쪽까지 넘겼는데...

감옥에 갇힌 만델라에게 큰아들이 죽었다는 전보가 도착.

이 부분에서 결국 눈시울이 시큰.

감동으로 따지자면야, 다 베껴써도 지나치지 않을.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딸기 2006-09-06 07: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둘 다. ^^
번역은 정말 훌륭해. 다만 뒷부분 들어오면서, 오자가 몇개 눈에 띄긴 하는데,
디제이가 직접 했건 비서를 시켰건, 굉장히 꼼꼼하게 관여를 하지 않았을까 싶네.

딸기 2006-09-07 06: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 얼만지 아삼...?

딸기 2006-09-07 06: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구 말이야,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대체 만델라 할아버지 코너는 왜 안 만드는겨!
만든다고 약속한게 언젠데! 그동안 내가 독촉한게 몇번인데!!
문망의 그 숱한 인물들과 비교할 때 우리 할아버지가 그보다 못하는거냐곳!

딸기 2006-09-07 1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게 만델라 할아버지를 욕하는 자들이 늘 했던 말이긴 한데,
추장 아들은 아들인데(딸은 아니니깐;;) 그 추장이란 것이--- 그냥 작은 부족 부족장 아들이었고, 추장이 될 사람이 아니라 '추장의 자문가가 될 사람'이었걸랑, 우리 할아버지는.
이거 선물하면 만델라 할아버지 업뎃 해준다고?
흥! 그런식으로 꼬시려고! (...그러면서 14% 정도 넘어가고 있음)

딸기 2006-09-07 16: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왜 이상한 눈짓은 보내고 그래... 저거 지금 눈웃음친거야?

딸기 2006-09-08 14: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이구... ^^
 

나깁 마흐푸즈가 결국 사망했군요. 이집트의 발자크, 현대 아랍문학의 아버지, 아랍권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그러나 수상작 ‘게벨라위의 아이들’의 이집트 출간을 끝내 보지 못했던, 죽기 전까지 마음 편치 못했던 작가. 노벨상을 받아서가 아니라, 최근에야 읽었던 ‘게벨라위의 아이들’은 정말 좋았어요. 그에 대한 소식들을 모아봅니다.


먼저, 뉴욕타임스의 부고 기사. (obituary 는 뉴욕타임스가 세계 최고인 듯;;)


August 30, 2006


Naguib Mahfouz, Chronicler of Arab Life, Dies at 94


By ROBERT D. McFADDEN


Naguib Mahfouz, the Egyptian playwright and screenwriter who won the 1988 Nobel Prize in Literature and was widely regarded as the Arab world’s foremost novelist, died today, Reuters and The Associated Press reported. He was 94.

Mr. Mahfouz had been hospitalized and in declining health since suffering a head injury in a fall at his home in July, the agencies reported, citing Dr. Hossam Mowafi, who supervised Mr. Mahfouz’s treatment and who announced his death.

Mr. Mahfouz’s city was teeming Cairo, and his characters were its most ordinary people: civil servants and bureaucrats, grocers, shopkeepers, poor retirees, petty thieves and prostitutes, peasants and women brutalized by tradition, a people caught in the upheavals of a nation struggling through the 20th century.

Around their tangled lives, Mr. Mahfouz chronicled the development of modern Egypt, and over five decades wrote 33 novels, 13 anthologies of short stories, several plays and 30 screenplays. It was a body of work hailed by the Swedish Academy of Letters as “an Arabian narrative art that applies to all mankind.”


Mr. Mahfouz, a slender, modest, shy man who once described himself as “a fourth- or fifth-class writer,” was often called the Egyptian Balzac for his vivid frescoes of Cairenes and their social, political and religious dilemmas. Critics compared his richly detailed Cairo with the London of Charles Dickens, the Paris of Émile Zola and the St. Petersburg of Fyodor Dostoyevsky. (평자들은 그를 ‘이집트의 발자크’로 부르는데 정작 그 자신은 스스로를 ‘4, 5급 작가’라고 칭했다는군요. )

He was the first Arab writer to receive the Nobel Prize, and while many of his works had been translated into French, Swedish and German, he was largely unknown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in 1988. Only about a dozen Mahfouz books had been rendered into English, and many were out of print.

Since then, his best-known novels have been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English-speaking countries by Doubleday and sister companies. They include “The Cairo Trilogy,” widely regarded as his masterwork.

While Arabic has a rich tradition in poetry, the novel was not a strong art form in that language until Mr. Mahfouz made it accessible. For English-language translators and readers, Arabic presents special difficulties: the dialogue sounds overwrought, the descriptions stilted. As Brad Kessler wrote in a 1990 article for The New York Times Magazine: “Mahfouz writes in the florid classical Arabic, which is roughly the equivalent of Shakespearean English.”

Peter Theroux, the American translator of several major Arab novelists, wrote about completing a new version of “Children of the Alley” in 1996: “Readers of Mahfouz in any language are in thrall to his magic. The warmth of Mahfouz’s characters, the velocity of his storytelling, his gift for fluent dialogue and telling details are unique in modern Arabic literature.”

Until winning his $390,000 Nobel Prize, much of which he said he gave to charities, Mr. Mahfouz had struggled financially despite the popularity of his books. For many years he supported himself and his wife and two daughters by working for Government ministries.

During the 1960’s and 70’s, he was the head of the State Cinema Organization, which is responsible for raising money, for deciding which movies should be made and for censorship. About 30 of his own novels and short stories were adapted, including one that won a national film prize in 1962. For his censorship work, he was often criticized by Cairo intellectuals, who also accused him of being self-serving and subservient to the state.

While he was widely read in Egypt and other Arab nations long before he won the Nobel Prize, Mr. Mahfouz had many enemies. Islamic fundamentalists considered some of his work blasphemous, and political opponents resented his support for Egypt’s peace treaty with Israel in 1979 and his earlier criticisms of President Gamal Abdel Nasser, who seized power after a 1952 coup.

Many of Mr. Mahfouz’s books were banned in other Arab countries, and a 1959 novel, “Children of Our Alley,” whose theme is man’s search for spiritual values, was banned in Egypt at the behest of Islamic theological authorities because it portrays Mohammed as an all-too-human womanizer. It also has characters based on Adam and Eve, Moses, and Jesus.

Like many Egyptian intellectuals, some of whose works have been denounced as disrespectful to Islam, Mr. Mahfouz was put on a “death list” by Islamic fundamentalists who were believed responsible for hundreds of terrorist killings in Egypt and abroad.

In 1989, Mr. Mahfouz joined scores of literary figures in defending Salman Rushdie after Ayatollah Ruhollah Khomeini condemned one of his books, “The Satanic Verses,” as blasphemous and offered a reward for killing Mr. Rushdie. But in 1992, Mr. Mahfouz distanced himself from Mr. Rushdie and criticized his book as “insulting” to Islam, though he also said that the death threats against him were wrong.


Mr. Mahfouz was stabbed in the neck on Oct. 14, 1994, by an assailant who fled in a car. The authorities said the attack might have been carried out by Islamic militants who had declared him an infidel. The police had offered him protection, but Mr. Mahfouz, who condemned “cultural terrorism” by Islamic fundamentalists, refused it.

Though he continued to write in his later years, Mr. Mahfouz was in failing health. He was diabetic and nearly blind, and lived quietly in an apartment overlooking the Nile. After the 1994 attack he largely abandoned his old habit of walking daily to a coffeehouse to meet friends, and to the offices of Al Ahram, the newspaper for which he had written occasional columns. And the injuries he suffered in 1994 made it difficult for him to hold a pen or pencil.

Still, he said, every day a writer must write something, anything. In a 2002 interview, he said he could still manage to write vignettes of his dreams. “They are very, very short stories, like this,” he said, indicating the tip of his index finger.

Asked in the interview whether he had any living contemporaries as friends, he answered with traces of a grin spreading on his face, “One or two — but they have forgotten they belong to my generation.”


Naguib Mahfouz was born in Cairo on Dec. 11, 1911, the youngest of seven children of a minor civil servant. His early childhood was spent in the old city’s Gamaliya quarter, the setting of many of his books, and he came of age in an era of intense nationalist activity against British rule.

He studied Arabic literature in high school and cultivated a wide range of literary interests while studying philosophy at the University of Cairo, from which he graduated in 1932. He read Tolstoy, Dostoyevsky, Chekhov, Proust, Mann, Kafka and Joyce and the playwrights O’Neill, Shaw, Ibsen and Strindberg.

He began writing short stories, 80 of which were published in magazines — 50 others were apparently destroyed by the writer — and in 1938 he published his first collection, “A Whisper of Madness.” A year later, his first novel, “Games of Fate,” appeared. It was a thinly veiled allegory about the struggle against British occupation, but was set in ancient Egypt to get around the censors.

After several such “historical” novels, he turned to a new genre, the realistic novels of the 1940’s and 50’s for which he is best known. “The Cairo Trilogy,” whose three volumes took 12 years to complete, appeared in the late 1950’s and is regarded as a masterpiece of the Arabic language.

It tells the story of Egypt through the eyes of three generations of a middle-class Cairo family, from World War I through the 1952 coup that overthrew King Farouk. Each of the volumes — “Palace Walk,” “Palace of Desire” and “Sugar Street” — is named for a Cairo street, and the tragedies and fortunes of the family parallel the nation’s struggle for political independence.

Later works by Mr. Mahfouz - “The Thief and the Dogs”(1961), “Chatting on the Nile”(1966) and “Miramar”(1967) - were experimental, sometimes given to stream-of-consciousness, and critical of either the coup that eventually made Nasser the ruler or of his dictatorial rule. Though other writers were jailed for writings of that kind, Mr. Mahfouz never was.

Women play important roles in many Mahfouz stories, and often illuminate the inferior status of women in Egypt and the wrenching social changes under way. In one story, a girl exploited as a prostitute fights back; another story tells of a home where women are not even allowed to look out a window for fear of being seen, until a modern woman marries into the family and begins to demand equal rights.

Mr. Mahfouz supported President Anwar el-Sadat and the Camp David accords that led to the Egyptian-Israeli peace treaty, and he was denounced by many of his countrymen for doing so. But his works were still popular, and his Nobel Prize was welcomed throughout the Arab world.Mr. Mahfouz, who almost never left Egypt, did not go to Stockholm to receive the prize but sent his daughters, Om Kolthoum and Fatima, to accept on his behalf. They survive him, as does his wife, Attiyat-Allah.

A military funeral will be held for Mr. Mahfouz on Thursday at a Cairo mosque, with his coffin covered with an Egyptian flag and carried by caisson, The Associated Press reported.


연합뉴스 기사 퍼놓습니다.


아랍권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마흐푸즈 타계

(카이로=연합뉴스) 박세진 특파원 = 유명한 이집트 문호이자 아랍권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나깁(나집) 마흐푸즈가 30일 이집트 경찰병원에서 별세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향년 95세.

1911년 카이로에서 태어난 마흐푸즈는 1988년 아랍권 작가로는 처음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는 이집트 뿐만 아니라 아랍권에서 정론을 추구하는 지식인의 표상으로 이름을 날렸다. 문학 평론가들은 1960년대 들어 활동을 시작한 아랍권 작가들이 모두 '마흐푸즈의 외투에서 나왔다'고 말할 정도로 마흐푸즈는 현대 아랍권 문단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지켜왔다.

그는 '광기의 속삭임(1938년)'을 비롯한 10여 권의 단편집과 30여 권의 소설 및자신의 작품을 각색한 30여 편의 시나리오를 완성했으며 최근까지도 알-아흐람 위클리에 에세이를 써올 만큼 왕성한 집필활동을 계속했다. 그러나 마흐푸즈는 자신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장편소설인 '게벨라위의 아이들(우리 동네 아이들)' 내용에 불만을 품은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지난 94년 암살을 기도, 죽을 고비를 넘기기도 했으며 오랜 눈병으로 거의 실명에까지 이르러 이 사건이후 카이로의 자택에서 경찰의 보호를 받아왔다.

이집트 관영 일간인 알 아흐람에 1959년 연재된 '게벨라위의 아이들'은 이슬람 창시자인 마호메트를 모독하는 내용이 들어있다는 이유로 이집트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이슬람 종교교육기관인 알 아즈하르에 의해 금서로 지정돼 있다.


<마흐푸즈의 생애와 작품세계>

(카이로=연합뉴스) 박세진 특파원 = 30일 타계한 이집트의 문호 나깁 마흐푸즈(95)는 아랍문학계의 큰 별이었다.

1919년 이집트의 수도 카이로의 알 가말리야에서 3남4녀의 막내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부터 탐정소설을 즐겨 읽고 아랍노래의 여왕으로 불리는 움므 쿨숨(그의 두 딸 중 장녀 이름도 움므 쿨숨임)의 노래를 즐겨들으며 성장했다. (움 칼툼이라고 생각했는데 현지 발음은 ‘움므 쿨숨’인가보군요. 중화권의 등려군처럼 아랍권의 사랑을 받았던 옛날 여가수이지요) 이런 유년기의 경험은 향후 그의 작품세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는 1930년 카이로대학의 전신인 푸아드 1세 대학 철학과에 들어가 서양철학을 공부하면서 어릴 적부터 접해온 이슬람과는 색다른 세계에 대한 인식을 경험한다. 1934년 대학졸업 후 대학원에서 2년 간 공부를 더한 그는 1936년부터 2년 간 대학 행정서기로 일하며 본격적인 문학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그는 영화와 문학에 큰 관심을 가졌지만 체계적으로 문학 수업을 받지는 않았다. 청소년기에 문학에 대한 남다른 열정을 갖고 톨스토이, 도스토예프스키, 체홉, 셰익스피어 등 세계적 작가의 작품들을 두루 섭렵하고 대학 시절 미학 분야에서 안목을 길러 놓은 것이 그가 세계적 작가로 크는 밑바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1939년 종교부 대출 과에서 공무원 생활을 시작했는데, 이 때의 경험은 말단 공무원들의 좌절과 욕망을 작품화하는 데 도움을 줬다. 1953년 문화부 산하 예술위원회 영화위원이 된 뒤 영화분과위원장, 영화ㆍTV 예술검열 위원장, 이집트 영화사 고문, 문화성 고문 등으로 일하다 1971년 11월 공직을 떠난 뒤 이집트의 최고 유력지인 알-아흐람 신문 편집위원을 지내면서 글 쓰기에 전념했다.

그는 1988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고, 1994년에는 그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작품인 `우리 동네 아이들(게벨라위의 아이들)'의 내용에 불만을 품은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휘두른 칼에 찔려 목에 중상을 당했으나 다행히 목숨을 건졌다. 그는 이후 대외활동을 접은 채 카이로의 자택에 주로 칩거하며 작품 구상에 몰두했다. 그는 눈병이 악화해 시력을 거의 상실한 말년에도 알 아흐람에 기고를 해 올 만큼 왕성한 집필의욕을 보였다. 그는 평소 "내가 글을 쓰고자 하는 욕구가 사라진다면 그 날이 바로 내 최후의 날이 될 것"이라고 말해 왔다.

마흐푸즈는 간결하고 순수한 문체로 표준 아랍어 문장을 현대적 감각에 맞춰 자유롭게 구사한 작가라는 평을 듣고 있다. 그는 노벨문학상 수상 직후 가진 회견에서 "나는 내가 태어난 동네를 사랑하며, 골목은 나의 인생 이야기이다"라고 말했을 정도로 사회의 축소판인 동네가 그의 작품의 주요 배경이 되고 있다.

그의 작품세계는 통상 낭만주의 경향의 역사소설에 집중됐던 청년기인 제1기(1938∼1944년), 사실주의 소설을 발표하며 명성을 얻은 제2기(1945∼1958), 인간의 정신문제를 다룬 철학적 소설을 쏟아낸 시기인 제3기(1959∼1971), 그리고 특정 경향에 치우치지 않고 글을 쓴 말년기인 제4기(1972∼2006)로 구분된다.

1기의 대표작은 28편의 소설을 담은 단편소설집 `광기의 속삭임(1938)'이다. 이 작품집에 포함된 `포로의 옷'은 주인공이 서구 열강의 대리 전쟁터인 이집트에서 포로의 옷을 담배 두 갑을 주고 사 입었다가 외국어를 못 알아들어 총에 맞아 죽는 비극을 담은 것으로, 단편소설의 압권으로 평가된다. 이 시기에는 세 편의 역사소설인 `운명의 장난' `라두비스' `티바 족의 투쟁'이 발표된다.

 2기에는 카이로 동네를 무대로 한 사실주의 소설이 많이 나왔는데, 금은 세공과 토산품 거리로 유명한 올드 카이로 지역의 칸 알 칼릴리 시장으로 이사하는 중년 남자를 주인공으로 한 `칸 알 칼릴리'와 3권으로 이뤄진 대하소설 `3부작'이 가장 유명하다.

마흐푸즈의 소설이 성숙단계에 들어간 3기의 작품으로는 1959년 알 아흐람에 연재됐던 `우리동네 아이들'을 비롯해 `도적과 개들(1961)', `나일 강가의 잡담(1966)'등이 있다. `우리동네 아이들'은 이집트의 수니파 종교교육 기관인 알-아즈하르가 예언자 마호메트를 모독하는 내용이 들어있다는 이유로 금서로 지정해 아직까지 이집트에서 단행본으로 출간되지 못한 그의 대표작이다.

4기 작품으로는 이집트 소설과 서구 소설의 만남을 보여주는 극치라는 평가를 받는 `알 하라피시의 학살(1977)'과 아랍 역사에서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갈등을 열두 가지 이야기로 보여주는 `천 하룻밤', 가족 3대의 이야기를 다룬 `남은 건 한 시간뿐' 등이 있다. 4기에는 `희곡소설'이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그의 작품에 대화가 많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예술의 유일한 근본은 한마디로 솔직함"이라고 역설해 온 마흐푸즈는 70년 가까운 작품생활을 통해 이집트 경계를 넘어 아랍권 문학계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일부 평론가들은 1960년대 들어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 이라크 등에서 배출된 아랍 문단의 작가들이 모두 "마흐푸즈의 외투에서 나왔다"고 말할 정도이다. 이집트인 특유의 입심을 타고난 이야기꾼으로 불렸던 마흐푸즈는 아랍 문학의 고전인 `아라비안나이트(천일 야화)'의 영광을 재현한 아랍권 최고의 문호라는 평가를 뒤로 하고 영면했다.


■ 나깁 마흐푸즈 연보

1911년 올드 카이로의 알 가말리야에서 태어남(3남 4녀 중 막내)

1913년 카이로 알 압바시야로 이사

1930년 푸아드 1세 대학(카이로대 전신) 철학과 입학

1934년 대학 졸업ㆍ대학원 진학(`이슬람 철학에서의 미의 개념' 논제로 석사학위)

1936∼38년 대학 행정부서 서기로 근무

1938년 단편소설집 `광기의 속삭임' 발표로 문학계에 정식 데뷔

1939년 종교부 대출과 직원으로 공무원 생활 시작

1953년 문화부 산하 예술위원회 영화위원

1954년 아티야 알라와 결혼..두 딸(움무 쿨숨과 파티마)을 둠

1959년 상징적 철학소설 `우리 동네 아이들' 알 아흐람에 연재

1960∼68년 영화 분과위원장, 영화-TV-예술 검열위원장, 문화부 고문 등 역임

        `도적과 개들(1961)' `길(1964)' `나일 강가의 잡담(1966)' 등 발표

1971년 11월 공직을 떠나 알 아흐람 비상근 편집위원 역임하며 작품활동에 전념

       `거울들(1972)' `빗속의 사랑(1973)' `알 하라피시의 학살(1977)' `성자 무덤 가의 결혼(1981)' `남은 건 한 시간뿐(1982)' 등 발표

1988년 노벨문학상 수상

1994년 이슬람 근본주의자 암살 공격. 이후 자택에 칩거하며 작품활동

2006년 8월30일 노환으로 타계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水巖 2006-08-31 19: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침에 기사를 읽었습니다. 노벨상 타던 해 나온 <도적과 개들>이 내게 있는 유일한 책이랍니다. 퍼 갑니다.

페일레스 2006-08-31 21: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 분도 파란만장한 삶을 사셨더군요. 한 번 읽어봐야겠습니다.

딸기 2006-09-01 06: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수암님 '도적과 개들' 갖고계시는군요. 저도 그거 읽어볼까 하고 있어요.
'게벨라위의 아이들'은 정말 재밌게 읽었는데.. 페일레스님, 꼭 한번 보세요.
 

하워드진과 노엄 촘스키는 둘다 유명한 사람들이지만, 특히 9.11과 이라크전쟁 등을 거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인기가 많아졌고 책들도 여럿 출판됐다. 그냥 '취향'의 문제일 뿐이겠지만 나는 촘스키책을 더 여러권 봤음에도 불구하고, 하워드 진을 더 '좋아한다'. 만델라 할아버지 만큼은 아니지만 하워드 진을 진심으로 존경한다. 그런데 하워드진을 유명하게 만든 중요한 저서인 '미국 민중사'는 옛날에 한번 출간됐다가 절판된 이래 아직까지 안 나왔었다.

하워드 진 책들을 비롯해 국제문제에 대한 도움 되는 책들을 여럿 번역했던 유강은씨가 '미국민중사'를 번역하고 있다고 들어서 기대를 했었는데 오늘 알라딘에 들어와보니까 1권, 2권 세트를 팔고 있다. 지난번에 판다님이 옛날 버전으로 한 권 보내주시긴 했는데 어째어째 아직까지 손도 못 대고 있다. 새 책들을 보니깐... 또 사고싶다. ㅠ.ㅠ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주미힌 2006-08-30 09: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요... 근데 너무 두꺼워서... 고민 중.

머큐리 2006-08-30 11: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헌책방에서 구판을 구입했는데.... 신판이 다시....더군다나 세트로 판매한다니...음~

바람돌이 2006-08-30 1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탐나는군요. 5천원 쿠폰 줄때 사야 하는데.... 이런 책은 시간 지나봤자 할인률 내려가는 적이 별로 없어서요. ^^

전자인간 2006-08-30 12: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홋.. 구미가 당기네요. 좋은 정보 감사!

마노아 2006-08-30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 한세트 구입하면 추가 마일리지가 바로 들어오겠네요^^;;;

urblue 2006-08-30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구두님 설명 보니깐 사야겠군요. 뭐가 다른가 했습니다.
그, 근데 저도 구판에 손도 못 댔어요. -_-;;

딸기 2006-08-30 1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홋 바람구두님은 벌써 주문했군요.
실은 나도 목차 보고나서 사야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강하게! 했지만
돈이... 돈이...

여러분. 우리 알라딘에 '공구' 시스템을 만들어달라고 졸라볼까요?

라주미힌 2006-08-30 18: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출판사에 전화를 걸어서...
'에~... 리뷰 공짜로 써드릴테니.. 책 이리로 보내세요'. 하면 되지 않을까요 :-)

딸기 2006-08-30 18: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 그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ㅠ.ㅠ

2006-08-31 02: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딸기 2006-08-31 07: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구두님! 그런 방법이 있다면 당근 알려줘야지! 뻥이기만 해봐라...
**님, 그렇게 할께요. :)
 

이화여대 최재천 교수님이 자기 연구실을 '통섭원'이라 이름붙였다는 소식을 신문에서 읽었는데, 통섭원 개원 기념^^으로 심포지움을 연다고 한다.

--

‘지식의 통섭을 위하여’(통섭원[統攝苑] 개원 기념 심포지엄) 소개


학문 사이의 통합을 주장하는 에드워드 윌슨의 󰡔통섭󰡕이 출간된 이후, 우리나라에서 학문과 학문 사이의 벽을 넘어서 새로운 통합 학문을 만들자는 논의가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들이 여기저기서 산발적으로 일어나고 있어서 이를 한데 묶어 살펴보고 새로운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심포지엄 ‘지식의 통섭을 위하여’는 이러한 모색의 첫 걸음이다. 그러한 이 행사는 이화여대의 최재천 석좌교수가 통합 학문 공동체를 위하여 설립한 ‘통섭원’
(統攝苑)의 개원 기념행사이기도 하다.


심포지엄의 제1부는 역사적으로 여러 학문의 틀을 넘어 종합적인 체계를 세우려고 했던 대표적인 역사적 시도들을 살펴보는 자리이다. 모든 학문의 시작이라 일컬어지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 세계를 들여다보는 것에서 시작해서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같이 다방면에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했던 르네상스 전인주의와 세상의 모든 운동과 현상들을 기계적으로 설명해보려고 했던 기계적 철학자, 근대적 철학자 들이 어떻게 지식을 엮어 통일적인 체계를 세우려고 했는지를 살펴본다. 서양에서의 이러한 움직임들과 비견될 만한 것들이 우리 역사에서도 있었는데 자연학과 인간학을 하나의 체계 속에서 다루었던 우리 선조들의 철학과 서양과학을 전통적인 학문 체계 속에 포섭하려고 했던 최한기(崔漢綺, 1803~1877)를 비롯한 우리나라 근대 철학자들의 노력도 함께 돌아본다.

    제2부에서는 현재도 계속되고 있는 분야를 뛰어넘는 시도들을 살펴본다. 세상의 모든 힘들을 일관되게 설명하려는 ‘대통일 이론’과 물리학적인 세계 이해를 먼저 살펴보고 사회과학과 인문학에까지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는 진화론적인 설명, 복잡하게 얽혀 있는 끈들을 정리하고 분류해서 세상의 원리를 알아보려는 ‘네트워크 이론’에 대한 소개가 있을 예정이다. 그리고 사회과학 안에서도 사회과학의 개방을 주장하면서 다른 학문 분야들을 포괄해보려는 노력들이 있는데 이러한 움직임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도 함께 살펴본다.

    제3부는 이러한 통일적인 학문 체계를 세우려는 시도들이 정당한 것인가, 미래는 있는가를 깊이 있게 따져보는 자리이다. 먼저, 통합 학문을 이루려는 시도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데이비슨의 '무법칙적 일원론'을 소개하면서 논쟁의 장을 연다. 마지막으로 20세기의 우리나라 학문들이 어떻게 서로들 사이에 벽을 쌓아왔는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다시 부수려고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면서 심포지엄을 정리한다.

    공식적인 발표들이 끝난 이후에는 발표자들과 청중들이 모두 참여하는 종합토론이 있을 예정이다. 이 토론의 과정에서 통합 학문의 미래에 대한 건설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통섭원(統攝苑) 개원 기념 심포지엄

지식 통섭 위하여



주 최: 이화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주 관: 통섭원(統攝苑)

후 원:


장 소: 이화여자대학교 종합과학관 C동 B101호

일 시: 2006년 9월 2일(토) 9시18시


순서

등 록: (09:00~09:30)

축 사: 이배용(이화여자대학교 총장)

소 개: 통섭의 꿈___주일우(문지문화예술센터)


제1부: 과거 (10:00~12:00)

사회: 이혜원(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1-1.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 체계___조대호(연세대학교 철학과)

1-2.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17세기 자연철학___이종흡(경남대학교 사학과)

1-3. 인간학과 자연학___김호(경인교육대학 사회교육과)

1-4. 동양철학의 서양 과학 수용___전용훈(서울대학교 과학문화연구센터)


* 중식 (12:00~12:50 / 이화여대 진관식당(교수식당))


제2부: 현재 (13:00~15:30)

사회: 원용진(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과)

2-1. 물리학 이론은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가?___이상욱(한양대학교 철학과)

2-2. 진화론으로 설명하는 세상___최정규(경북대학교 경제학과)

2-3. 세상을 묶는 끈들의 갈래 따기___정하웅(KAIST 물리학과)

2-4. 환원주의를 극복한 생물학___강호정(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2-5. 사회과학의 개방___김백영(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 티타임 (15:30~15:50)


제3부: 미래 (15:50~16:50)

사회: 정효일(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3-1. 통섭과 무법칙적 일원론___배식한(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3-2. 21세기 한국의 자연과학과 인문학___홍성욱(서울대학교 과학사및과학철학협동과정)


제4부: 종합토론 (17:00~18:00)

사회: 최재천 (통섭원장,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과)


* 만찬 (18:30~20:00 / 장소 미정)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머큐리 2006-08-29 09: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아직 통섭을 구해놓고 읽지도 못하고 있는데. 이런 심포지움까지 열리는군여
아무나 참석할 수 있는건가여?

딸기 2006-08-29 09: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쎄요, 원하는 이들은 누구라도 가서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이네파벨 2006-08-29 18: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최재천교수님이 그 최재쳔교수님 맞겠죠?(흠...이런 질문이...ㅡ,.ㅡ)
그러니까 에드워드 윌슨의 제자셨던 분...
서울대에서 이대로 자리를 옮기셨나봐요?

딸기 2006-08-29 18: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그 최재천교수님 맞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