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전설이다 밀리언셀러 클럽 18
리처드 매드슨 지음, 조영학 옮김 / 황금가지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왜 서점에서 [나는 전설이다]를 집어들었는지 내 자신도 의아해했다. 그 많은 책들 가운데 이 책을 사 들었는지 모르겠다. 사실 [나는 전설이다]를 잘 알지 못했다. 공포, 스릴러물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던 것도 있었고, 소름끼치게 섬뜩한 내용들이 나의 독서나 영화 취향이 아니어서 피해다녔다. 그러다 지난 여름 서점에서 우연히 스티븐킹의[스켈레톤크루]를 몇페이지 읽다가 무작정 구입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공포소설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얼마전 종로의 한 서점에 들렸다가 몇권의 책과 함께 [나는 전설이다]를 집어들었다.

  [나는 전설이다]에 대해서는 그리 아는바가 없었다. 책을 펼쳐들고서 이책의 작가가 ''리처드 매드슨''이고 바로 이 작품이 내가 유일하게 알고 있는 공포소설의 대가 ''스티븐킹''을 있게한 작가의 작품이라는데에 적잖이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두툼한 책의 반이 "나는 전설이다"이고 나머지가 10편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는것도 마치 풍성한 공포소설을 접하는것 같아서 기분이 좋았다.

  책을 펼쳐들었다. 표지의 좀비사진들이 내용을 일부 보여주는 듯했다. 게다가 피가 흐르는 듯한 붉은색에 하얗게 박혀있는 제목 "나는 전설이다"가 강하게 들어왔다. 더이상 지체할 수가 없었다. 도대체 무엇이 전설이란 말인지, 제목만으로는 알길이 없었다. 그리고 이미 두편의 영화가 나왔다고 하는데, 영화를 좋아하는 내가 알지 못하는 영화가 있었다니...정말 나는 공포물에는 젬병인가보다. 작가의 프로파일을 보고서야 ''리처드 매드슨''을 조금 알게되었다. 특히 놀란 사실은 "나는 전설이다"가 쓰여진때가 1954년이라는 것이었다. 50여년전에 쓰여진 소설이 어떻게 지금도 사람들 입에 회자되어 돌아다니는지 "나는 전설이다"를 읽기전에는 믿기지 않았었다. 그래서 "나는 전설이다"를 지금의 시각이 아닌 50여년전의 시각으로 읽기 시작했다. 내가 태어나기도 전인 그시절로 타임머신을 타고 돌아가서 말이다.

  내가 만약 혼자 살아남는다면?, 밤에는 흡혈귀들이 나의 집을 둘러싸고 소리치고 두드리고 점점 나를 공포속으로 몰아넣는다면 나는 과연 어떻게 하였을까? 아무도 없는 도로를 나혼자 돌아다니고 텅비어 있는 가게에서 필요한 물건을 구하고, 대화할 상대도, 함께 힘을 합쳐야할 상대도 없는 그곳에 나혼자 덩그러니 남아 있게 된다면....몸서리가 쳐진다. 생각도 하고싶지 않다. 그게 어디 있을법한 일이란 말인가. 상상속에서도 상상할 수 없는 공포의 순간들. "나는 전설이다"는 그렇게 이어진다. 홀로 남은 한남자의 처절한 생존을 위한 나름대로 살아가는 방식. 그러면서 변해가는 그를 발견하게된다. 시간은 하염없이 흐르고 일상은 반복된다. 이 얼마나 따분하고 의미없는 삶이란 말인가. 간혹 나오는 과거 회상장면을 따라가다 보면 왜 그가 여기까지 오게 되었는지 자연스럽게 알게 되고, 그러다가 집앞에서 만난 개한마리에 왜 내가 더 반가웠는지 모르겠다. 누구라도 그러했을 것이다. 그 개는 그의 희망이었고 전부였을것이다. 하지만....

  사실 여자를 만났을때 차라리 ?아가지 말고 보내주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닥쳐올 왠지 모를 불안감이 엄습해왔다. 가장 궁금했던점은 과연 어떤 결말이 일어날지였다. 읽는 속도가 나도 모르게 빨라지고 있었다. 이제 끝부분에 다다랐다. 마치 누군가로부터 도망을치다가 마주친 낭떨어지에 다다른 느낌이었다. ''리처드 매드슨''의 표현은 실로 대단했다. 섬세한 표현과 갈등하는 인간의 심리, 그리고 변해가는 주인공의 묘사가 자연스럽게 빨려들어왔다.

  아마도 지금의 시점에서 본다면 그다지 대단하다고 느끼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저 뻔한 공포소설 하나였을지도 모른다. 영화나 만화나 하다못해 비디오게임으로 흡혈귀나 좀비를 주제로 다른 작품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으니 말이다. 하지만 그런 작품이 바로 이작가에 의해 영향을 받고 영감을 얻었다고 하지 않았는가 말이다. 그런 이유때문에 나는 50년전으로 돌아가 이 소설을 보고싶었다. 왜 ''스티븐 킹''이 이 작품을 읽고 소설을 쓰기 시작하였다고 했는지 알것 같았다. ''딘 쿤츠''의 말처럼 리처드 매드슨이 있다는건 우리에게 더 없는 기쁨이라는 말에 절로 고개가 숙여졌다. 왜 나는 지금까지 전설속의 그를 알지 못했을까?

  우리는 모두 정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전설이다''를 보면 정상인것만이 모든것을 해결할 수 있지 않다는 것이다. 비정상의 여럿은 정상의 하나를 그들만의 비정상으로 만들어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아직도 내 머릿속에서는 전설의 그사내의 마지막 모습이 떠오른다. 그가 깨달은 사실 하나와 함께....

"정상이란 다수의 개념이자 다수를 위한 개념이다. 단하나의 존재를 위한 개념이 될 수는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