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아기가 된 아빠]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아기가 된 아빠 살림어린이 그림책 20
앤서니 브라운 글.그림, 노경실 옮김 / 살림어린이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어린 아이들이 보기 보다는 아빠에게 조금 서운함을 느끼기 시작하는 아이와 읽으면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이가 옷을 고르고 머리 모양을 신경쓰고, 춤추고 노래하고 장난감을 잔뜩 가지고 싶어하는 것을 좋아하듯이 존의 아빠도 그렇다는 것을 아이는 그림책 몇 장을 넘기며 느끼게 될 것이다. 사람들의 유치한(?) 칭찬에 크게 반응하는 아빠의 모습과 아프다고 엄마에게 응석을 부리는 모습은 아이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 그야 말로, 엄마들이 흔히 부르는 '다 큰 아기'이다.  

그런 아빠에게 마법이 일어난다. 젊음을 돌려주는 음료를 마시고 난 후 진짜로 아기가 된 것이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아이들은 얼마나 눈을 반짝일까?  

나보다 어리게 이유식을 먹고, 유모차를 타고, 기저귀에 똥을 싸는 아빠의 모습에 아이들은 동생을 바라보는 눈길과 마음으로 아빠를 쳐다보게 되지 않을까? 귀엽고 친근한 모습의 아빠 말이다.  그러다 판타지가 끝날 무렵, 거울에 비친 아빠의 흰 머리 한 가닥을 보야할 때에는 또 안쓰러운 눈길과 마음으로 아빠를 바라보게 되지 않을까? 

아빠를 사랑하고 이해한다는 것은 엄마를 대상으로 할 때와는 차이가 있다. 아빠의 시간적 여유가 그렇지 못하기도 하고 표현법이 그렇지 못하기도 하다. 아이들은 언제나 엄마에게 더 가까이 있다. 이번 앤서니 브라운의 책 <아기가 된 아빠>는 아빠의 마음을 아이에게 닿게 하기 위한 책, 아빠가 조금 아이에게 응석을 부리는 책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개인적으로는 5세 정도의 아이들에게 읽어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본다. 함께 온 워크북도 하면 더 아빠를 친근하게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엄마와 함께 워크북을 하면 아이와 엄마는 아빠에 대해 같은 느낌을 공유하게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그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 (반양장) 보름달문고 44
김려령 지음, 장경혜 그림 / 문학동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이미 누군가의

 

'내 가슴에 해마가 산다'로 이미 내 가슴에 사랑스러운 해마를 새겨넣은 작가 김려령의 새 작품 '그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를 읽었다. 가제본에서는 글의 속도감에 빠져들이 살짝 놓친 그림의 이야기가 출판본에서는 더욱 진하게 느껴졌다.  표지의 제목 아래 신호등 모자를 쓰고 호루라기를 불며 교통지도를 하고 있는 사람이 바로 작가가 애타게 찾고, 또 함께 독자가 애타게 찾는 바로, 건널목씨이다. 왜 우리는 건널목씨를 찾는 것일까?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보자.

 작가는 요즘 아이들을 정확하게 읽어내는 눈을 가졌다. 소통이 되지 않는 아이들, 자기의 목소리만 부르짖는 아이들, 남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는 아이들, 나만 소중하고 너는 소중하지 않은 그러므로 우리가 의미없는 아이들을 정확하게 읽어내고 때문에 '이야기 듣기 교실'을 열게 된다. 바로 '그리운 건널목 씨'라는 적절한 이야기 소재를 가지고 말이다. 

  이야기 교실을 통해 이름처럼 명랑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슴 깊이 또다른 해마를 새겨넣은 오명랑 작가는 이제는 꺼내어야 할, 꺼내고 싶은, 세상에 드러내 보이고 싶은 건널목씨에 대한 이야기를 독자에게 전한다. '세상에 이런 일이'에 나올 법한 복장 - 카펫 건널목과 신호등 모자, 호륵 호륵 호르르륵 호루라기 소리 -의 건널목 씨 역시 가슴에 상처가 있다. 하지만 그 상처를 품은 채 은둔하지 않고 그 상처를 세상과 나누며 누군가에게는 위로와 의지의 대상이 되고, 누군가에게는 말벗이 되고, 누군가에게는 긍정의 에너지가 되는 사람이다. 초라한 행색으로 누군가를 위해 큰 돈을 기부하거나 많은 물건을 선물하거나 거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힘이 되는 사람, 바로 그가 건널목씨이다. 이는 작가가 군데 군데 오명랑 작가의 입을 빌어 강조하는 '마음의 중요성'을 인물화한 것이다.

 

우리는 누구나 가슴에 상처가 있다. 상처 부위를 떠올릴 때마다 가슴 한 켠이 쓰라려 오고 세상의 밝기가 침침해지는 느낌을 가질 때가 있다. 이내 도리질을 하며 떨쳐버리려 하지만 그것은 잠시 저리 치워두는 것일 뿐 떨어져 나가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것 역시 알고 있다. 그 상처를 어떤 식으로든 누군가에게든 좀 기대어 보다듬을 수 있다면 그토록 외롭거나 아프진 않을텐데 우리는 서로의 상처를 보듬든데 너무 인색한 것도 사실이다.

 아이들도 그렇다. 요즘 아이들은 나 어릴 때보다 더 복잡해진 사회 탓인지 상처의 종류도 다양하고 깊다. 하지만 일명 똥고집과 쓸데없이 먼저 자라버린 아이들의 자존심은 누군가에게 제 상처를 보이고 치유받기를 원하기 보단 다른 사람의 상처를 건드리고 헤집는 방법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상처는 호~하며 마데카솔 부쳐주는 그 마음이 필요한데 손을 먼저 내미는 사람도 없으니 먼저 잡기란 더 어려운 일이다.
 

오명랑 작가는 이야기 교실을 통해 종원이, 소원이, 나경이에게 그 건널목 아저씨의 마음을 느끼게 해 주고 싶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마음을 치유하고 자신도 건널목 씨가 되고자 했을 것이다. 김려령 작가 역시 동화 '그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를 통해 독자가 자신의 마음을 터놓고 기댈 수 있는 준비 자세를 갖추길 바라는 동시에 다른 사람의 건널목 씨가 되고 싶다는,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하고 싶었을 것이다.
 

사실 우리는 누구나 이미 건널목 씨이다. 다만 마음의 문을 닫아, 아니 여는 방법을 몰라 누군가에게 건널목 씨가 되고, 주변 아주 가까운 곳에서 건널목 씨를 찾을 생각을 못하는 것일 뿐이다. 이 동화를 읽고 조금만 조금만 용기를 내어 마음을 열고 내 주변의 건널목씨를 찾아 손을 잡았으면 좋겠다. 그 손 하나면 충분하니까, 그 마음 하나면 충분하니까. 그리고 건널목 씨가 되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님을, 내가 누군가의 생명을 구할 수도 있을 만큼 존재만으로도 안전한 마음으로의 건널목이 될 수 있는 존재임을 알게 되었으면 좋겠다. 

마음, 그거 중요한 거야.

p 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을 찾은 할아버지]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봄을 찾은 할아버지
한태희 글.그림 / 한림출판사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대체 봄을 어떻게 찾지? 빠알간 꽃이 흐드러지게 핀 나무 아래에서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덩실덩실 춤을 추고 나비와 새들과  꽃만큼이나 많이 모여든 나비와 벌과 새들의 몸짓도 흥겹기만 한 표지를 보면 그 대단한 봄을 찾기는 찾았는가 싶은 마음이 든다. 겨울나기가 힘이 들긴 들었던 모양이다.

  화려한 표지와 달리 옛날 옛적으로 시작되는 본문이 진행되면 그림은  색이 극히 적게 들어간 수묵화가 된다. 색이 없어 단조롭기는 하지만 선이 부드러워 따뜻함도 느껴지는 그림이다. 그렇다 주인공들은 가난해서 먹을 것이 없고, 춥지만 집이 없어 곧 죽을 것 같은 인물들이 아니라 단지 지루한 것이다

나가서 소일할 것도 없고, 나가서 딱히 볼 것도 없어 집에만 박혀 있으니 그저 심심하고 심심할 따름이다. 그러다보니 봄을 기다리는 마음이 절실하게 느껴지지는 않지만 그러하기에 이야기가 상투적이지는 않다는 생각이 든다. 얼마나 심심하길래 가만 있으면 오는 봄을 직접 찾으러 가신단 말인가.

이래저래 돌아다녀 보니 독자로서는 참말로 겨울에 동물들이 어떻게 지내나 살펴도 보니 재미있다만, 할아버지는 도대체 봄을 찾을 수가 없으니 답답하겠다. 독자는 답답한 할아버지와는 달리 할아버지가 길에서 얼어죽지는 않을지 염려도 되는구만 작가는 그림책에 그런 긴장감은 주지 않았다. 대신 꽃도령을 등장시켜 할아버지가 당히 집에 봄을 가져갈 수 있게 하였다. 앞으로 나가서 일도 하고 볼 것도 많을 테니 저리 신나게 춤을 추는 것이다.  

옛날 이야기의 그림책의 전형인 가난의 극복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현대적인 감각으로 쾌락의 즐거움을 찾는 할아버지의 모습은 처음엔 어색하지만 신선한 면이 있다. 하지만 이야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할아버지가 봄을 찾는 과정이 극적인 면이 부족하고 꽃도령이 싱겁게 사라지는 모습은 좀 판타지로 보기에는 약하고 옛이야기로보기에도 약하여 역할의 중요성이 덜 부여된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구를 위한 한시간]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지구를 위한 한 시간 한솔 마음씨앗 그림책 30
박주연 지음, 조미자 그림 / 한솔수북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구를 위한 한시간, 결국 내 아이를 위한 한 시간

 

  기억이 어렴풋이 난다. 자발적으로 1시간 동안 전기를 사용하기로 어떤 매체인지는 모르겠지만 시간을 정해두었던 것 같다. 내가 지켰었는지는 분명히 기억나지 않았지만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했지 투덜거리지는 않았다. 갑자기 깜깜해진 도시들 덕분에 지구는 조금이나마 열을 식힐 수 있었을까. 화를 식힐 수 있었을까. 의미있는 일이었지만 그 뒤로는 어떤 미디어에서도 접해본 경험이 없다. 단순한 1회성 행사였던 모양이다. 

 
그림책 '지구를 위한 한시간'을 통해 기억을 더듬어보았다. 아직은 이해하지 못할 네살 아이에게 읽혀주면서 고개를 끄덕이는 건 정작 나였고, 지구의 불을 끄는 행동을 통해 혜택을 보게 될 것은 네 살 아이겠다는 생각을 했다. 결국, 지구를 위한 한 시간은 나와 내 아이를 위한 한 시간이 되는 것이 아니겠는가.


오로지 달빛과 별빛에 의해 밝혀지는 도시, 간혹 저마다의 이유로 창문으로 불빛들이 밝혀지기는 하지만 눈이 아플 정도의 불빛이 사라진 도시. 그 도시를 상상해 본다. 
 

슥삭슥삭 펜으로 표현된 그림에서 그런 도시의 이미지가 느껴진다. 단순하지만 그러하기에 덜 피곤하고 더 아름다울 수 있는 도시이다.

 
하지만 이런 도시를 보는 것은 자주 있을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정전이라면 모를까. 우리가 잠든 사이에도 지구는 환히 눈을 뜨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면 미안해진다.


작년부터 지구를 아끼는 약간의 실천을 해왔다. 다행히 더위도 추위도 그럭저럭 견딜만한 체질을 타고 났는지 크게 어려워하지 않았다. 
 

에어컨을 켜지 않기 위해 애쓰고, 히터를 켜지 않기 위해 애쓰고, 불필요한 전등을 끄려 노력하고, 샴푸를 덜 사용하기 위해 신경쓰는 등 나름의 행동을 하려고 했다. 지구가 아파하는 것이 너무 많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나의 이런 행동을 간혹 유별스럽다며 핀잔을 주었다. 아직도 우리에겐 지구를 위한 한 시간이 나와 내 아이의 미래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느낄 마음의 여유가 없는 모양이라 씁쓸했다. 그래, 그럭저럭 버티면 내가 살아가는 시간은 지구도 버텨주겠지, 하지만 그 다음은 알 수 없는 것이다. 아이야, 네가 살 세상이란다. 어떻게 너 살 동안도 지구가 버텨주겠니? 이런 마음 한 번 쯤 해야 할 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의 집
김희경 지음,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그림 / 창비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그림이 묘하게 매력이 있다는 생각은 해 온 터였다. 하지만 이 책을 보았을 때만큼은 아니었다. 단순하면서도 차분하면서도 어찌보면 객관적인 그림은 글이 전달하는 내용을 더 진하고 깊게 독자에게 전해주었다.

<마음의 집>은 철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대부분의 책들이 그러하듯이 말이다. 그런데 이 책은 철학적인 내용보다 독자를 더 사로잡는 것은 책이 주는 '위로의 기능'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마치 내 마음을 들킨 것 같은 이야기는 호들갑스럽지도 않고 과장스럽지도 않고 그렇다고 신파적이지는 더더욱 않게 덤덤하게 이어진다. 마음의 집이 모두 다르다는 것 방의 크기도, 방의 주인도 다르다는 것, 화장실도 있고 계단도 있다는 점은 집의 구조와 마음의 구조가 어쩜 그리 닮았는지 새삼 '비유'라는 것을 처음 만난 사람처럼 신기해진다.

들켜버린 마음의 집은 들킨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책으로까지 나온 내 마음이라는 것이, 비단 나만 그런 것이 아님을 독자는 읽는 순간 안도와 위로를 동시에 받게 된다. 아이들에게 소리내어 읽어주었다. 아주 차분히 천천히. 유쾌하거나 흥미로운 내용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은 숨소리도 내지 않고 농담 한 마디 건네지 않았다. 집중했다. 그리고 책을 덮은 후에 다시 꺼내어 들고 읽는 아이들이 보인다. 그렇게 진지하고 편안해 보이는 표정은 처음이었다.

나 역시도 책을 읽고 또 읽고 또 읽고 있다. 그리고 또 사고 또 사고 또 사서 함께 읽고 있다. 올해 내가 읽은 가장 좋았던 책이 모두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그림이라는 것에 앞으로 또다른 작품을 만날 것이 무척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