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이 현실의 갈등을 공상으로 해결하려 든다면 도피라고 비난받는 다. 그러나 어린이에게 공상은 생명을 지키는 숨구멍이다.  p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 여자 2 - 20세기의 봄
조선희 지음 / 한겨레출판 / 201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정숙은 50년 인생인데 한 5백 년은 산 것 같았다. 인생이 너무- 길구나, 앞으로 또 무슨 일을 만나게 될까. 죽는 건 쉽다. 사는 게어렵지. p3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들의 침묵
토머스 해리스 지음, 공보경 옮김 / 나무의철학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릴 때 비디오 테이프였을까, 주말의 명화였을까 아무튼 한참을 사람들 사이에서 잔혹한 영화로 그리고 앤서니 홉킨스와 조디 포스터의 명연기로 회자되었던 영화를 본 것이 이미 20년도 훨씬 전이다. 그때 무서워서 건너뛰어 가며 봤었던 기억이 난다. 그 어린 아이는 마흔이 넘어 사람의 가죽을 벗기고 재봉하는 이 이야기를 잘도 읽어내는구나. 물론 지금도 섬뜩하고 불편하다.

 

  영화에서는 앤서니 홉킨슨의 연기가 뛰어나기도 하고 잔혹한 사건들 때문에 사건을 처리하는 클라리스 스탈링은 조디 포스터의 강인한 아름다움으로만 기억이 되었는데 소설에서는 클라리스 스탈링에게 훨~씬 더 많은 시선이 간다. 물론 소설에서는 그녀가 탑 원 주인공이다. 작가 토머스 해리스가 어떤 의도로 여자 요원을 주인공으로 설정했는지는 모르겠지만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보아도 썩 괜찮은 소설로 읽혔다. 잭 클로포드에게 기대는 모습은 아쉬웠지만(아무 것도 하는 일도 없구만 잭은 그냥 멋진 역할인 듯 싶다. 영화에선 누구였더라?) 자기만의 삶을 자기만의 능력과 방식으로 살아가는 모습이 안쓰러우면서도 힘을 주고 싶어졌다. 그녀의 삶을 깊이 이해하는 것이 한니발이라는 건 넘나 소름끼치지만. 요즘 말로는 흙수저를 물고 태어나 스스로의 힘으로 능력있는 FBI 특수요원이 되었다는 말이다. 그녀가 '뛰어난' 수사관이 되어 '본보기'가 되고자 한다는 욕망을 한니발은 읽어냈을까?

 

  제목이 [양들의 침묵]이라는 것도 어릴 때 해소했던 궁금증인데 잊었다가 소설을 읽고 다시 해소하였다. 양들의 울음 소리, 그 울음 소리가 클라리스를 살아가게 하는 원동력이라는 한니발의 편지는 소름끼치도록(이 사람은 소름 끼친다는 말 외에는 수식이 불가하다. ) 정확한 것 같다. 리우데자네이루로 떠난 한니발의 또 소름끼치는 행각을 읽기가 두렵지만 궁금한 것은 어쩔 수 없다. 클라리스가 다음 이야기에서도 나오던가? 읽어봐야만 알 일이다.

이런 식으로 죽음을 맞이해도 마땅한 인생은 어디에도 없다. - P1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신의 삶 - 사유와 의지
한나 아렌트 지음, 홍원표 옮김 / 푸른숲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나 아렌트를 [정신의 삶]으로 처음 만날 것은 예상하지 못했다. 삶은 이토록 우연적이다. 이 책의 물질적, 내용적 무게를 내가 다 견뎌낼 것이라고는 생각하지도 않았다. 다만 문장 하나라도 얻어가기를, 이해하기를 기대했을 뿐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이 책을 정독하지 못했다. 어떤 부분은 꼼꼼히 읽었기도 했지만 대체로는 통독(이 가능한지 모르겠지만)했고 발췌독하기도 했다. 문장 하나를 이해하기는 했지만 하나의 생각을 다 이해했는지는 모르겠고 때로는 전체는 알겠는데 한 문장이 이해가 되지 않기도 했다. 역자 해설에 보면 한나 아렌트는 이 책을 대중서로 쓴 모양인데 역자 왈 난해해서 그 부분은 실패했다고 해서 어찌나 위로가 되던지. 일단 이번엔 이렇게 읽은 것으로 만족하기로 했다.


이 책을 시작하면서 역자와 원 편집자의 글을 먼저 읽었는데 그들의 글에서 자긍심이 느껴졌다. 한나 아렌트 역시 이 책이 한 권으로 엮어진 것을 보았다면 무척 뭉클했을 것이다. 불행하게도 그녀는 사유와 의지 부분만 완성했고 판단 부분은 편집자에게 맡겨야 했다. 다른 책을 접하지 못했기에 그녀의 방대한 사유의 영역에 대해서 비교불가능하지만 '한나 아렌트 철학의 정수'라고 불릴 만 하다는 생각엔 왠지 모르게 동의하게 된다. '판단'의 미완성을 감안하고서라도 말이다. 철학서들은 두껍든 얇든 기본적으로 패턴이 비슷하다. 자신의 생각을 말하기 위해 이전의 이론들을 분석하고 그들의 적절함 혹은 부적절함을 드러내며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하는 형식이이 책에서도 마찬가지로 기본 구조인데 덕분에 새삼 소크라테스의 위대함을 만나고, 칸트나 헤겔, 하이데거에 대한 궁금함을 갖게 되었다. 학창시절 가장 힘들어하던 내용이 서양철학이었는데 나이 마흔에 학구열이 불타오른다.


제목에 사유는 Tinking으로 표시되었고 내용 상 cogito라는 말을 썼다. 책을 읽으며'思惟'가 혹시'思'는아니었나 잠깐 머뭇거렸었다.생각의 깊이 뿐만 아니라 여유가 있어야 사유가 되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했기 때문인데 한나 아렌트 역시 비슷한 말을 했다.중요한 것은 이런 류의 생각들은 책을 읽으면서 간헐적으로 수시로 하게 되었는데 대부분은 이런 쓸모없는 내용이었지만 한나 아렌트가 내 마음에 사유의 바람을 일으킨 것만큼은 분명하다. 닉네임으로 쓰고 있는'혜윰'이라는 말의 뜻이'생각'인 만큼 내게 이런 시간들은 분명 큰 자극이 되었다.현상세계를 살면서 어떤 경험의 순간에 불현듯 찾아오는 사유의 시간은 삶을 풍성하고 의미있게 살아가는 필수요소라는 생각을 강하게 하게 되었다.빠르게 지나가는 예시이긴 했지만 사유하지 않은 오르페우스와, 사유한 페넬로페의 비교는 무척 흥미로웠다. 그렇다면 바틀비는? 의지에 더 가깝겠지?


사유의 역사가 고대 철학자 소크라테스에서 시작한 것과 달리 의지의 역사는 빨리 보면 아우구스티누스이지만 근대 헤겔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다루어졌다. 1권의 <사유>를 읽으며 소크라테스와 칸트에 관심이 생겼다면 2권 <의지>를 읽으면서 똑 부러지는 헤겔과 하이데거의 이론에 매력을 느낀 것은 아렌트의 힘인가 그들의 힘인가 모르겠다. 고대와 중세 시대에는 '신'이 인간 세계를 지배하였기에 '미래'에 대한 것 역시 신의 몫이었다. 그러나 신을 믿지 않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현재와 미래는 인간의 몫이 되었고 현재의 불안과 염려는 인간에게 의지를 선물했다.(고 나는 해석했다) 그리하여 현상 세계에서 잠깐 이탈하여 사유하고 과거의 경험을 떠올리는 시간을 넘어 미래를 생성하는 시간이 닥친 것이다.(고 역시 나는 해석했다.)대표적인 것이 죽음에 대한 생각이다.철학자들은 때로는 '사랑'이라 말하고(아우구스티누스) 때로는 지성이라고 말하는(토마스 아퀴나스) 등 그 정의는 달랐지만 새롭게 등장한 개념인 의지는 분명 매력적인 개념이었을 것이다. 그것은 현대 인간의 가장 큰 욕구인 '자유'와 밀접한 개념이었을 테니까.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사유나 의지나 판단이 모두 정신활동에 속한 수많은 영역 중의 하나이겠거니만 생각했지 세상에 이렇게 명확하게 구분되는 개념들이라니 그것 하나 안 것만으로도 충분히 보람되는데 스스로를 '의지박약아'라 칭했던 나의 삶을 돌아았을 때 내가 사유는 안 하고 산 건 아니지만 참말로 의지하는 삶을 살지는 않았구나 싶어 다시 사유를 해 보기도 했다. 데카르트적으로는 살았는데 헤겔적으로 살지는 못한 것이고 그건 좀 전근대적인 인간 유형이구나 판단하기도(얼씨구나 책 좀 읽었다고 갖다 붙이긴 잘도 갖다 붙인다)하며 내가 삶에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 것인가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앞에서 판단까지 꺼내면서 주접을 떨었지만 사실 나는 이 책을 거의 이해하지 못했다. 밑줄도 많고 그것을 옮겨 쓴 노트도 몇 쪽이나 되고 정리한 노트도 네댓 쪽이 되지만 그것들은 산발적으로 널려있을 뿐 정리되지 않는다. 책을 제대로 읽지도 이해하지도 못한 탓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정리를 하다보니 조금은 명료해짐을 느낀다. 책의 분량이 사유와 의지에 대부분 할애되어 있어 판단에 대한 내용이 충분히 매력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찰자로서의 판단, 공통적 기준과 같은 기본적인 내용만 남아 있을 뿐이라 아쉽다. 하지만 내가 이 책을 이렇게 허투루나마 읽게 된 것에 무척 자긍심을 느낀다. 책을 읽는다고 내가 사유하는 나가 되고 의지하는 나가 되고 판단하는 내가 되는 것은 아니겠지만 왠지 이렇게 말하고는 싶어진다. 나는 요즘 한나아렌트하고 있다고. 때로는 우연이 이렇게 좋은 책을 만나게 해 준다. 처음에 뜨악했던 두께의 무게는 희한하게도 마음을 무겁게 하지 않았다. 도리어 마음이 가벼워지고 내 갈 길이 조금은 보이는 것 같다. 이 책을 만나게 해준 몽실북클럽과 푸른숲, 홍원표 역자에게 진심으로 고마움을 느낀다.



의미 없는 삶은 사유하는 나에게는 살아 있는 죽음이다. - P15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9-30 11: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그렇게혜윰 2019-09-30 18:48   좋아요 0 | URL
리뷰라고 하기엔 넘 이해를 못 한 것 같지만 좋게 봐주시니 제가 더 감사합니다^^
 
퇴근길엔 카프카를 - 일상이 여행이 되는 패스포트툰
의외의사실 지음 / 민음사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어떻게 기획되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세계문학전집과 카툰의 콜라보레이션이 책장을 넘길수록 경제용어로 말하자면 윈윈전략이요, 관용적으로 말하자면 '도랑 치고 가재 잡는' 만남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사실 이런 시도가 처음은 아니다. 만화를 그리는 솜씨 좋은 사람들은 만화로 자신의 독후감을 표현한 예가 몇 있다. 가령, 뚜루의 [카페에서 책 읽기]도 그러하고 요즘 출판사에서 도서 홍보로 카툰을 이용하는 예도 있다. 여하튼 이러한 시도는 내가 전혀 손을 못대는 영역인지라 더더욱 신기하고 놀랍다만 이 책 [퇴근길엔 카프카를]을 읽자니 이건 그냥 그림 솜씨만으로 되는 일은 아니라는 사실에 감탄까지 하게 된다.

 

 처음엔 이 책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만으로 이루어졌다는 생각은 못했다. 후에 에필로그를 읽고 나서야 '그랬네?' 했다. 그러니 이 책이 어떤 책을 다루는가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많은 이들이 읽은 책이기에 스포를 좀 해도 무방할 책들이지만 그 경계를 넘지 않으면서 그 안에 화자를 배치하여 소설 속의 이야기를 현재의 나와 버무리는 솜씨를 보자면 내가 소설을 읽었건 읽지 않았건 모두 공감하도록 만든다. 너무 창조적이지 않나 이런 작업의 형태가!

 

  여백을 살린 간결하면서도 작가와 작품을 드러내는 그림체도 맘에 들어 하나하나 따라 그리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는데 지난 민음사패밀리세일에서 이 책을 보고도 왜 사지를 않았나 자책하며 읽기도 했다. 제본 상태가 조금 아쉽긴 했지만 그러한 결점을 알고서라도 곁에 두고 하나하나 옮겨가며 때로는 나만의 그림과 글을 곁들이며 모사하고 싶어지는 책이다.

 

  이름마저 의외인 '의외의사실'이 그린 두번째 카툰 서평집이 빨리 나왔으면 좋겠다. 세계문학전집은 됐고 현대소설 쪽으로 좀 넘어오시면 더욱 좋을 것 같지만 뭐가 됐든 서둘러 주시라!

 

후속 리뷰 https://blog.aladin.co.kr/tiel93/10892182

 

사람들은 모두 오래 봐도 상대방의 한 가지 면 밖에 못 보는지도 모르고 사람과 사물들은 각자의 속도로 각기 다른 대상을 중심으로 제각기 떠돌고 있는지도 모른다. - P1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