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깊은 집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5
김원일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제 연꽃언덕 일기에도 썼지만, 내가 기억하는 마당깊은 집은 소설이 아니고 연속극이었다. 그게 언제적인지 기억도 나지 않지만, 그 연속극에는 고두심이 기생바느질을 하는 어머니로 나왔었고, 그리고 정말 깊게 내려앉은 마당을 둘러치고 사람들이 옹기종이 셋방살이를 하고 있었다. 그 드라마를 보았을 때 우리도 아마 셋방살이를 하고 있었고, 한 방에서 여러식구가 지내는 일이 그리 색다르지 않던 시절이기도 했던 거 같다. 

내가 그 때 서울에서 살았는지, 의정부에 살았는지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너른 마당에 화초를 가꿔가며 사는 집도 물론 있었지만, 작은 방에 TV도 없이 사는 집들이 그닥 별다를 것도 없던 시절이었다. 그 시절은 그리 오래 전 일도 아닌데 말이다. 

그리고 집없는 설움이 무엇인지 대강 나도 알고 있던 것 같다. 어쩌면 바느질을 하진 않았지만 홀로 아이들을 키워내는 일이나, 유독 길남이에게 호되게 굴던 그 어머니의 모습은 사뭇 나의 어머니의 닮아있었다. 그리고 길남이가 아버지의 자리를 억울하게 물려받았듯이 나 역시 아들이 없으니 네가 아들노릇까지 해야한다는 소리없는 어머니의 기대를 안고서 성장했다. 

잘 기억나지 않는 그 드라마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이계인씨가 준호아버지를 맡았던 거 같다..그 당시에 준호아버지의 역할에 이계인씨가 가장 잘 어울린다는 건 누구도 부인하지 않았으리라) 준호아버지가 사무직에서 일을 한다고 했는데 결국 행상을 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진 에피소드였다. 미군부대 담장 아래서 보자기를 펴놓고 갈고리 손으로 물건을 팔고 있던 준호아버지의 낡은 군복은, 부대의 높은 담장과 함께 오랫동안 잊혀지지 않았다. (소설의 내용과 약간 다르다.) 

그 드라마의 원작이 소설이라는 건 드라마가 종영되고 꽤 시간이 지난다음에 어렴풋이 들었던 것 같다. 그리고 MBC 느낌표에서 자기네가 예전에 방영했던 드라마임을 잊지 않았는지, 선정도서로 발표를 해서 뒤늦은 인기를 누리고 있기도 하다. 

가끔, 우리는 그런 전후문학이나, 육이오라 부르는 한국전쟁이후의 슬픔과 가난을 그리워한다. 마당깊은 집이 드라마로 인기를 구가하던 시절에 히트를 기록했던 드라마는 억새풀이나, 간난이 같은 것이었는데, 가난에도 불구하고 꿋꿋이 살아가는 아이들이나, 억척스런 어머니 상들이 많은 감흥을 일으키지 않았던가.. 

다시는 기억하고 싶지 않은 기억들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끊임없이 그 때 이야기들을 다시 하고 또 하고 있는 것이다. 

마당깊은 집은, 성장소설이며, 전후문학이다. 모두가 가난한 듯 보이던 시절, 그러나 모두가 가난한 건 아니었다. 소설에도 등장하듯 주인집인 안채사람들은 오히려 불이 붙듯 가세가 성장하고 그로 인해 마당깊은 집의 모든 사람들이 이사를 떠나게 된다. 이 이야기는 주인공 길남이가 대구에서 보낸 첫 해, 그 해의 마당깊은 집에서의 이야기이다. 

나는 마당깊은 집을 읽으면서 많이 울었다. 길남이가 가출을 하는 장면에서는 새벽인데도 불구하고 눈물을 질질 흘리다 결국은 베게에 머리를 쳐박고 통곡을 하고 말았다. 

어쩌면, 길남이가 아들이고, 나는 딸일 뿐이지, 길남이의 어머니의 대사는 마치 우리 엄마가 하는 말과 다를 바가 없었고, 전쟁통이 아니었는데도 더러운 세월은 30년을 넘어간 그 시절에도 비슷하게 적용이 되어, 단지 나의 어머니는 사투리를 쓰지 않았달뿐 길남이 엄마와 별 다를 바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길남이 엄마가 하는 모든 말이 서울말씨가 되어 내 어머니의 얼굴이 되어, 혹은 고두심의 얼굴이 되어 가슴이 꽉 꽉 박혀버렸기 때문일 것이다. 

저자는 글의 첫머리에서 가난은 절망이 아니라 희망으로 가는 길이라고 했다. 그렇다. 우리는 그 시절에 언젠가 냉장고에 수박 한 덩이 넣고 살게 되는 날이 올거라고 그렇게 기대를 했다. 

길남이의 마당깊은 집은, 의정부 역전뒤에 두칸짜리 가겟방이 되어, 또는 집주인네 TV로 뽀뽀뽀를 보다가 눈총을 받고 슬그머니 그 방에서 빠져나오던 샘내의 가죽공장 앞 집이 되어 내 가슴을 후벼팠다. 

상처는 덮어놓는다고 잊혀지지 않는다. 오히려 밴드도 붙이지 않고 공기를 쐬게 해줘야 금방 치료되지 않던가.. 내 가슴속에 묻어있던 그 어린 시절에 별로 민감할 수 없었던 가난에 대해서 오래동안 눈물을 흘리게, 그래서 치유받는 길로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준 소설이었다. 

이 글을 쓰는 내내도 눈이 뿌옇다.. 

2003. 3. 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랫말 아이들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어른을 위한 동화 12
황석영 지음, 김세현 그림 / 문학동네 / 200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느낌표 선정도서의 강점중의 강점은, 많이 팔려나가다 보니 인터넷 서점에서 엄청난 할인을 해 준다는 것이다. 이것도 이제 도서 정가제를 하다보면 그 폭이 줄어들거나 그 혜택이 전혀 없어지겠지만, 어쨌거나 이 얇은 책을 들고 고민하지 않아도 될만큼 할인은 만족스럽다. 

힘들게 써 낸 책을 보고 싸니 비싸니 돈 얘기만 하는 것도 참 민망스러운 일이지만, 어쨌거나 한국에서의 책값은 전혀 싸지 않다. 원가를 그만큼 들여서 찍어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라는 것도 잘 알고는 있지만 말이다. (나는 그저 소비자일 뿐이다..)

황석영씨는 우리 시대에 걸출한 소설가 중의 한 분이다. 개인적으로 "오래된 정원"을 무척 감동적으로 읽었고, 그 분의 심상치 않는 전력에 경외감을 가지고 있는데, 그런 소설가가 펴낸 동화같은 이야기라니 그 인상 역시 남달랐다. 

모랫말 이야기는 한 시간도 걸리지 않아서 읽을 수 있는 이야기들이다. 10편의 이야기가 이어지는 듯 이어지지 않는 듯 묶여있고, 마지막 저자의 글은 젊은 시절 자신의 아이들에게 "아빠 어렸을 적엔.."이라는 식으로 들려주려고 적은 글이라고 했다. 언젠가 더 써야지 하고 생각했다가, 이번에 출판기회가 와서 더 써서 출판해야지 했는데 그 약속도 지키지 못했다고.. 

모랫말 아이들이 이야기는 하나같이 감동적이다. 동화의 매력은 (굳이 동화라고 볼 수 없을 수도 있다.) 감동과 교훈 아니던가. 

그러면서 나는 내 어린시절을 하나씩 곰씹어 볼 수 있었다. 

이제 서른도 되지 않은 내가 30년도 되지 않은 기억들을 잘 떠올리지 못하는 것은 내가 어쩌면 일부러 세월 저쪽으로 팽개쳐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도 싶었고, 그래 나도 이런 기억이 있었어..라는 생각도 했고, 그 때의 이야기를 써 본다면 어떤 이야기가 있을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한국전쟁 이후 가난하고 슬펐던 그 많고 많은 인생들 중에 황석영씨가 들려주는 모랫말 아이들의 이야기는 충분히 감수성 풍부한 사람이 눈시울을 적실 수 있는 그런 이야기들이다.

大家가 들려주는 소소한 동화같은 소설은 "쉬운 책"이라는 오명을 벗어던 질 수 있을 만큼 우수한 표현 역시 지니고 있다. 

2003. 3. 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깔모자를 쓴 지식인
곽양옥 지음, 문용성 옮김 / 청화학술원(=곤오) / 200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중국현대역사에 있어서 가장 가슴아픈 일이라고 한다면 누구나 서슴치 않고 "문화대혁명"이라고 할 것이다. 
문화대혁명은 4인방이라는 권력중심에 있던 일계 계층에 의해 정치적으로 주도된 일종의 운동이다. 이 운동은 말 그대로 문화를 개혁하고 혁명한다는 의도로서 중국 당시의 혁명과 어울리지 않는 수많은 사람들의 사상을 뜯어고친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사람이 살아가는 모든 일이 문화라고 한다면, 그 문화의 범위는 얼마나 넓은 것인가.. 그 모든 문화를 당의 노선과 일치시키려 했던 이 혁명은 의도자체가 무리일 수 밖에 없었다. 그로 인해 수많은 "반동분자"들이 축출되었고, 노동운동을 했고, 그리고 사망했다. 

인생이라는 영화에 등장하듯이, 이 시절엔 당을 위해, 그리고 중국을 위해, 공산주의와 모택동을 위해 인민들이 모든 희생을 감수하던 시절이다. 그리고 말 한마디 실수로 반동분자가 되어 비판을 받고 노동을 가고 그래서 죽음까지 이르는 일이 비일비재했던 시절이다. 

고깔모자를 쓴 지식인이라는 건, 이 당시에 사상성의 의심을 받아 비판의 대상이 되고 악몽같은 수십년을 보냈던 당시의 지식인들을 잘 나타내주는 제목이다. 

지은이는 오랫동안 교편생활을 했던 곽양옥이라는 할머니이고, 번역은 그녀의 남편의 제자인 문용성씨가 맡았다. 

저자가 워낙 연로하신데다가, 내용이 방대하여 번역작업에 상당한 긴장감을 가지고 있었다고 머릿말에 전한다. 그리고 이 책은 할머니에게 옛 이야기를 듣는 다고 생각하고 읽어주길 바란다는 당부도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충분한 이야기 거리가 될 것을 원작자체가 약간 산만하지 않았나 싶은 부분이 많이 보인다. 그리고 급하게 번역을 해 내서 그런지 몰라도, 번역가인 문용성씨에게는 미안한 말이지만, 서툰 한국어가 눈에 너무 많이 띄였다. 

예를 들어, 중국어에서는 他라는 단어로 3인칭을 지칭하는데, (사람인자변에 여자 자를 넣으면 그녀가 되고 他는 남자를 지칭한다.) "동생과 그녀의 딸"이라는 걸 아무 의역없이 그대로 번역해 어색한 부분이 너무 많았다. 한국어에선 "동생과 그녀의 딸"이라고 하진 않지 않는가. 

기대한 것보다 알찬 글은 아니었지만 저자의 생생한 이야기를 육담으로 듣는다는 느낌은 들었다. 이미 절판된 책이고 그리 추천할 만한 도서는 아니지만 그래도 중국 문화대혁명에 대해 관심이 있은 사람이라면 한 번쯤 읽어봐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2003. 3. 9.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문화대혁명, 또 다른 기억―민중의 목소리로 문혁을 말하다!
    from 도서출판 그린비 2008-10-31 16:54 
    민중의 시선으로 문화대혁명을 바라본다 ! 『문화대혁명, 또 다른 기억』―어느 조반파 노동자의 문혁 10년천이난 지음 | 장윤미 옮김 | 도서출판 그린비 | 인문 · 역사출간일 : 2008년 10월 20일 | ISBN(13) : 9788976825070신국판 양장 (150X220mm)| 840 쪽이 책은 문화대혁명 시기 저자가 노동자의 신분으로 조반조직을 전두지휘하면서 경험한 일을 서술한 회고록이다. 조반조직의 세력 확장으로 열여덟의 나이에 당시 회...
 
 
 
두부
박완서 지음 / 창비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완서 할머니의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한다. 
31년생인 작가에게 박완서 작가라고 하기도, 박완서씨라고 하긴 더욱 더 곤란하다. 그래서 이런 독후감을 적을 때는 마치 내가 잘 아는 사람인 것처럼 박완서 할머니라는 호칭을 쓰곤 한다. 

인터넷 서점으로 주문을 했기 때문에, 그저 작가가 "박완서" 라는 것만 알고 있었지, 단편소설집이라고 막연히 생각하고 있었다. 도착한 책을 보니 단편소설이 아니라 가벼운 산문집이었다. 

그러나, 산문집이 가볍다는 것 역시 또 하나의 편견이 아니었던가.. 

박완서 할머니의 책을 처음 만난 것은 몇년도인지 기억나지 않는, 옛 이상문학상 수상집에서 "엄마의 말뚝"이라는 단편을 만나면서부터였다. 그리고 장편소설은 쉽게 읽지 못하는 게으른 성격탓에, 대표작 나목은 읽지 못하고,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와,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와 "아주 오래된 농담", "너무도 쓸쓸한 당신"을 읽었다. 

작가는, 마흔이 넘어서 작품을 시작했고, 그래서 박완서할머니의 소설은 내가 미처 닿지 못한 세월들을 쓰다듬고 있다. 소설의 주인공들은 주로 50대, 그리고 60대가 되기도 하고, 또 어린 시절 작가의 영혼이 투영되기도 한다. 

이제 70대가 된 박완서할머니의 산문은, 지난 몇년동안 여기저기 흩어져있던 글을 모은 책인데, 감히 상상할 수도 없는 그 나이의 배어있는 오래된 삶의 흔적들과 작가의 인생을 꿰뚫는 통찰력, 그리고 겸손함이 곳곳에 가득하고, 이제는 세상을 접을 때가 되었고, 또 잘 정리하고 싶다는 작가의 의연한 세월이 배어있다. 

산문집의 장점은 무엇보다도 쉽게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재미있는 이야기를 늘 선사했던 성숙한 작가의 산문이라면, 마치 할머니가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해서 천천히 쉬어가며 읽을 수 있는 이야기들이 아닐까 한다. 

2003.2.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전우익 지음 / 현암사 / 199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문화방송 느낌표에서 추천하는 책을 많이 사가지고 왔다. 전부다는 아니지만, 예전에 이미 읽은 봉순이 언니를 제외하고 모두 다 읽어보고 싶은 생각도 든다. 

그 중에 "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라는 책은 내 기억으로는 몇 년전에 출간된 책이다. 
서점에서 그 주글주글한 한 촌로의 얼굴이 흑백사진으로 떡하니 박혀있는 그 모습과 책 제목을 보고 살까 말까 망설였다가 두께가 너무 얇아서 그만 뒀던 기억이 있다. 

주제도 안되면서 두꺼운 책이 제일인 줄 아는, 건방진 나의 자아가 그런 얇은 책에서는 얻는 게 별로 없을 것이라고, 그리고 나도 이미 다 아는 것들일 것이라고 했던, 그 20대 중반.. 혹은 초반이었을게다. 

그 때, 누군가 그 책을 나에게 선물했다고 해도, 나는 시덥잖게 여겼을 것이고, 삶에 지치고 쩔어있던 그 시절엔 별다른 감흥을 느끼지 못했을 것이 분명했다. 

사람이 피폐해지는 것은 끝간데가 없어서 그 어떤 아름다운 글귀를 읽고 그 어떤 아름다운 이야기를 들어도 콧방귀를 뀌기만 하기도 하는 것이다. 

이 책은, 앞서 말한대로 책도 무척 얇고, 글씨도 무척 크고, 군데 군데 사진도 들어있다. 그러니 말하자면 분량은 정말 얼마되지 않아 한꺼번에 쓱~ 읽고 내려가도 될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내게 이 책은 그렇지 못했다. 

아주 평범한 농사꾼은 아닌 범상치 않은 이력과 아이러니한 그의 이름 전우익, 그가 지인들중에도 특히 스님과 보살님께 보낸 편지들은 인생과 흙과 땅을 바라보는 모든 생각이 고스란히 담겨있고, 답답한 이 세상과 비뚤어진 인상군상들에 대한 질타를 서슴치 않고 있어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책을 읽는 내내 한 문장을 읽고 창밖을 바라보았고, 그의 얼굴을 보고 지하철에 쭈그려 앉은 또 다른 중국의 노인을 보았으며, 가슴이 먹먹해져오곤 했다. 

오래동안 가까이 두고, 내 인생이 우그러질때, 그래서 나약해 질 때 다시 한 번 읽고 싶은 책.. 

혼자만 잘 살믄.. 정말 무슨 재미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