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파트 한국사회 - 단지 공화국에 갇힌 도시와 일상
박인석 지음 / 현암사 / 2013년 7월
평점 :
이 책은 한마디로 ‘기승전발-코니‘의 관점에서 쓰여졌으며
대한민국 아파트 단지의 문제점을 다양한 자료와 통계를 근거로
비판하고 있는 책이다.
한국인의 대다수가 아파트라는 주거형태에 살고 있지만,
건축분야에 종사하거나 관련한 업에 종사하지 않는다면
우리네 발코니(흔히들 베란다 라고 부르는)가 현재처럼
외부로 돌출된 준사적공간의 형태가 아닌
전국 어느 단지를 둘러보아도 샤시로 막아내고
그것도 모자라 확장을 통해 전용공간화 하고 있는 것을
저자는 문제시하고 있다.
확장을 통해 넓은 공간을 살 수 있는게 집주인의 당연한 권리 아닌가,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면 그 이면에
건축법상의 맹점을 이용하는 건설사나
도시환경적인 측면에서의 문제점 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또한 저자는 아파트 ‘단지‘가 문제라는 문제제기를 하는데,
입주자 입장에서는 무슨 말도 안되는 말이냐?
생활의 편리와 안전한 생활,
특정한 곳에 산다는 자부심 내지는 아이덴디티
아울러 가장 투자가치가 있는 부동산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게
아파트 단지라고 할 수 있지 않은가,
이에 대한 저자의 반론을 살펴보고자 한다면 이 책을 펴쳐보시라.
서울에서 내 집 한 채 마련하기가 요원한 젊은이들을 애석해 하면서
마음 한 구석에는 내가 살고있는 아파트 값은 올라가길 기원하는
나같은 위선자들을 뜨끔하게 하는 책이다.
(집값이 오른다고 해서 일주택 소유자에게 좋을 일은 대체로 없다)
"한국은 땅이 좁아서 고밀개발이 불가피하고 고밀개발하려니 고층화할 수밖에 없다"는 말은 아무런 근거도 없는 거짓말이다. 첫째, 한국은 땅이 좁지 않다. 대부분의 한국 도시들은에서 유럽의 유수한 문화도시들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다. 서울과 수도권 몇몇 도시가 높은 인구밀도를 갖는 도시에 속할 뿐이다. 따라서 이들 몇몇 도시를 제외한 다른 도시들에서 고밀개발이 횡행하는 이유로 ‘땅이 좁다‘를 내세우는 것은 거짓말이다. 둘째, 땅값이 비싸서 고밀개발이 불가피하다는 말도 거짓말이다. 오히려 고밀개발을 하기 때문에 땅값이 비싸진다는 것이 사실에 가깝다. 이러한 사실을 받아들일 때 인구밀도가 낮고 땅값도 싼 도시에 막상 신도시가 들어서면 땅값이 서울만큼 비싸지는 이상한 현상도 설명이 가능해진다. 고밀도로 개발하기 때문에 땅값이 오르는 것이다. 셋째, 고밀개발을 하려면 고층화할 수밖에 없다는 말도 거짓말이다. 중저층으로도 높은 밀도로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층화의 진짜이유는 고밀도가 아니다. 고층화는 도시가 제공하지 못하는 녹지와 오픈스페이스를 아파트 단지 안에서 최대한 확보하려는 노력의 산물일뿐이다. 다시 정리해보자. 땅이 좁아서가 아니라 일부 땅을 집중적으로 고밀도로 개발하기 때문에 땅값이 오르는 것이다. 집중적인 고밀개발을하는 이유는 기반시설 투자비를 가급적 줄이기 위한 것이다. 신도시개발이 전형적인 본보기다. 미개발지 한가운데에 도로와 전철을 연장하고 고밀도 아파트 단지들을 마치 포도송이 매달 개발한다. 물론 가급적 고밀도로 매달아야 한다. (87~88쪽)
두한족열(頭寒足熱). 머리는 차갑고 발은 따뜻하게 하는 것이 건강에 좋다는 것은 이미 의학적으로 증명된 사실이다. 얼마 전 열풍이 부었던 반신욕 역시 같은 원리의 건강법이다. 온돌방에서 생활하는 한국사람들은 항상 반신욕을 하고 있는 셈이다. 온돌이 건강에 좋다는 사실이 한국인만 알고 있는 비밀 건강법일 리가 없다. 온돌 난방의 장점이전 세계에 퍼진 지 오래다. 당연히 일본에서도 유럽에서도 온돌 난방이 인기다. 인터넷에서 바닥 난방(floor heating)을 검색하면 동서양을 막론하고 온돌 난방을 고급스러운 주택의 대명사처럼 내세우는 광고들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온돌은 좌식생활 못지않게 입식생활과도 궁합 이 잘 맞는 전천후 난방 방식인 것이다. (214쪽)
준사적 공간을 통해 개인의 생활 내용이 표출되는 것이야말로커뮤니티 창출에 중요한 계기가 된다. 서로 다른 개인들의 생활이 묻어나는, 다양성이 숨 쉬는 거리에서는 사람들이 걷고 머무는 시간이 많아 지게 마련이다. 각자의 준사적 공간에서 생활하는(화초에 물을 주거나 앉아 서 신문을 본다든가 하는) 주민들과의 우연한 만남을 통한 교류를 자극하는빈도가 늘어나기 마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한국 아파트 대부분이 획일적으로 느껴 지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준사적 공간이 빈곤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발코니 새시와 철제 현관문으로 차단된 집들은 사적 생활내용을 외부에 시각적으로 드러낼 만한 준사적 공간들이 철저히 배제되어 있다. 이는 각 집들이 모두 동일해 보이는 획일적이고 삭막한 풍경으로 이어진다. (327~328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