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살아 있는 숲, 레미 사바르(검둥소, 2008)

가령 아주 먼 곳을 땅이라고 하지 않고 얼음이라고 해본다. 술래가 나를 잡으려고 할 때, 주변의 친구들이 모두 얼음일 때, 잡히지 않으려고 도망하다 술래의 손끝이 내 몸에 닿기 전, 구원자임을 포기해야 하는 찰라, 그때를 아주 먼 곳, 얼음이라고 발음해본다. 땅은 아마도 땡에서 왔을지도 모를 일이다. 춥고 척박한 땅을 우리는 얼음이라고 배웠다. 얼음의 땅에 씨앗을 심으려면 여름을 훔쳐와야 하고 여름을 여름답게 하려면 겨울이 필요하다는 균형감을 이야기를 통해 전달해내는 어른들이 있는 땅, 가령 그곳을 숲이라고 발음한다면 그 숲은 얼마나 깊고 어두울까. 이뉴잇은 자신들을 '이뉴잇'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그들이 말하는 이뉴잇은 '사람'이다. "우리는 사람이다." 얼마나 절박한 단어인가. 얼마나 넓은 단어인가. 얼마나 어두운 단어인가. 그들이 사람이 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 중 하나가 이야기라고 한다. 사람들의 작은 무리가 흩어져 살아가다 한 해가 지나기 전 흩어졌던 강줄기로 다시 모이는 때, 그때 그들은 축제를 벌인다고 한다. 다른 영토의 사위와 딸들이 돌아오고 아들과 손자들이 돌아오고 딸들과 어머니들이 모여 먼 곳을 돌아온 할아버지 할머니들에게 자신들이 보고 겪은 이야기를 전달하면 할아버지 할머니들은 그들의 이야기를 털실 삼아 모자를 짜듯 이야기를 엮어 들려준다고 한다. 하늘이 내린 고아 차카페슈가 사냥꾼의 생활을 접고 나무 위로 기어올라가 하늘다리(은하수)를 만들어 달이 된 이야기, 버려진 아이가 미스타페우 할아버지를 만나 울음으로 여름사냥을 독려하는 이야기, 여름의 끝에 흩어진 가족들이 만나 이야기를 만드는 축제 우에파타우취히카트, 여름아이들과 겨울아이들이 나누어 힘자랑을 하는 이야기, 늙은 부모를 버리자 늙은이가 점차로 젊어져 손녀를 아내로 삼았으나 말라빠진 고추와 다 빠진 이빨 때문에 들통이 나는 심술맞은 이야기, 하늘로 올라간 동생이 누나를 먼저 올라가라고 하고 밑에서 치마 속을 훔쳐보는 이야기, 하루라도 빨리 축제에 참석하고 싶어 어린 아이를 양말도 안 신기고 얼음땅에 버리고 도망치는 부모 이야기, 여름을 훔치고 달아나다 여름 무리에게 잡혀 겨울을 나눠주고 여름을 얻기 위해 딱따구리의 발가락을 보고 여름을 여섯 달로 정한 이야기, 버려진 아이의 피를 빨아먹는 머릿니를 모두 잡지 않고 머릿니 가족인 할아버지 할머니 엄마 아빠 서캐까지 다섯 개는 남겨놓은 이야기...

 

가령 봄을 봄이라고 하지 않고 '쉬쿠안'이라고 해본다. 여름을 여름이라고 하지 않고 '니핀'이라고 해본다. 가을을 가을이라 하지 않고 '타쿠아췬'이라고 해본다. 겨울을 겨울이라 하지 않고 '피푼'이라고 해본다. 아프리카 어느 곳에 열세 번째 달이 있듯 피푼과 타쿠아췬 사이 초록이 돌아오는 다섯 번째 계절 '미니슈카마우'를 넣어본다. 타쿠아췬과 피푼 사이에는 초록이 돌아가는 여섯 번째 계절 '피취피푼'을 넣어본다. 꽃을 '우아피쿤'이라고 해본다. 이제 아주 먼 나라의 깊은 단어들을 발음해본다. "목소리는 하나의 의미이며 삶의 표현"이라고 믿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2. 신의 가면 2-동양 신화, 조지프 캠벨(까치, 1962/1999)

세계창조는 우주적 그림자 놀이와 같으며 빛과 어둠의 세계에서 꿈의 시대로 진입하는 세계관을 보여준다. 이것은 안과 밖이 없는 내재적인 세계관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 '내재적'이라고 하는 것은 "면도날 상자 안에 있는 면도날처럼, 부싯돌 안에 있는 불처럼 신적인 것이 모든 곳everywhere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모든 것everything 자체"이다.

 

신화학자 캠벨이 미국인이라는 것을 처음 알았다. 캠벨의 언어는 신화적인 은밀함과 과학적인 추리기법이 잘 맞아떨어진 합리성의 모델로 그 지위를 굳히고 있음을 알았다. 영어의 매력은 첫문장을 어떻게 풀어내는가에 있다. 풀려나가는 과정이 과학적인 합리성에 끈임없이 접근하려 할 때 영어식 사고의 매력이 있고 그것을 잘 보여주는 것이 캠벨이 전세계 신화에 접근하는 방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1. 게르만 신화와 전설, 라이너 테츠너(범우사, 2002)

범우사에서 출간하는 세계의 신화 시리즈는 현재 6(이집트, 인도, 유럽, 스칸디나비아, 중동, 게르만 신화)까지 나왔으나 좋은 책을 허접하게 번역하고 엉망으로 편집한(교정을 본) 대표적인 책이다. 라이너 테츠너라는 이름에 걸맞는 번역이 다시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며 읽었는데 최근 북구 신화를 소개하는 다른 책들(안인희의 <북유럽 신화 1, 2>, 외대출판부에서 나온 <동유럽신화>)이 출간되었으므로 그것으로 대체해서 읽어도 좋겠다.

 

게르만 신화는 신들의 이야기와 영웅들의 이야기 두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들의 이야기는 북유럽 신들 중 최고의 신인 오딘의 탄생과 세계의 형성, 아제신족(오딘과 대지의 여신 요르트=농업신 토르, 비프뢰스트 파수꾼인 하임달, 루네문자을 알고 있고 푸른구름을 타고 망또를 입고 있는 흰수염의 오딘과 지혜의 여신 프리그=태양과 빛의 신 발더, 후일 로키의 간계에 속아 토르를 살해하는 장님인 회트와 황금사과를 관장하는 이둔 여신, 거인족의 젊은이이지만 오딘의 양아들로 받아들여져 후일 아스가르트를 파괴하는 로키)과 바네신족(평화와 번영 수확을 관장하는 풍요와 여름의 신 프라이과 결혼하는 거인족 기미르의 딸 게르티, 그들의 자식인 인간의 왕 푈니르, 프라이의 친구인 스키르니르), 그리고 라그나리크라고 불리는 펜리스 늑대족, 거인족, 난쟁이족(어둠의 요정이라고도 하며 구더기들에서 태어났으며 이들이 사는 곳은 슈바르츠알펜), 요정족(알펜하임) 들의 발생과 정착, 장소의 형성 과정(미드가르트-아스가르트-우트가르트, 신들의 회의장소이자 우주목인 이그드라실은 물푸레나무), 세계창조 과정과 불화, 그리고 신들의 황혼을 이야기 축으로 전개된다.

 

로키가 신들을 배신하는 것은 프로메테우스를 연상시킨다. 로키가 토르(발데르)를 살해하기 위해 장님 회트에게 화살을 쏘게 하는데 그 화살이 토르의 심장을 맞추게 된다. 모든 사물들이 토르를 지키기 위해 계약을 맺었으나 겨우살이만이 그 계약을 듣지 못했는데 회트가 쏜 화살이 그 겨우살이 가지로 만든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 벌로 로키는 바위에 묶이고 이마 위에서는 독뱀이 침을 흘리고 있기 때문에 그 독으로 고통스러워하는 벌을 받게 된다. 그런데 로키의 아내 지긴의 역활이 재밌다. 지긴은 로키를 지켜주기 위해 그 옆에서 독뱀의 독을 그릇에 받는 벌을 자진해서 수행하게 된다. 로키의 무엇이 지긴으로 하여금 그를 지켜주게 해주었을까.

 

영웅들의 이야기는 이러한 신들의 황혼을 지나 지그프리트와 니벨룽엔의 보물의 주인 크림힐트의 만남, 브륀힐트와 지그프리트의 만남, 군터와 지그프리트의 만남을 축으로 해서 최후에는 하겐의 계락으로 지그프리트가 죽게 되고 이로 인해 훈족인 에첼왕의 부인이 된 크림힐트가 부르군트 사람들을 훈족의 나라에 초대함으로써 절정에 달한다. 물론 이 전쟁에서 크림힐트를 비롯해서 부르군트 사람들은 모두 죽는다. 다만 대장쟁이 뷜란트, 베른의 디트리히와 그의 스승인 힐데브란트만 살아남아 디트리히가 자신의 나라를 되찾는 과정이 전개된다.

 

독일 영웅서사시의 근간이 되었고 바그너의 오페라나 문학작품의 소재로도 고전이 된 '니벨룽엔의 반지'에 얽힌 이야기가 게르만 신화에 나오는 영웅들의 이야기를 근간으로 한 것이며 햄릿의 작품 또한 여기서 크게 다르지 않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신화가 이야기로 되어 구전되면서 각 시대의 전형적인 작품인 예술로 수용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 이집트 死者, 서규석 편저(문학동네, 1999)

책은 이집트 무덤에서 나온 파피루스의 상형문자를 해독한 18~19세기 대영박물관의 이집트 관련 학자들의 책을 바탕으로 편집한 것이다. 파피루스의 첫 문형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 따라 고대 이집트인의 관념세계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파피루스를 죽은 자의 명복을 비는 주문집으로 해석할 경우와 사후세계의 1인자인 오시리스에 대한 찬가로 해석하는 경우 각각 해석의 중위가 달라지게 된다. 파피루스는 대개 3개 본을 정본으로 삼으며 내용은 죽은 자들에 대한 심판, 신에 대한 경배, 죽은 자의 행위에 대한 사실과 부정고백, 양심의 무게를 재고 판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앞서 3개 본은 헬리오폴리스에서 곡식을 담당하는 궁정 서기인 아니와 그의 아내 투투본, 테베 관리자였던 후네페르본과 네브세니본이 있다. (재미있는 것 하나 영어 스펠링spelling의 원조가 아닐까 싶은데 이 파피루스(1~190)는 각 장이 주문으로 되어 있다는 점, 이 주문의 이집트어가 스펠spell이라 한다. 그러니까 스펠링은 상형문자로 시작하여 사후세계에서 영생을 얻기 위한 주문서로서 쓰여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사자의 서'의 원문은 키탑 알 마이아트kitab al mayyit'죽은 자가 반드시 몸에 지녀야 하는 책'으로 해석된다. 이는 원래 레우 누 페르 엠 후르reu nu pert em hru, '낮에 출현하는 '이라는 뜻인데 학자마다 이 'hru'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주문의 성격이 달라지기도 한다. 대체적인 해석은 파피루스의 내용은 태양선이 동쪽 바쿠bakhu에서 시작해 낮 동안 돌아다니다가 서쪽 마누manu로 들어간 다음 어둠의 시간이자 공간인 저승, 지하, 내세인 안체트 보트에서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이 안체트 보트에는 영겁의 집에 이르는 성채, 즉 아리트arit7~10개 있는데 이곳을 통과하려면 주문을 외우고 선악의 근원이자 도덕의 상징인 양심 심장 아브ab/ib를 저울로 재는 오시리스 법정에 서야 한다. 이 법정은 오시리스의 딸인 정의와 진리의 상징인 마아트maat의 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브의 무게는 아누비스가 관리하고 이것이 타조의 깃털보다 가볍거나 무거우면 먹보 괴물인 암무트ammut의 먹이가 된다. 반대로 저울이 움직이지 않으면 왼쪽에 있는 기록관인 토트에 의해 선포되어 심판관인 오시리스 앞으로 불려나가 천국에서 살 자격이 주어진다. 오시리스는 여기서 성인이며 부활을 통해 내세를 맡게 된 엘로힘, 즉 예수와 동격이다.

 

이집트의 신들은

아툼(nu) : 스스로 태어난 자, 신들의 신, 나일 강의 신, 폭포의 물

하토르hator : 질투, 전쟁의 신

ra : 최고의 신(라의 비밀 : "나는 새벽에는 카페라, 대낮에는 라, 오후 석양에는 하르마키스, 일몰에는 아툼이다.")

아툼과 하토르의 자식

shu : 하늘을 떠받들고 있는 기둥. 공기의 신

테프누트tefnut : 습기, 이슬의 신. 비라ra : 천상의 신, 최상의 신

누트nut : 누의 부인. 우주의 신.

게브 : 누의 정부. 지상의 신.

누트와 게브의 자식들

오시리스 : 곡물과 생산의 신-->내세의 신 (그리스의 디오니소스)

이시스 : 공예와 문화의 신

세트 : 악의 신

네프티스

오시리스와 이시스의 자식

호루스 : 지혜의 신

네프티스 : 이시스의 자매

 

세트가 오시리스를 상자에 넣어 나일강에 떠나보낸 후 이시스와 네프티스가 그를 찾아다니다 유복자 호루스를 보호하기 위해 나일강에 '떠다니는 섬'(마법의 섬) 주인인 우아치트uachit에게 도움을 청한다. 이 부분은 오디우스 신화에 나오는 '움직이는 바위'와 같은 모티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9. 몽골비사元朝秘史, 유원수 역주(사계절, 2004)

1~12권으로 이뤄진 몽골의 시조 징기스 카한의 영웅 일대기 서사. 한대에 번역된 책을 몽골어를 복원하면서 재번역했다고 함. 몽골의 비유적 표현들이 인상 깊었는데 특히 징기스 카한은 형제들을 죽이고 여행을 시작하면서 고난을 당할 때마다 조력자들을 만나게 되는데 그때마다 터져나오는 고원무립의 대사와 여행기에서 볼 수 있는 각 지역의 몽골식 속담들은 비슷한 듯 낯선 상징으로 다가온다. '나무꼬리'라는 이질적인 조합이 조롱으로 쓰였다 하는데 비슷한 속담이 뭐가 있을까. 영웅담보다는 낯설게하기의 충돌로 보면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그림자밖에는 다른 동무가 없고, 꼬리밖에는 다른 채찍이 없을 때"

"내가 늙어/높은 곳에 오르니/나도 옛것이 되었다"

"긴 것의 끝까지/깊은 것의 바닥까지"

"이빨 있는 뱀에게/부추김을 받아도/그 부추김에 빠지지 말자!/이빨로 입으로 확인하고 나서 믿자!"

"어금니가 있는 뱀에게/이간질당해도/이간에 속지 말자!/입으로 혀로 확인하고 나서 밎자!"

"코에서 연기가 나오도록/분명하게 얘기들 하자"

 

"갈색 대지가 흙 덩어리만할 때부터/바다로 들어가는 강이 개울만할 때부터 동무했습니다, 저는"

"기름(같이 부드러운) 마음이 굳어버리도록/(과 같이 부드러운) 심장이 엉켜버리도록"

"입으로만 죽인 것은/말에 실을 수가 없습니다/말로만 죽인 것은/그 가죽을 벗길 수가 없습니다"

"그들에게 나무꼬리를 붙여주자"(조롱하는 언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