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 No Country for Old Me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며칠 전 DVD로 영화를 다시 봤다. 작년에 미국에 오기 전 3월인가 2월에 직장 동료들이랑 본 기억이 나는데 당초에 뭘 본 건지 내용이 거의 기억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영화 자체가 좀 추상적이고 영화 말미에 잡혀야 할 범인이 잡히지도 않아서 그런가 일을 마친 후 뒤처리를 깨끗이 하지 못한 느낌이었다.  

다시 본 이 영화의 느낌을 한마디로 표현해 본다면, '한없이 작아지는 내 존재의 초라함'이 될 수 있겠다. 지금 내 심정으로 볼 때 이 한마디는 2가지 뜻을 담고 있다. 첫번째는 영화가 두말할 나위도 없이 역시 대단했다는 점, 두번째는 이 험한 혹은 험할 수도 있는 세상을 사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바싹 내 앞에 다가선 느낌이 들었다는 것이다.  

주인공인 르웰린은 죽음을 예감했음이 분명하다. 그러니 폭풍이 몰려오고 있는 텍사스 황량한 벌판에 버려둔 사람에게 '물'을 그 꼭두새벽에 가져다 주러 나가면서 이런 말을 했겠지.  
르웰린: 내가 만약 돌아오지 않으면 어머니께 사랑한다고 전해줘.(If I don't come back, tell mother I love her.)
칼라 : 당신 어머니는 돌아가셨어.(Your mother's dead, Lewellyn.) 
르웰린 : 그럼 그 땐 내가 말하지 뭐(Well then I'll tell her myself.)  

그럼에도 뭐에 홀린 듯 칼라를 친정으로 보내고 자기는 이 모텔, 저 모텔을 떠돈다. 이 영화는 내게 참으로 오랫동안 '최고'로 남아 있을 듯하다. 원래 코언 형제 영화를 좋아하는데 이런 위대한 영화를 내놓았으니 말이다. 그 중 가게 주인장인 초로의 남자와 동전던지기 내기를 하는 장면은 근래 최고의 긴장감이었다. 지금도 가게 주인의 표정과 목소리가 떠오른다.   



사냥하다가 우연히 거액의 돈가방을 챙긴 르웰린이나, 가게 주인장이나, 차량 통행이 거의 없는 찻길에서 앤톤을 도와주려다 피해를 당하는 사람이나 모두 살기 위한 그 모든 행위 혹은 말 따위는 애당초 필요없었을지도 모른다. 어찌됐든 앤톤은 자기가 원하는 바를 그들에게서 이끌어냈을 테니까.  

영화가 끝나갈 즈음 슬펐다. 뭔지 확실하게 다가오지는 않는데 슬프고 허무해서 텔레비전 앞을 뜰 수 없었다. 그리고, 지금 다시 보고 싶다. 아무래도 뒤늦게 이 영화에 중독된 것 같다.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이 영화를 보면서 다시 진지하게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임 낫 데어 - I'm Not Ther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돈 룩 백'의 한 장면
 

1달 반쯤 전 집에서 DVD로 '아임 낫 데어(나는 거기 없다)'를 봤다. 그리고 며칠 후 '돈 룩 백(뒤돌아보지 마라)'을 봤다. 그리고 다음날 다시 '아임 낫 데어'를 봤다. '돈 룩 백'은 밥 딜런이 출연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1967년 만들어졌으며 주로 1965년 밥 딜런의 영국 콘서트 투어를 다루고 있다.  

정말 정직하게 말해서 이 두 편의 영화를 보기 전에는 밥 딜런이 누군지 몰랐다. 물론 영화를 보기 전에도 밥 딜런의 이름을 알고 있었고, 앨범 1개를 갖고 있긴 했지만 누가 밥 딜런이 누구냐고 물어보면 할 말이 없었다. 그러나 이제 그의 음악이 정말 대단하다는 걸 말할 수 있다.  

'돈 룩 백'은 앞에서 말했듯 다큐멘터리 영화로, 실제 1960년대 중반의 밥 딜런을 볼 수 있었다. '아임 낫 데어' 역시 밥 딜런에 관한 영화지만, 6명의 배우가 연기한 7가지 밥 딜런의 모습은 정말 혼란스럽고 모호하기 짝이 없었다. 감독인 토드 헤인즈(Todd Haynes)는 관객에게 실체를 보여주지 않는다. 그러나 이 영화를 보는 사람들이 밥 딜런에 대해 아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 해도, 그의 음악이 훌륭하다는 걸 느낄 수 있다면 나는 그걸로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영화 끝무렵 기나긴 엔드 크레딧이 올라갈 때 나오는 3곡의 밥 딜런 노래는 마치 보상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왜냐하면 나는 이 이해하기 힘든 영화를 영어대사와 영어자막으로 130분 가까이 봤으니까 말이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라디오 DJ인 배철수는 이런 말을 했다. "미국의 대중음악은 모차르트나 바흐, 쇼팽의 것과 같다." 그가 의미하는 바는 미국의 대중음악을 듣는 것은 취사선택의 문제라기보다는 당연히 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현재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대중음악이 기원한 곳이 미국이니까 말이다. 나는 그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그리고 때로는 미국 사람들, 특히 자신의 음악을 하는 사람들(유명하든 아니든)이 부럽다. '아임 낫 데어' 사운드 트랙은 지난해 말 나를 위해 알라딘에서 주문했다.    


'아임 낫 데어'의 한 장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시 보고 싶은데 분명히 책장에 dvd가 있었던 것 같은데 안 보인다. 
샅샅이 살폈는데도 안 나오는 걸 보면, 누군가가 빌려갔거나 그도 아니면 원래 없었는데 내가 착각하고 있었던 거겠지. 

아, 젠장 다시 보고 싶다구. 
지금 갑자기 드는 생각. 블록버스터(대여점)에 가서 빌려 올까? 대여료가 얼마지? 
아무래도 그래야 할 것 같은...
사실 'Milk' 보러 가고 싶었는데 이노무 '노인...' 때문에 가고 싶은 마음도 안 생긴다.  

참, '그랜 토리노'는 개봉하면 보러들 가보세요.
영화 괜찮더군요. 감동적이고, 아무튼 좋았어요.
어떤 영화평에서는 이렇게 썼더군요.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마지막 출연작이 될 수도 있다." 어쩌구 저쩌구... 
'그랜 토리노'는 월트 코월스키(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소유하고 있는, 상당히 아끼는 1972년 포드에서 생산된 차 이름인데요. 미국인들이 제일 많이 타는 차는 포드가 아니예요. 포드의 클래식카를 갖고 있다고 해서 부러워하는 사람들도 없을 듯... 벤츠나 BMW라면 모를까. 아무튼 좀 재미있어요. 설정 자체가...   



지금 블록버스터로?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루(春) 2009-01-31 1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래 없었는데 있었던 걸로 착각했다는 걸 오늘 오후에야 알았다. 대여료가 비싸서 좀 그렇지만, 재미있게 다시 봤으니 그걸로 됐다. 무서워서 혼났다. 마치 처음 보는 것처럼 새로워서 내가 작년에 볼 때 뭘 본 건가 싶었다. 내일이나 언제 다시 보고 반납해야지.
 

대체 어떻게 되려고 이러는 건지... 대책을 내놓으면 뭐해? 효과? 전혀 없다.
그 와중에 난 '씨네21'에서 추천한 영화음악 목록을 보고야 말았다.

 

 

 

 

 

데어 윌 비 블러드(There will be Blood)
숏버스(Shortbus)
인투 더 와일드(into the wild)

  

 

 

 

 

컨트롤(Control)
아임 낫 데어(I'm not There)
마이 블루베리 나이츠(my blueberry nights), 이렇게 여섯편이다.

룸메들이랑 '닥터 스트레인지 러브'를 비롯한 3편의 dvd를 빌려와서 검색을 하다가 이 목록을 보고 만 것이다. 여섯편 중 '마이 블루베리 나이츠'는 확실히 봤고, 작년에 '숏버스'는 봤던가? 하나씩 dvd 빌려다 보고 음반은 사들여야 겠다.

아마존 음반값 너무 비싸다. 가격 좀 내려라. 크르릉~ 확 중고 사버릴까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 충동적으로(?) 하지만 정말 보고 싶어서 오후에 나가서 보고 왔다. 표 사려고 줄 서 있는 사람들이 많아서 상영관에 들어갔을 땐 '침묵은 금이다'라는 AMC의 캠페인 광고가 막 끝나고 영화가 시작하려는 찰나였다. 역시 코미디(게다가 블랙 코미디)는 이해하기가 좀 힘든 게 사실이다. 사람들 뒤에서 껄껄대며 웃는데 같이 웃을 수 없어서 슬프기도 했다. 언제 다 알아들을 수 있을까 싶어서... 그게 무슨 뜻이었는지 생각하느라 가끔은 한박자 늦게 웃기도 했다.

한국에서도 곧 개봉할 것 같은데... 여기선 9월 12일에 개봉했다. 출연 배우들이 모두 묘하게 얽혀 있고, 그 모든 걸 관리하려 드는 CIA가 그들의 뒤에 있다.

특이하게 생긴 배우로 내가 두 손가락에 꼽는(다른 하나는 스티브 부세미) 존 말코비치는 역시 대단했다. 그가 'Moron!'이라고 외칠 때마다 객석에서는 웃음이 터졌다. 프랜시스 맥도맨드가 조엘 코엔과 부부관계라는 걸 모르는 이는 거의 없을 테고... 프랜시스 맥도맨드가 울 때마다 어찌나 웃기던지... 그 주체할 수 없는 감정기복 어쩔 거야. 브래드 피트는 영화를 통해 정말 오랜만에 봤는데 이 사람 어떻게 이렇게 재미있어진 건지. 조연상 노려볼 만하지 않나 싶다. 출연진 중에 가장 짧게 등장하지만, 나에겐 존 말코비치 다음으로 강렬하게 다가온 배우였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같은 심각하고 무거운 주제로 한숨짓게 하더니 이렇게 사람을 배꼽 쥐고 웃게 만드는 코엔 형제를 나는 도저히 싫어할 수 없다. 엔드 크레딧 올라갈 때 나오는 CIA 어쩌구 하는 노래는 다 듣고 나오시길. 노래가 정말 웃기다. 그리고, 내 생각엔 'Pushing Daisies'의 패러디인 것 같은 'Coming Up Daisies'라는 영화가 영화 속에 등장한다. 또 하나 덧붙이자면, 내 룸메들이 요즘 열광하는 'Pushing Daisies' DVD 자막에 한국어가 있어서 놀랐다. 보통 미국에서 만드는 DVD에는 자막이 영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정도가 실리는데 웬걸...

아무튼 코엔 형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꼭 봐야 할 영화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ㅋㅋㅋ 아직도 웃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