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4 - 자연주의와 인상주의 영화의 시대, 개정2판 ㅣ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4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반성완 외 옮김 / 창비 / 2016년 2월
평점 :
<인상주의>
1880년 이후 자연주의는 서서히 쇠퇴하며 인상주의가 나타난다.
인상주의는 ˝도시적 양식˝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19세기 말의 도시에서는 기술의 발전으로 상품을 빠르게 만들어낼 수 있었으므로 오늘의 새것이 내일은 헌것이 된다. 하루가 다르게 쏟아져나오는 ˝새것˝ 때문에 물질적 자산에 대한 집착이 약해지고, 그 결과 정신적 자산에 대한 집착마저 희미해지게 된다. 따라서 순간적인 인상에 집착하는 예술 사조가 나타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상주의를 저자는 ˝동적 발전 경향의 정점˝이며, 정적 중세상의 완전한 해체라고 한다.
영속성과 지속성을 중세의 특성이라고 한다면, 그 대척점에 있는 것, 즉 순간성의 예술이 인상주의라는 것이다.
햇빛의 색이 모두 같은 색일까? 흰 벽지는 모두가 다 같은 흰색일까?
햇빛의 색이 새벽, 오전, 정오, 오후, 황혼에 모두 다르듯, 모든 것은 쉴 새 없이 변화하는 상태에 있고, 각 순간의 인상을 포착하는 것, 기억된 색채가 아닌 실제 색채(구체적 인상)를 포착하는 것. 그것이 인상주의다.
인상파가 보기에 모든 것은 일시적이며, 현실이란 존재가 아니라 생성, 결정된 상태가 아니라 움직이는 과정이다.
인상파는 지금 우리에게는 익숙하고, 가장 인기 있는 예술 사조 중 하나지만, 처음 나왔을 땐 엄청난 충격이었다고 한다. 인상주의 전시회에 간 사람들은 ‘조롱받는‘ 기분을 느끼며 화를 냈다고 한다.
마네, 모네, 고흐는 현재 우리가 가장 좋아하는 화가인데, 정작 그 당시에는 그리 환영받지 못했다니 놀라웠다. 어쩌면 난해하기로 악평 높은 현대 미술도 나중에는 자연스럽게 사랑받는 날이 오지 않을까?
<20세기 예술과 영화의 시대>
19세기 예술의 기틀이 1830년에 잡힌 것처럼 20세기 예술은 1920년에 기틀이 잡힌다. 즉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나서야 20세기 예술의 틀이 잡힌 것이다.
이 시기 예술 사조는 형식의 새로움을 극단적으로 추구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다.
다다이즘은 모든 클리셰에 대한 저항이다. ˝영원의 척도로 볼 때 모든 인간 행위는 쓸데없는 것˝이라는 다다이즘 선언문에서 엿볼 수 있듯이, 다다이즘은 예술의 포장이라 할 수 있는 형식을 파격적으로 파괴한다. 이른바 형식의 테러리즘이다.
큐비즘으로 유명한 피카소는 이러한 다다이즘의 정신을 가장 잘 표현한 작가이다. 항상 새로운 화법을 추구한 그는, 형식을 매번 새롭게 함으로써 형식의 자의성을 보여주었다. 예술이 단순히 자연의 모방이 아니라, ˝예술과 자연은 완전히 다른 두 개의 현상이다˝는 명제를 피카소를 보며 재확인할 수 있다. 즉 작품은 현실(자연)에 덧붙이는 주석일 뿐인 것이다.
초현실주의는 다다이즘에 자동기술법을 더함으로써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다. 살바도르 달리의 그림을 보면 꿈을 꾸는 듯한데, 이는 매너리즘 시기 그림과도 비슷한 몽환적인 느낌을 준다.
1929년 미국에서 대공황이 일어나고, 자본주의의 내적 모순으로 인해 체제가 무너질 거라는 두려움이 퍼지게 된다. 자본주의의 내적 모순을 해결한다는 명목으로 각 국가에서 사회주의(ex_볼셰비즘)와 파시즘(ex_나치)이 퍼지게 된다. 이 두 가지 사회체제의 공통점은 ˝기술중심주의˝이다.
예술에서 가장 기술적인 면이 강한 영화가 사회주의의 선전 도구로 쓰인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닐 것이다. 영화는 그림책처럼 이해하기 쉽고, 언제 어디서든 값싸게 즐길 수 있기에, 진정한 민중 예술로 거듭나게 된다.
연극과 영화는 비슷하지만, 영화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시간과 공간이 서로 비슷하게 쓰인다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몽타주 기법을 보면 여러 컷을 2~3초 단위로 짧게 잘라 보여줌으로써 시간과 공간이 혼재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이런 느낌은 연극에서는 절대 느낄 수 없으며 온전히 영화에서만 느낄 수 있다.
또한 영화는 운동, 속력, 속도를 묘사할 때 가장 영화답다. 어떤 연극도 영화만큼 액션신을 잘 표현하지는 못할 것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영화가 활동사진이며, 기술에 근원한 예술이기에 가능한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