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품


파치(破치) 버섯은 품절이다
그래서 '하'품 버섯을 주문했다
'하'라는 푸른색 매직이 선명한
스티로폼 뚜껑을 여는 순간
깜짝 놀랐다 버섯이 너무
좋았기 때문이다 파치에
익숙해진 사람의 비극이란
이런 것이다 '하'품에
만족하는 사람은 '상'품을 보고
놀라 자빠질 것이다 '상'품은
'하'품 보다 8천 원이 비싸다
엄마, '하'품 버섯이 이렇게나
좋아요 엄마의 하품이 이어진다
얘야, 잠이 오지 않는구나
엄마, 시를 읽는 사람이 없어요
얘야, 그렇다고 사람들을 욕할 수는
없잖니 하품의 시 하품의 독자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좋은 시


요새 잘 나가는
젊은 시인의
시집을 읽었다

A는
연애시만 줄구장창
가만 생각해 보니
연애시가 잘 팔려서
그런 거 같아
청춘의 독자들은
사랑을 짝사랑하니까

B는
달달한 감성의
국수 기계에서
시를 뽑아내더군

밥벌이의 고뇌
시 창작 교실에
손수 쓴 종이 카드까지
팔고 있어

자본주의 시대에
시인의 삶이란

매대에 글을 걸어놓고
애써 태연하려 하지만
궁핍함은 비참의 강으로
흐르고 무언가 팔 것을
궁리해야 하는
떠돌이 상인

가난이 뇌를 적시고
허영이 심장을 통과할 때
시인은 합격증을
받는다

삐딱하게 눈을 뜨며
똑바르게 걷지 않고
살짝 미친 사람이 되어
노래하자

그래,
오늘도 시를 쓰자
마침표가 없는
좋은 시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벽에 잠이 오지 않아서 TV를 틀었습니다. 오래된 한국 영화가 나오네요. 한형모 감독의 영화 '여사장(A Female Boss, 1959)'입니다. 한형모 감독은 전후 한국 영화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입니다. 그의 대표작 '운명의 손(1954)''자유부인(1956)'에는 해방 이후의 정치적, 문화적 배경에 대한 풍부한 묘사로 가득 차 있어요. '여사장(1959)'도 그 연장선상에 있는 작품으로 볼 수 있겠군요.

  이 영화는 원작 희곡이 있습니다. 원작자 김영수(1911-1977)는 일제 강점기를 거쳐 1950년대와 1960년대까지 희곡과 시나리오, TV 드라마까지 활발히 활동했습니다. 김영수는 해방 직후에 자신이 쓴 희곡을 공연할 극단을 만들었습니다. '여사장 요안나(1948)'도 그 시절에 쓴 희곡이지요. 이 희곡은 '김영수 희곡
·시나리오 선집 2(출판사 연극과 인간)'에 실려있습니다. 나는 '여사장' 영화를 보고, 원작이 궁금해서 책을 주문해 보았습니다. 2007년에 펴낸 책이라 혹시 절판되지 않았을까 걱정했지요. 그런데 아주 멀쩡한 새책으로 잘 받을 수 있었어요. 아마 잘 안팔렸을 거에요. 이런 책은 관련 전공자들이나 볼 법한 책이지요. 그래도 사명감을 가지고 책을 펴낸 출판사가 참으로 대단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원작에 대한 설명은 이쯤 해두지요.

  영화는 여사장 요안나가 공중전화 부스에서 용호와 우연히 만나는 장면에서부터 시작합니다. 화려한 양장 차림의 요안나(조미령 분)는 기다리는 뒷사람은 아랑곳하지 않고 길게 통화 중이지요. 짜증을 내던 뒷사람들이 하나둘 떠나고 용호만 남습니다. 용호는 요안나의 면전에 대고 싫은 소리를 하지요. 요안나가 용호를 무시하자, 용호는 요안나가 애지중지하는 강아지 마리오를 냅다 발로 차버립니다. 아주 고약한 첫 만남이지요? 대개의 로맨틱 코미디의 도입부가 그렇잖아요. 기분 나쁜 첫인상을 갖게된 남녀가 결국은 사랑에 빠지게 되지요. 요안나와 용호도 이후에 다시 만나게 됩니다.

  요안나는 '신여성사'라는 잡지사를 운영하고 있어요. 어엿한 여사장입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사장이면 사장이지, 여사장이라는 단어는 뭐냐고 할 수도 있겠지요. 그건 영화가 나온 그 시대가 1950년대라 그렇지요. 여성의 사회적 위상은 지금과는 확연히 달랐으니까요. 요안나는 그런 시대에 자기 회사를 꾸려나가고 있습니다. 사장만 여자가 아니라, 잡지사 편집국도 여인천하입니다. 허 주임(김희갑 분)은 여자 편집국장을 비롯해 여직원들에게 늘 구박당하는 신세에요. 그는 툭하면 잡지 기사 고쳐 쓰라고, 냄새 나는 반찬 좀 먹지 말라는 말을 듣고 살지요.      

  요안나는 자신이 펴내는 잡지 이름대로 '신여성(新女性)'입니다. 그 시대 사람들의 눈으로 본다면 과격한 페미니스트라고 할 수 있겠네요. 요안나는 회사의 여직원들에게 '연애 금지령'을 내립니다. 요안나에게 연애는 독립적인 여성의 자존감을 꺾는 일입니다. 여자가 사랑에 빠지면 그 시대의 봉건적 남자들에게 예속될 수밖에 없으니까요. 요안나는 당당하고 독립적인 여성의 삶을 살고 싶어하죠. 하지만 요안나의 현실은 그런 바람과는 좀 거리가 있어요.

  요안나의 잡지사는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거든요. 그런 요안나에게 돈 많은 오 사장(주선태 분)은 후원자를 자처합니다. 영화 속에서 오 사장이 독신으로 나오는 것과는 달리, 희곡에서 오 사장은 유부남으로 나옵니다. 오 사장은 어떻게든 돈으로 요안나를 얽어매려는 흑심을 지닌 사람이에요. 자신이 원하는 잡지를 펴내기 위해 요안나는 고군분투합니다. 그즈음, 용호가 요안나의 잡지사에 신입사원으로 들어옵니다.

  요안나는 용호에게 '두꺼비'라는 별명을 붙여줍니다. 그리고 맘놓고 그 별명을 불러대지요. '용호'라는 이름 대신에 '두꺼비'라고 불리는 그를 보고 있노라면, 좀 안쓰럽기까지 해요. 어쨌든 용호에게 요안나는 '사장님'입니다. 용호는 요안나를 상사로 깍듯이 대합니다. 요안나는 그런 용호의 순수함과 우직스러움에 조금씩 빠져들게 됩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여사장'은 오늘날의 여느 로맨틱 코미디 영화가 별로 다를 게 없어요. 하지만 영화는 시종일관 신여성, 페미니스트인 요안나가 자가당착에 빠지는 모습을 희화화해서 보여줍니다. 요안나는 자기 회사에 필요한 돈을 스스로 마련하지 못해요. 요안나는 오 사장의 호의에 기대어 편하게 돈을 빌리려고 하죠. 결국 요안나가 도움을 청하는 사람은 돈 많은 숙부입니다. 멋진 옷차림을 하고, 독립적인 여성의 삶을 외치지만 그건 다 껍데기처럼 보여요. 이점은 원작 희곡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요안나는 그 누구보다도 남자의 사랑을 갈구하는 외로운 여자입니다. 연애를 거부하고 남자를 적대시하는 요안나는 미성숙한 인간으로 묘사됩니다. 그런 면에서 원작자 김영수의 관점은 매우 전근대적이기도 하고요.

  영화는 여사장 요안나가 현모양처의 행복을 찾는 것으로 끝납니다. 요안나의 잡지사는 두꺼비에서 남편이 된 용호가 사장이지요. 이제 요안나는 양장이 아닌 한복을 입고서, 남편이 좋아하는 생선찌개를 끓여놓고 집에서 기다립니다. 그 전화를 받는 용호의 뒤편에는 '남존여비(男尊女卑)' 액자가 걸려있습니다. 여사장 요안나가 있을 때는 분명 그 액자에 '여존남비(女尊男卑)'가 박혀있었는데 말이지요. 그뿐만이 아닙니다. 뒷방 늙은이 취급이나 받던 허 주임은 편집국장 자리에 앉아 여직원에게 호통을 치지요. 영화의 이런 묘사는 일견 우스워 보이지만, 오늘날의 관객에게는 퇴행적인 가부장제의 반영일 뿐이죠.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원작 희곡이 영화의 결말과는 다르다는 겁니다. 희곡은 요안나와 용호가 함께 잡지사를 꾸려나가자는 상호 합의의 다짐으로 끝납니다. 그런데 영화 '여사장'은 그런 희곡의 결말을 사정없이 비틀어 버립니다. 거기엔 일말의 융통성도 없어요. 영화 '여사장'이 보여주는 제대로 된 여성은 남자의 사랑을 받는 여성이고, 집에서 살림을 하면서 행복을 찾는 여성이지요. 영화 속 여사장, 아니 이제는 평범한 주부가 되어버린 요안나는 정말 행복을 찾았을까요?

  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 '관객성'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영화가 상영된 1959년에 '여사장'을 본 여성 관객들은 과연 무슨 생각을 했을지 궁금해졌거든요. 그들은 진심으로 영화의 결말에 만족하며 집에 돌아갔을까요? 아니면, 여사장 요안나의 선택을 못마땅하게 여겼을까요? 분명한 건, 2024년의 여성 관객은 이 영화를 웃으면서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건 음, 그러니까 아주 흥미 있는 영화거든요. 영화 속 시대를 성찰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좋은 영화이기도 합니다.  


*사진 출처: kmdb.or.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양(飼養) 벌꿀의 사랑


그는 희고 마알간 얼굴에
가느다란 손을 가지고
있었어요
여자는 한눈에 그에게
반했지요

여자의 남편은
사양 벌꿀을 만듭니다
여자는 그런 남편이
부끄러웠어요
가짜 꿀이잖아요
그건 진짜가 아닌데

고운 그의 얼굴을
보다가 벌에 부어터진
흠집투성이의
남편을 보면
부아가 치밀어요

왜 저런 남자가
내 남편일까요
내 인생은
왜 이 모양일까요

사양 벌꿀은
여자의 젊음을
천천히 들이켰어요

진짜 사랑은
오지 않아요
가짜 꿀의
삶이 있을 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침입자


거실과 베란다에는 열댓 명의 청소부들이
있었다 소파에 앉아계시던 아버지께서
말씀하시길, 저 사람들 차 대접이라도
해 주려무나 나는 더러운 그들이 싫었다 엄마는
부엌에서 커피와 과자를 내왔다 걸신들린 것처럼
그들은 음식을 먹었고 내가 좋아하는 비싼 덴마크
쿠키를 엄마는 기꺼이 선물로 싸주었다 나는 엄마와
큰소리로 싸웠다 마침내 그들이 갔다

세 명의 늙은 여자들이 초인종을 눌렀다
집을 한번 봐야겠다고 하더니 신발도 벗지 않고
들어왔다 나비 모양의 안경을 쓴 푸른 염색 머리 여편네가
내 방에 왔다 나는 여자의 머리채를 휘어잡고는 현관까지
힘겹게 질질 끌어내었다

아픈 몸을 들쑤셔대는 불운은
입안의 모래처럼 굴러다니지만
도무지 뱉어낼 수가 없다 돌아가신 아버지는
기운 없는 자식을 대신해서 침입자들을
먹을 것으로 달래려고 아버지 아버지
마침내 독살스러운 늙은 년 셋을 쫓아냈답니다
이젠 병이 좀 나으려나 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