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잘 자요 엄마
마샤노먼 지음 / 예니 / 1992년 10월
평점 :
품절
* 샘 세퍼드의 『매장된 아이』와 마샤 노먼의 『잘자요 엄마』두 작품 모두 알라딘에서는 품절이군요. 도서관에서는 찾아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일본의 유명한 감독이며 배우이기도 한 기타노 다케시는 한 토크쇼에서 당신에게 가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자 이렇게 답했다. “누가 보지만 않는다면 내다버리고 싶다.” 가벼운 농담처럼 들리기도 하는 이 말은 한편으로는 개인에게 있어 가족의 존재가 갖는 무게감을 떠올리게 만든다. 1978년 샘 세퍼드가 발표한 『매장된 아이』와 1983년에 마샤 노먼이 쓴 『잘자요 엄마』에서 우리가 발견하는 것은 바로 그러한 가족에 대한 날카로운 성찰이다. 두 작품은 미국 가정이 겪고 있는 근본적 문제와 위기에 대해 잘 묘사하고 있다. 아마도 두 작품이 모두 퓰리처 상을 수상한 데에는 그 안에 미국 사회의 고민과 문제의식이 들어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과연 미국의 가정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매장된 아이』에서는 뒤뜰에 묻혀있는 매장된 아이가 문제가 된다. 근친상간에 의해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아이는 죽임을 당하고 땅 속에 묻히지만 가족들의 기억 속에서는 살아서 고통을 주는 존재이다. 『잘자요 엄마』에서는 자살을 결심하는 한 여성이 나온다. 어릴 때부터 간질 발작에 시달리고 있는 제시는 원하지 않은 결혼과 그로 인한 이혼, 아들의 비행, 홀로 남은 엄마의 뒤치다꺼리를 더 이상 감당할 수가 없다. 두 작품은 모두 미국의 가정이 병들어 있고 더 이상 희망을 찾을 수 없는 곳임을 선언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거기에 나온 가정의 모습이 미국 가정이 겪고 있는 근본적 위기라는 것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가 어디에 있을까?
샘 세퍼드는 그것을 서부라는 강력한 공간적 지형 속에서 구현해내고 있다. 서부는 미국의 국가적 정체성을 잘 드러내는 곳이다. 가진 것 없는 자들이 일구어낸 도시, 개척자들이 실현해낸 일확천금의 꿈, 가족과 종교로 강력하게 결합된 공동체, 이 모든 것이 서부 개척의 역사 속에 들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서부의 모습 이면에는 미국이 감추고 싶어하는 학살과 차별의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인디언 학살과 인종 차별과 같은 미국의 근원적 원죄가 마치 매장된 아이처럼 미국민의 기억 속에서 살아있다. 『매장된 아이』를 단지 한 가정에 일어난 비극으로만 보기 어려운 이유는 작품의 배경이 되는 서부라는 공간의 상징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아들에 의해 머리를 다 깎여버린 아버지, 과거의 추억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어머니, 정신을 놓아버린 큰 아들, 한쪽 다리를 잃은 작은 아들, 그런 가족 속에서 이상행동을 보이는 손자, 그들의 모습은 모두 병들어 있다. 매장된 아이가 있는 원죄의 대지가 키워낸 것은 기형적 가정이며, 그것은 샘 세퍼드가 바라본 미국의 가정이기도 하다.
마샤 노먼은 세퍼드가 보여준 상징성과는 다른 측면에서 사실적인 희곡의 언어로 미국의 가정을 그려낸다. 『잘자요 엄마』에서 제시가 어릴 적부터 앓고 있는 질병인 간질은 벗어나기 어려운 천형(天刑)처럼 묘사된다. 간질 치료약조차 제시에게 희망을 주지 못한다. 제시의 간질은 제시가 자살을 결심하게 되는 가장 큰 요인이 되는데 바로 그 병 때문에 제시는 자신의 삶에 있어서의 통제력을 갖지 못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살은 제시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삶에 대한 온전한 통제력을 가지려는 시도가 된다. 그 무엇도 제시의 자살을 막아내지 못한다. 그런 점에서 그녀의 가정은 치유와 희망을 줄 수 있는 곳이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가정의 모습은 미국의 가정이 겪고 있는 문제와도 맞닿아 있다. 병들고 고통받는 개인에게 가정이 더 이상 위안과 사랑을 주는 삶의 근거가 되어주지 못하는 것이다. 이혼율의 증가, 마약과 약물중독, 성문제, 빈부 격차로 인한 하층계급 가정의 붕괴와 같은 현상은 이미 1970년대 후반부터 미국 사회의 문제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잘자요 엄마』에서 제시는 총으로 자살을 하는데, 이것은 오늘날 미국 사회에서 첨예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총기 소지문제와도 일면 맞닿아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미국의 가정은 그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원적 동력이 되지 못하고 무기력한 모습을 보여줄 뿐이다.
『잘자요 엄마』는 치밀한 극적 구성과 놀라운 흡인력을 보여주는 작품이지만, 그 안에 내재된 윤리적인 딜레마는 우리를 매우 곤혹스럽게 만든다. 자살을 한 개인, 또는 가정의 문제로만 볼 수 있는가? 사회는 그에 대해 아무런 책임이 없는가? 마샤 노먼은 미국 사회를 향해 마치 그러한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샘 세퍼드와 마샤 노먼은 『매장된 아이』와 『잘자요 엄마』를 통해 병들어 신음하고 있는 미국 가정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과연 위기에 처한 미국의 가정을 구해낼 방법은 있는가? 작가는 침묵한다. 답은 찾는 이들의 몫이다. 어쩌면 작가란 그렇게 답을 찾는 이들에게 한 자락 빛을 던져주는 존재일런지도 모른다. 세퍼드와 노먼은 그러한 작가의 전형성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