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쯤 가르치던 학생 중에 '햇님'이란 아이가 있었습니다.

근데, 한글 맞춤법에서는 '해 + -님'이란 단어는 '-님'이란 접미사가 붙은 것으로 보아 파생어로 본답니다.

파생어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거든요.

그래서 내가 "너는 이름부터가 글러먹었구나~." 하고 장난을 걸었더니,

이 여학생은 삐치고, 아이들이 "햇님이 엄마 국어 샘인데요~." 그랬어요.

순간, 위기를 모면해야겠고, 햇님이와 그 엄마도 구조해야 해서,

"햇님아, 너 몇 년 생이니?" 하고 물었더니, 1987년 생이랍니다. ㅋ~

1988년에 맞춤법이 변경되었고, 1989년 개정된 한글 맞춤법이 사용되었거든요.

다행히 햇님이는 삐치지 않았고, 다음 해 우리반에 되어 저랑 무지 친하게 지냈답니다.

 

사이시옷을 쓰는 경우, 이거 참 복잡한데요~

 

원칙 1. 한자어 + 한자어의 합성어에는 쓰지 않습니다.

 

초점(촛점 아닙니다.)

제상, 제사상(젯상, 제삿상 아닙니다.)

치과, 소아과, 외과, 내과(칫과, 소앗과, 욋과, 냇과... 다 틀린 말)

 

원칙 2. 뒷말이 '된소리'로 나는 '합성어'일 때 사이시옷을 씁니다.

 

꼭지점[꼭찌쩜/꼭찓쩜]으로 소리나니깐 '꼭짓점'으로 써야 하고,

등교길[등교낄/등굗낄]로 소리나니깐 '등굣길'로 써야합니다.

 

횟집, 장밋빛, 무지갯빛, 연둣빛, 부챗살, 순댓국, 최솟값, 최댓값, 기댓값, 상댓값, 뭇국...

 

원칙 3. 사이에 'ㄴ' 소리가 하나 덧나거나 둘 덧나는 '합성어'일 때 씁니다.

 

코 + 날 [코 ㄴ 날], 비 + 물 [비 ㄴ 물] 이렇게 ㄴ 소리가 덧나면, '콧날', '빗물' 이렇게 적구요.

아래 + 이 [아랜니], 위 + 이 [윈니] 이렇게 ㄴㄴ 소리가 덧나면 '아랫니', '윗니' 이렇게 적습니다.

 

잠깐, 여기서 사람들이 잘 틀리는 것!

 

뒤 + 쪽 [뒤쪽]으로 된소리로 발음되는데, 원래 된소리잖아요?

'뒤족'에서 온 말 아니잖아요. ㅋ~ 그럼 사이시옷 안 붙이죠. ^^ 뒤쪽~

뒤 + 통수 역시 마찬가지랍니다. 된소리로 나지 않으니, 그냥 '뒤통수'가 맞죠.

그럼, '뒤 + 편'은 어떨까요? 된소리가 나지 않으니 그냥 '뒤편'이라고 하면 되겠죠?

 

시험에 잘 나던 말~

'수 + 꿩'은 수꿩, 숫꿩, 수퀑~ 어떤 걸까요? 쉽죠? 원래 된소리였으니, 사이시옷 없어야죠?  수꿩~이 정답.

 

마지막, 이상한 예외 원칙 ㅋ~(데얼이즈 노 룰 밧 해즈 익셉션즈 ~ 예외 없는 법칙 없다~)

 

다음의 여섯 가지는 한자어의 결합이지만, 사이시옷을 쓰는 걸로 정했답니다.

 

찻간(차타고 갈 때)에서 화장실이 가고 싶었는디, 우리집은 가난했어요.

셋방살이여서, 화장실이 후미진 곳에 있었죠. 어쩔 수 없이, 주인집 마루 옆...

툇간(툇마루처럼 이어낸 공간) 건너편에 있는,

곳간(광, 창고로 쓰인 곳이죠?)에 가서 그만 볼일을 보고 말았어요. 이런 비리를 저지른

횟수(회수~는 거두어 들인단 뜻일 때 씁니다.)가

숫자를 헤아릴 수 없이 많답니다. ㅋ~

 

자, '개수'가 맞을까요? '갯수'가 맞을까요?

개(箇) + 수(數)는 한자어로 된 합성어인데, 위의 '예외 조항'에 없으니 '개수'가 맞죠. ^^

 

골이 빠개지게 어렵다구요? ㅋ~

헷갈리면 국어 사전 찾아보시랬죠?

 

한가위 잘 보내시길~~~


댓글(8) 먼댓글(1)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북극곰 2012-09-28 09: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나씩 요렇게 정리하니 재밌네요.

한가위 잘 보내세요, 글샘님~
저는 내일 부산으로... 10시간쯤 걸리려나요? ㅠ..ㅠ

글샘 2012-09-28 09:50   좋아요 0 | URL
넘 복잡하지 않나요? 재밌다니... 다행입니다만...
아~ 부산으로 오시는군여~ ㅋ~ 제가 안 바쁨 커피라고 한잔 하자고 꾀어보겠구만~
이번 추석엔 눈 꼭 감고 해야할 일이 있어서... ^^ 추석 잘 쇠고 올라가세요~

saint236 2012-09-28 1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문법보다는 데얼이즈 노 룰 '밧'에....처음 영어 배울 때 저렇게 했던 기억이...

글샘 2012-09-28 14:02   좋아요 0 | URL
ㅎㅎ 저런 발음에 익숙하시군요.
저는 저런 영어밖에 못한다는...

순오기 2012-09-28 1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숲해설 동기생 중에 닉을 '햇님'으로 쓰는 이가 있어 '해님'으로 써야된다고 설명했는데 그냥 '햇님'으로 쓰더군요.
알아도 고치기 싫다는 건 고집이겠죠.ㅋㅋ
맞춤법 교실 잘 보고 있어요, 틀리지 않도록 기억해야겠어요.
11월 11일인가, 초등단짝 딸 결혼식 있어 부산 가는데 글샘님을 볼 수 있으려나...^^
명절 잘 보내시고요!

글샘 2012-09-28 14:04   좋아요 0 | URL
고유명사니깐, '순오기'랑 같은 원리라 보면 되겠죠? ㅋ~
맞춤법도 고유명사를 넘볼 순 없거든요. 세상에 하나뿐인 내 이름이라는데 뭐~
'각하'도 특별한 그분에겐 '가카'가 더 어울리듯 말입니다.

빼빼로 데이에요? 빼빼로 하나 사오시면 제가 기다려 보구요. ㅎㅎ
추석 잘 쇠세요~

아무개 2012-09-28 15: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칙2에 해당되는건 대부분 틀리게 쓰고 있었군요. 어허라디야~

비가 갑자기 많이 쏟아져서 깜 짝! 놀랬어요. 부산도 비가 많이 왔나요?
무탈하고 즐거운 명절 보내시길 바랍니다^^


글샘 2012-10-03 21:47   좋아요 0 | URL
저도 몰라서 공부를 열심히 하는 사람 중 하나입니다.

자세히 설명하는 건, 제가 헷갈리는 것들이라 보시면 돼요. ^^
여긴 비는 저~언혀 인데요.. 추석 잘 쇠셨죠?
 

시장에서 싼 물건을 운좋게 샀을 때~

"그 물건 참 [헐케] 주고 잘 샀다."고 합니다.

[헐케]를 어떻게 써야 할까요?

 

1. 헐케(이건 좀 아닌 거 같죠?)

2. 헗게(이것도 모양새가 영 아니죠? ㅋ)

3. 헗케(ㅎ뒤에서 거센소리가 적히니 좀 이상하구요.)

4. 헐하게(이러면 좀 안심이 되는데, 발음은 헐케~이니... --;)

 

기본형은 '헗다'입니다.

그리고 어미 '-게'가 붙으면 2번 '헗게' 주고 샀다는 말이 옳겠지요.

 

그런데 이 단어는 좀 오묘한 쓰임이 있습니다.

사전을 찾아보자구요.

 

헗다1  [헐타] 형용사】(1) (값이)시세보다 싸다. 본말 헐하다 (歇--)

                                (2) (일 따위가)생각한 것보다 힘이 덜 들어 어렵지 않다. 본말 헐하다 (歇--)

                                (3) (처벌 따위가)죄에 비하여 무겁지 않다. 본말 헐하다 (歇--)

 

<어법 설명>

‘헗다’는 ‘헐하다’가 줄어든 말이다.

그런데 본말이 줄어서 받침을 갖게 된 준말은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붙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물건은 가격도 헗고 질도 나쁘다’는 가능해도

‘노동자들은 임금이 헗어서 고통스럽다’나

‘옷이 보기보다 값이 헗으니 다행이다’처럼 써서는 안 된다.

 이때는 본말의 활용형인 ‘노동자들은 임금이 헐해서 고통스럽다’나

‘옷이 보기보다 값이 헐하니 다행이다’로 써야 한다.

그러니깐, 헗고, 헗게~는 쓸 수 있지만, 헗어서, 헗으니는 쓰지 않는단 말이네요.

헐해서, 헐하니~로 활용하여 써야 맞답니다. ^^

 

 

 


댓글(8)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북극곰 2012-09-19 16: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좋습니다. 맞춤법 교실~!
종종 확인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글샘 2012-09-26 15:39   좋아요 0 | URL
이 교실은 가끔 열리니, 국어 사전을 찾아 보세요~ ㅋ

다크아이즈 2012-09-20 1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우, 대박 건집니다.
헗다, 라는 말 우리 엄마가 많이 쓰는데,
사전에도 안 나오는 갱상도 일부 사람만 쓰는 단언 줄 알았다는...
따라서 기본꼴이고 뭐고 이런 건 꿈도 안 꿨다는...

애용하는 낱말이 되도록 해볼게요. 꾸벅~

글샘 2012-09-26 15:40   좋아요 0 | URL
헗게 치이는~ 값이 헐해도~ 이건 갱상도 말고도 전국적으로 쓰이는 말일 거예요.
맞춤법이 쉽지 않죠. ^^
좀 입말 같은 느낌이 강한 말이죠.

댈러웨이 2012-09-20 15: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님, '헐값'이라는 표현은 많이 써봐서 알겠는데, '헗다', '헐하다' 이런 표현들을 쓰기도 하네요. 글샘님의 맞춤법 교실 잘 보고 있어요. 고맙습니다. 요즘은 맞춤법도 맞춤법이지만 띄어쓰기 때문에 페이퍼 쓸 때 고역이에요. 국어 이렇게 어려우면 세종대왕님의 뜻을 좀 거스르는 게 아닐지... =33333

글샘 2012-09-26 15:41   좋아요 0 | URL
세종땐 맞춤법 없었어요. ㅋ~ 보조적 표기 수단이었죠.
띄어쓰기도 '한글 2007' 이런 데 적어 보면 틀린 데 밑줄 그어지고 하던데요~ ^^

댈러웨이 2012-09-27 16:40   좋아요 0 | URL
킹 세종은 말이 그렇다는 얘기였어요. 국어 어렵다는 얘기를 하고 싶었는데 전달이 이상하게 됐군요. 추석이네요, 글샘님. 잘 보내세요.

글샘 2012-09-27 23:15   좋아요 0 | URL
한글 맞춤법 어려운 거 맞아요.
근데, 이렇게라도 자꾸 만나다 보면, 익숙해 지거든요.
그래서 일부러 자꾸 글을 올리는 거겠죠.
댈러웨이 님도 즐거운 추석 보내시길..
 

 글을 쓰다 보면, 입말로는 잘 쓰는데 막상 글자로 쓰려면 머릿속에서 물음표가 뱅글거리는 말들이 있습니다.

 

"글쎄, 그 사람이 그런 짓을 했다잖니? 세상에 믿을 사람 없다더니, 그 말이 꼭 맞아."

"혹시 그러다가 (애먼/엄한) 사람 잡는 거 아닌지 모르겠어. 난 그게 걱정이야."

 

이런 상황에 알맞은 표현은 뭘까요?

'엄한 사람'이라고 적었다가, '무서운'의 뜻이 떠올라서 다시 '애먼 사람'이라고 고쳐 보면 또 글자가 낯설죠.

그럴 때, 국어 사전 찾아 보기로 했죠?

 

애먼 [관형사] 일의 결과가 다르게 돌아가 억울하게 느껴지는

   예) 애먼 짓 할 생각 말고~, 애먼 사람 잡지 말고~

 

'애먼'이 맞았네요.

 

국어를 가르치고, 맞춤법을 계속 연구하는 저로서도, 어려운 맞춤법은 얼마든지 있답니다.

하나 더 볼까요?

 

"어휴, 그 사람 말은 (당췌/ 당최) 믿을 수가 있어야 말이지."

역시 사전을 찾아 보면 쉽죠. ^^

 

당최 [부사] 처음부터 도무지

 

<다음 국어사전>에 이런 설명도 붙어 있네요.

 

당최당초 준말이다. ‘당초 한자어 본래 일이 생기기 시작한 처음 가리킨다.

당최일이 생기기 시작한 처음이라는 으로, 주로 부정의 갖는도무지, 등과 어울려 쓰인다.

 ‘당초()’ 비슷한 으로일의 처음 가리키는애당초(-)’ 있으며

말은 입말에서애시당초(애시-)’ 쓰는 일도 많으나 비표준어이다.

 

아, 애시당초~는 표준어가 아니었군요.

 

오늘 배운 것, 외워 두세요?

 

애먼 짓 하지 말고, 애먼 사람 애 먹이지 말고, 당최 이해가 안 되는 데 속 썩이지 말고, ㅋ~

재밌게 살자구요~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무개 2012-09-12 08: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시 당췌로 쓰고 있었네요.
오늘도 감사의 인사를 꾸벅~ (--)(__)(--)v

글샘 2012-09-13 08:15   좋아요 0 | URL
그쵸? 헷갈리는 건 누구나 헷갈리걸랑요. ㅋ~

다크아이즈 2012-09-12 23: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애시당초, 라고 쓰면 한글 워드에 시뻘건 밑줄이 쳐지겠지요?
에브리데이 감사. 하지만 저는 맞춤법보다는 문장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인임을 또 어필합니다.
아무래도 '글샘의 문장강화'는 포기하는 게 낫겠지요? 크~

글샘 2012-09-13 08:16   좋아요 0 | URL
제가 실험해봤더니, 정말 밑줄이 쳐지더군요. ㅎㅎ
문장 강화는... 작가들이 하는 거죠~
느와르 님이 해보심 어떨까요? ㅋ

순오기 2012-09-13 06: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당최~ 잊지 않을게요.
'하지 않고'와 '안하다'도 많이 틀리는데 언제 가르쳐주세요!^^

2012-09-13 06: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글샘 2012-09-13 08:18   좋아요 0 | URL
'하지 않다'와 '안 하다'는 다음 기회에~ ^^
제 이름 틀리게 쓰인 적 많은데요 뭐~
백일장 심사 갔는데 틀리게 적어놨던 적도 있고~ ㅋ~
그냥 모른체 하고 왔더랬죠. ^^ 수당은 그대로 나오니깐~ ㅎㅎㅎ
첨엔 그렇게 틀리기도 하고 해야 추억에 남죠~ 다음엔 덕분에 더 깔끔한 회보가~

페크pek0501 2012-09-16 14: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애먼, 당최...

제가 중학생들을 상대로 받아쓰기를 한 적이 있는데, 이걸 맞춘 학생이 드물더군요.
깨제제하다 꾀재재하다 꾀죄죄하다 꾀제제하다 께재재하다 깨재재하다 - 이중에 맞춤법이 맞는 답이 있어요.
옷차림 같은 게 지저분할 때 쓰는 말이죠.
글샘 님은 아시리라... 저도 학생들처럼 헷갈렸어요. ㅋ

글샘 2012-09-16 18:46   좋아요 0 | URL
애먼, 당최...는 어른도 맞히기 어려운 거죠. ㅋ~

맞춘 학생... 맞힌 학생으로 써야죠~ ㅎㅎㅎ

꾀죄죄하다...는 참 맞춤법도 꾀죄죄 하죠?

페크pek0501 2012-09-17 13:54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ㅋㅋ 들켰다.
맞춤법이라고 쓰다보니 '맞춘'이라고 쓰게 된 거예요.
사실은 이것보다 더 쉬운 낱말도 헷갈려서, 글을 쓸 때 사전을 찾아보며 쓴답니다. ^^
 

1박2일을 보는데,

"이 대게가요, 저 읍내에서부터 공수해온 거예요."

 

음... 산골짜기라서 '공수'해 왔구나...

흔히, 힘들게 가져온 경우 '공수'해왔다는 말을 쓴다.

 

공수 부대와 이 '공수'는 같다.

 

공수(空輸, 빌 공, 실어낼 수) : 비행기나 헬리콥터 등 공중으로 수송함

 

아무리 힘든 길을 배로, 자동차로, 기차로 이동했더라도, <공수>해 왔다고 쓰는 건 아님.

 

또 하나, 흔히 재주있는 사람을 칭찬할 때

 

"저 친구, 우리 부서의 재원이야, 완전 엘리트 사원이라고~."

이렇게 말하는데,

 

재원(才媛, 재주 재, 미녀 원) : 재주가 뛰어난 여자

 

남자에게는 쓸 수 없는 말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크아이즈 2012-09-02 21: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한자의 의미를 생각하지 않고 흔히 쓰이니 힘들게 가져온 건 다 공순줄 알았습니다.
글샘님의 강좌는 주욱 계속됩니다. (내 멋대로~~)
정말 유익한 강좌지요^^

글샘 2012-09-03 01:35   좋아요 0 | URL
ㅋ 문제는 아무리 유익한 걸 말해도 듣는 이가 소중하게 여기느냐 아니냐 거든요. ㅎㅎ
저도 내 멋대로 할 겁니다. ^^
제가 맞춤법에 관심을 가진 건, 어려워서... 저도 잘 몰라서예요.
모르는 채로 계속 가긴 싫더라구요. ㅋ~

아무개 2012-09-03 08: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

글샘 2012-09-03 16:25   좋아요 0 | URL
음, 수강료 내세요~ ㅎㅎ

아무개 2012-09-04 10:23   좋아요 0 | URL
오호~
ㅋㅋ
 

표준어와 한글 맞춤법을 체계적으로 공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중고생이나 글쓰는 일이 직업인 사람이라면 체계적 문법 공부가 도움이 되겠지만,

일반인은 부딪힐 때마다 자꾸 생각하고 익혀두는 일이 도움이 되겠지요.

 

경제적 형편이 조금 나아지면서, 웰-빙 열풍이 일었습니다.

Well-being이라고 하면,

건강도 생각하면서 환경도 따져 보고 삶의 질을 고려하며 행복하게 살자는 의도가 담겨 있을 겁니다.

 

그런데,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왜 그렇게 공부만 시키려 드는 걸까요?

과연 공부에 찌들려 노란 승합차에 쳇바퀴를 도는 아이들이 행복한 웰빙에 가까이 가고 있을까요?

 

'잘살다'는 사전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동사] 부유하게 살다.

이렇죠. IMF 이후로 '부자 되세요~.'처럼 네 가지 없는 말이 덕담을 대신하고 있죠.

 

'잘 살다'는 '살다'라는 동사가 부사 '잘'과 결합한 말입니다.

그야말로 웰빙이겠죠?

 

전우익 할아버지 돌아가신 지 벌써 8년 됐네요.

그 할아버지 책 중에 이런 책이 있었어요.

 

 

 

 

 

 

 

 

 

 

 

 

 

 

이상하죠? '잘 살믄' 좋은 거죠. ㅋ~

'잘살믄' 이렇게 시비를 걸어야죠.

혼자 부자돼서 뭐하게? 이런 말이지, 혼자라도 '잘 살면' 행복을 빌어 줘야죠?

 

할아버지는 '잘살지'는 못했지만,

'잘 사신' 어른의 표본이니까요.

 

그럼, 이건 어떤가요?

옛날이야기의 끝 부분, "행복하게 잘 살았답니다~."

당연히 부자가 되는 게 아니니, 띄어 써야 옳겠죠?

 

거꾸로, '못살다, 못 살다, 못살게 굴다'는 어떨지... 따져보면 쉽게 이해 가시겠죠?

흥부는 가난했어요. 가난한 것은, 붙여 쓰는 '못산다'죠.(반대말이 '산다'가 아니니까 말입니다.)

금붕어를 어항에 기르려했는데 그만 골골하다가 사망했을 땐, '못 살았죠?'(반대가 '살았다'니까요.)

못 견디게 만들 때, '못살게 굴다'라고 해야죠? ('살게 굴다'는 없으니까요.)

 

하나의 단어로 변화된 뜻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못'이나 '잘'이 부사어로 '살다'를 꾸며주는 것인지 생각해 보면 됩니다.

 

이건, 시험 문제~ ^^

 

잘생긴 친구/ 잘 생긴 친구

못생긴 동생/ 못 생긴 동생

 

반대말이 '못생긴'이라면 앞의 것이, '생긴'이라면 뒤의 것이 답이겠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