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중국 역사에서는 18세기 청나라 시절부터 경제를 성장시키고 국가의 세입을 늘리며 제국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가 개인 기업가를 이용하는 것이 반복되어왔습니다. 동시에 민간 상인들이 지나치게 영향력을 보유하거나 강력해지민 국가는 이들을 우려해 탄압하기 시작했습니다. 심지어 국가가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거나 그들을 구속시키기도 했습니다.
우리는 현재 일종의 이 역사가 반복되고 있는 것을 목도하고 있습니다. 경제성장의 초기 단계에서 중국 국가는 외국 기업을 포함해 민간 기업을 이용하면서 중국의 국가 권리이 해외로 투사하는 것을 지원했습니다. 그러나 특히 경제 침체와 더불어 이 기업들이 지나치게 거대해지면, 국가는 개인 기업가들을 단속할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 P1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비 비중의 실망스러운 성장은 불평등 심화의 결과였다. 장기간의 수출 호황 동안 평균 가계소득은 전체 경제보다 훨씬 더 느린 속도로 증가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경제에 의해 창출된 새로운 소득의 대부분이 노동자들에게 임금과 급여로 지급되는 대신 정부와 기타 기업으로 돌아갔다는 것이다. 소비가 늘어나는 대신 그 힘여는 더 많은 투자와 더 많은 생산으로 재투자되었다. - P151

2008년 이후 민간 및 해외 기업에 대한 압박은 점점 더 분명해졌다.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경제성장이 얼어붙으면서 후진타오가 공포한 새로운 반독점법은 국유기업보다 민간기업과 외국 기업에 훨씬 더 강력하게 적용되었다. 확실히 국유 기업의 많은 당 간부는 엘리트 내부의 갈등 속에서 ‘반부패‘라는 명목으로 숙청되었다. 그러나 국유 부문이 통산이나 에너지와 같은 핵심 독점의 분산임에도 불구하고 반독점법은 국유기업의 특권을 거의 건드리지 않았다. 반대로 반부패 운동을 명목으로 개인 재산을 몰수하는 것은 일상화되었다. - P1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의 다른 개발도상국으로의 자본 수출은 중국 국내 정치경제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이 지역에 중국의 진출이 미친 영향은 다양하다. 중국은 개발도상국들에게 상품 수출을 위한 새롭고 확대되는 시장 및 자본의 원천으로서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많은 개발도상국에게 종속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 - P108

아시아를 비롯해 그 너머까지 중국의 경제적 힘이 늘어나면 베이징 당국은 자연스럽게 경제적 영향력을 활용해 지정학적 영향력을 높이려고 할 것이다. 중국이 아시아 이웃 국가들을 상대로 행동하는 방식은 중국이 다른 지역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할 것인지를 보여주는 전조일 수 있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베이징 당국의 국가주의적 경제 정책의 중심 목표는 미국을 희생양으로 중국의 기술 고도화를 달성하는 것이었다. 이 야심은 2015년 발표한 ‘중국 제조 2025‘ 정책에서 완전히 드러났다. - P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클린턴 행정부의 첫해에 워싱턴의 외교 정책 엘리트들은 중국의 인권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 무역을 우선시했다. 중국공산당과 국가는 가장 강력한 미국 기업 중 일부를 자신들의 ‘대리 로비스트‘가 되도록 동원해 미국 정책을 흔들었고, 민주당 정부가 정치적 자유화보다 중국과의 자유무역을 우선시하도록 만들었다. 사후 정당화로 클린턴 행정부는 중국과의 자유무역이 중국의 민간기업과 중산층에 힘을 실어줄 수 있고, 이는 결국 정치적 자유화의 추진으로 이어진다는 ‘건설적 관여‘ 이론을 내세웠다. 어쨌든 중국은 자신의 권위주의적 입당 통치에 손상을 입지 않고 미국 주도의 세계 자유무역 질서에 성공적으로 스스로를 초대했다. 중국의 MFN 지위와 인권 문제 연계 조치를 해제시킨 것은 미중무역 자유화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세계 최대 소비국으로서 미국의 세계 자유무역 수용과 세계 최대 수출국으로서 중국의 세계 무역 체제로의 통합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해왔다. - P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