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밑줄

1972-73년(『이탈리아에서의 라캉』 외)에는 다시금 현대적인 자본주의 분석이 시도되어 새로이 다섯 번째 디스쿠르인 ‘자본주의 디스쿠르‘가 추가된다. 뒤에서 설명하겠지만 ‘+1‘로 추가된 이디스쿠르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 또한거기에서 귀결되는 "자본주의 속의 불만"(Sauret 2009) 혹은 현대적인 ‘우울‘의 문제에 접근하는 하나의 관점을 제시해 준다.
그렇다면 라캉이 말하는 ‘디스쿠르‘란 도대체 무엇일까? 라캉은 "모든 주체의 결정, 그리고 사고의 결정은 디스쿠르에 의존한다"(S17, 178)고 말한다. 결국 그는 이 술어를 사용하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것, 다시 말해서 언어(langage, 언어 활동)의 실천"(S17,239)이 무엇인지를 밝혀내려 하고 있다.
하지만 디스쿠르 이론은 사회학에서 담화discours 분석처럼 각각의 인간이 어떤 식으로 말하고 있는가(실제로 언어가 사용되는 방법)만을 문제 삼지는 않는다. 라캉이 디스쿠르라는 술어를 사용하여 논하려고 한 것은 그저 실제의 발화만이 아니라 교육이나 경제 활동 또는 다른 상징적 행위, 더 나아가서는 (타자를 향한) 신경증자가 가진 증상의 모습이기도 하다. 이 모두가 언어를 사용하여타자와 어떠한 방식으로 관련을 맺으려고 하는 것이기에 디스쿠 - P88

르란 개인을 사회에 연결시키는 사회적 유대lien social이기도 하다(S19. 42/S20, 21). 라캉은 이러한 광의의 언어활동이 진리나 지식과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다양한 주체를 사회 안에서 어떤 식으로위치시킬 수 있는지를 문제시하고 있다.
오해를 감수하고 말한다면, 라캉의 디스쿠르 이론은 정신분석을 사회에 응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리라. 실제로 ‘68년 5월‘에 학생운동이 확산되면서 노동자가 일제히 파업을 일으켰을 때 소르본 대학의 칠판에 "구조는 거리를 행진하지 않는다"라는 말이 쓰여 있었다는 사실이 상징하듯이, 이 시기의 사상가들은 실제 사회나 정치 상황에 관하여 어떤 식으로든지 태도를 표명해야 한다는 요구를 받고 있었다. 1968년 11월에 개강한 세미나 어떤 타자로부터 타자로』, 그리고 이듬해의 세미나인 『정신분석의 이면』은 ‘68년 5월‘에 대한 라캉 나름의 대답이라는 측면도 있는 셈이다. - P89

여기서 라캉은 마르크스의 잉여가치론을 자신의 용어를 사용하여 바꾸어 읽고 있다. 주체(S)가 노동시장(상징계)에 참여하기위해서는 학력이나 체력을 어필함으로써 자신(S)을 노동자라는사용가치(S)로 나타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노동자로서의 사용가치(S)가 실제 노동 생산 성과물로서의 상품의 교환가치(S)가 되지 않는다면 자본가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또한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로 대체되는 주체는 자신이 노동으로부터 만들어 낸 잉여가치(a)를 착취당한 빗금이 그어진 노동자($)가 되는 운명에 처한다. 결국 노동력을 매각한 노동자가 매일매일의 노동에서 잉여가치를 착취당하는 양상과 마찬가지로 우리 인간은 상징계에 참여하여 어떤 시니피앙으로 대리 표상됨으로써 향락에 속하는 무엇인가를 결정적으로 상실하고 만다. 라캉은 이러한 상실을 잉여향락이라고 부르며, 그것이 인간의 모든 사고나 행위를 결정한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증상이란 이러한 상실에 대한 관계 안에서 개개인이 각각의 방식으로 고통받는 방법에 불과하다는 것이다(S16, 41). - P91

분명 라캉은 이와 같은 현대적인 욕망의 양태에 대해 "욕망의 착취, 그것은 자본주의 디스쿠르의 위대한 발명이다"(라캉,
1978b)라고 말했던 것이리라. 과거 한때 일본에서도 그의 욕망론
"인간의 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다")을 소비사회 예찬([남들이] 원하는 것을 원해‘)으로 독해하는 식의 수용이 이루어졌지만 이는 잘못되었다. 실제로 라캉은 자본주의 디스쿠르가 "무서울 정도로 교활하고" 또한 "파멸로 운명 지어진", "버거운/지속 불가능한 것이며 이는 "너무나도 빨리 나아가 버리는" 것이라고 한탄하기도 했다(라캉 1978a). - P109

라캉은 정신분석을 "자본주의로부터의 출구"(AE520)로 보았다. 이것은 자본주의 디스쿠르와 분석가 디스쿠르는 공통적 특징이 전혀 없다는 사실에서도 시사되고 있다. 정신분석가 마리 장 소레Marie-Jean Sauret(2009)에 따르면, 정신분석이 자본주의로부터의 출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자본주의 디스쿠르가 배제한 거세, 즉 시니피앙과 향락의 양립 불가능성을 또다시 주체 안에 새겨 넣기 때문이다. 분석가 디스쿠르에서는 분석가 자신이 쓰레기로서의 대상 a의 자리를 차지하고 욕망의 원인인 역겨움abjection을 제시하면서 분석 주체가 구조 안에서 스스로의 자리를 알 수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AE520). 라캉은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침으로써 비로소 자본주의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고 보았다. - P1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