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네 기둥 - 시장의 역사가 가르쳐주는 성공 투자의 토대 굿모닝북스 투자의 고전 12
윌리엄 번스타인 지음, 박정태 옮김 / 굿모닝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지만 이들은 훨씬 더 중요한 사실을 놓쳤다.

맨해튼 펀드는 훗날 뮤추얼펀드 업계에서 가장 흔한 현상이 돼버린, 운용자산의 팽창에 따른 수익률의 침식을 보여준 첫 번째 사례였다.

운용자산의 팽창이라는 문제를 이해하려면 우선 포트폴리오의 규모와 수익률 간의 관계를 살펴봐야 한다. 가령 당신은 A주식을 사는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당신은 증권회사에 전화해 A주식 1000달러어치를 매수해달라고 주문한다. 누구도 당신의 주문을 주목하지 않을뿐더러, A주식의 거래액은 하루에도 수백만 달러에 달하니 당신의매수 주문이 거래량에 미치는 영향도 거의 없다.

그런데 이제 당신이 A주식에 2500만 달러를 투자한다고 하자. 이건상당히 큰 문제를 야기한다. 주가를 꽤 부풀리지 않고서는 전부 매수할 수가 없을 것이다. 달리 말하면 평상시에 체결되는 가격으로는 당신이 원하는 양만큼의 주식이 매물로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말이다.

충분한 양의 주식을 매수하려면 주가가 더 올라야 하는 것이다. 결국 주식을 대규모로 매수할 때는 조금씩 살 때보다 훨씬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하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수익률은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없을 것이다. 당신이 주식을 대규모로 매도할 때는 이와 정반대의 일이 벌어진다. 당신은 가격을 상당히 낮춰야 할 것이고, 이에 따라 수익률 또한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대규모로 주식을 거래하는 트레이더들 사이에 이 같은 수익률 저하는 "충격 비용(impact cost)" 이라고 불린다. 충격 비용은 고스란히 펀드 수익률로 이어진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충격 비용을 정확히 측정하기란 불가능하다. 이제 맨해튼 펀드에 돈을 맡겼던 불운한 투자자들에게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명백해진다. 차이는 펀드매니저로서

"슈퍼스타" 의 명성을 얻은 최초의 인물이자 순식간에 여기서 비롯된불가피한 운명, 즉 자산 팽창이라는 시련을 겪은 첫 번째 펀드매니저이기도 하다. 차이는 자신의 명성 덕분에 1968년 1~3월 사이 당시로서는 천문학적인 금액인 16억 달러의 펀드 자금을 끌어 모을 수 있었다. 그는 이렇게 엄청난 현금을 투자하면서 추가적인 충격 비용을 부담하지 않을 수없었다.

그 결과 맨해튼 펀드에 돈을 맡긴 투자자들은 차이가 주식을사고 팔 때마다 상당한 금액의 차이 세금을 낸 셈이 됐고, 이게 결국, 맨해튼 펀드의 수익률 저하로 이어진 것이다. P1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고 드디어
본격 상승을 시작합니다.
여기에서
최적의 매수 시점은
하루당 거래량이 통상적인
경우에 비해 적어도
50퍼센트 이상
증가했을 때입니다.

이때의 주가는
예전의 최고가보다
5~10퍼센트 낮은 위치에
있을 때가 많습니다. P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R(시장 수익률)=배당 수익률+배당금 성장률

"고든의 등식(Gordon Equation)" 으로 알려진 이 공식을 활용하면주식시장의 장기 수익률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가령 20세기 중배당 수익률은 평균 4.5%정도였고, 배당금 성장률 역시 복리로 4.5%수준이었다. 이 둘을 더하면 9.0%인데, 실제 수익률 9.89%와 비교하면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1%정도의 차이는 이 기간 중 주식이 상대적으로 훨씬 더 비싸졌기(그 결과로 배당 수익률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고든의 등식은 직관적인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만약 주식시장이 단순히 배당금을 주는 창구에 불과하다면 주가는 배당금이 늘어나는 데비례해서 상승해야 할 것이다. 배당금이 매년 4.5%씩 늘어난다면 장기적으로 주가는 연평균 4.5%씩 상승할 것이라는 말이다. 당신이 얻는 수익은 실제로 받는 배당금 수입 외에 주가 상승에 따른 자본이득이 있다. 따라서 전체 수익률은 연평균 주가 상승률(연평균 배당금 성장률과 대략 비슷할 것이다)에 연평균 배당 수익률을 더한 것이다.

고든의 등식은 중력의 법칙 같은 물리학 법칙과 비슷해 금융 분야를공부하는 한 계속해서 만날 것이다. P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투자의 네 기둥 - 시장의 역사가 가르쳐주는 성공 투자의 토대 굿모닝북스 투자의 고전 12
윌리엄 번스타인 지음, 박정태 옮김 / 굿모닝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최근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투자 패러다임" 에 대해 이야기했다. 새로운 투자 패러다임이란 한마디로 피셔가 틀렸으며, 순이익이나 배당금, 주가는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신경제(New Economy)를 대표하는 아마존(Amazon)과 이토이즈(eToys), 시스코(Cisco) 같은 걸출한 기업들이 국가 경제를 지배할 것이므로, 황금알을 낳게 된 이들 기업의 주가가 아무리 비싸다 하더라도 결국그 주주들은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게 그 요지였다.

물론 이런 줄거리는 이전에도 들어봤다. 위대한 투자이론가 벤저민 그레이엄은 1929년 이전의 주식시장 거품에 대해 이렇게 썼다.
소위 "새로운 시대" 라는 것은 전통적인 가치 기준에 의거해 시장가격을판단한 것이 아니라 시장가격에 기초해 새로운 가치기준을 만들었다. 그러다 보니 주가의 상승 한계가 사라져버렸다. 주식의 적정 매도가격뿐만아니라 팔아야 할 가격마저 알 수 없게 됐다. 이런 낙관적인 가치기준 덕분에 주당 순이익이 2.50달러인 주식이 100달러에 거래됐다. 똑같은 가치기준에 따라 이 주식은 200달러도 될 수 있고 1000달러도 될 수 있었다.

웬만한 투자자들은 그레이엄이 이렇게 묘사한 상황이 최근의 기술주 거품과 너무나도 흡사하다는 사실을 떠올릴 것이다. 그레이엄이100달러에 거래된다고 한 주식은 PER이 40배였다. 그런데 기술주 거품이 정점에 달했던 2000년 초 무렵 시스코와 EMC, 야후(Yahool) 같은 대표적인 기술주들의 PER은 100배가 넘었다. 물론 거의 대부분의 닷컴 기업들은 단 1센트의 순이익도 기록하지 못하고 파산해버렸다.p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투자의 네 기둥 - 시장의 역사가 가르쳐주는 성공 투자의 토대 굿모닝북스 투자의 고전 12
윌리엄 번스타인 지음, 박정태 옮김 / 굿모닝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원히 이자만 지급하고 원금은 돌려주지 않는 대출 형태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면 30년 만기 국채를 생각해보자. 이 채권은 반 년에 한번씩 모두 60차례 이자를 지급한 뒤 원금을 상환한다. 지난 30년간 물가상승률은 연 평균 5%가 조금 넘었다; 즉 30년 전 1달러의 구매력이77%나 떨어져 23센트 수준이 됐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 채권의 가치는 사실상 이자 지급에서 결정되며 원금 상환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제 만기를 100년으로 늘려보자. 그러면 물가상승률을 감안한원금 상환액의 현재가치는 달러당 1센트도 되지 않을 것이다.

유럽의 연금채권이 오늘날에도 의미 있는 이유는 무엇보다 그 가치를 아주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매년 지급하는 연금을 현재의 시장 금리로 나누면 된다. 가령 매년 100달러의 연금을 지급하는 연금채권이 있다고 하자. 시장 금리가 5%일 경우 이 연금채권의 가치는 2000달러가 된다.(100달러/0.05=2000달러) 만약 시장 금리가 5%일 때 이 연금채권을 매수했는데, 시장 금리가 10%로 상승했다면 연금채권의 가치는 절반으로 떨어진 1000달러가 된다.(100달러/0.1=1000달러) P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