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오키아는 산 중턱에서 오론테스강을 향해 펼쳐진 평지에 건설 - P133

된 도시다. 따라서 도시의 중심은 중앙이 아닌 북서쪽으로 치우쳐 있다. 다만 산을 끼고 있기 때문에 용수가 풍부했다. 그리고 성벽은 견고함 그 자체다. 산 위 가장 높은 곳에는 견고한 성채가 서 있다. 이런 성채는 일본 성의 천수각(天守閣)과 비슷하게, 시내가 적에게 점령당한후에도 방어하는 측이 끝까지 틀어박혀 싸울 수 있는 거점 역할을 한다. 그 외에는 성채가 없다. 이 사실은 안티오키아의 방어가 4백 개나되는 탑으로 중요 지점을 단단히 지키고 있는 성벽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P134

우리가 신앙을 바치는 종교가 번영해야 할 곳은 바로 그것이 발현한 - P156

땅이라는 것이 우리의 확신이다. 이 소망을 실현하는 데는 기존의 국가도 군대도 필요하지 않다. 신도들의 신앙과 의지만이 그것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런 우리가 이곳 아시아 땅까지 찾아온 것은, 이슬람의 자비를 얻기 위해서도 아니고, 이슬람의 법을 따르기 위해서도 아니다.
더군다나 우리 그리스도교도는 칼리프 하킴 아래 일어났던 (90년 전의 이야기) 폭행을 잊지 않고 있다. 그때 예루살렘의 성묘교회가 파괴되었고, 그곳에서 참배하던 순례자들은 죽임을 당했다. 그 사건을 통해 우리는 배웠다. 성지는 그리스도교도가 지켜야 하고, 뿐만 아니라영유권을 갖고 지켜야 한다는 것을. - P157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의 셀주크투르크 세력을 결집한 대군의 총사령관인 케르보가는, 이날 처음으로 십자군 전군을 목격한다.
제후들은 모두, 가문의 문장을 수놓은 각양각색의 깃발을 손에 든기수 옆에서 아침 해를 받으며, 둔중하게 빛나는 강철 갑옷으로 중무장한 차림으로 말을 타고 다가왔다. 그 뒤를 따르는 기사들도 강철 갑옷으로 무장하고 오른손에 큰 창을 들고 말을 탄 모습이다. 군량부족으로 말을 희생시켜야만 했던 많은 기사들은 보병으로 싸워야 했으나,
그들도 강철 갑옷과 긴 칼로 중무장했다. 십자군은 일반 보병들도 가슴을 가죽 흉갑으로 보호하고 있었다. 그리고 모두의 가슴에 붙은 하얀색 바탕에 붉은색 십자가 다채로운 무리를 통일시켜주었다. 투르크병사의 눈에 비친 십자군은 실제보다 훨씬 대군으로 보였다. - P1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장

당시의 이슬람교도는, 투르크인이든 아랍인이든 이집트인이든, 어느 지역 출신이건 상관없이 서유럽 사람을 전부 ‘프랑크인‘이라고 불렀다. 또한 비잔틴제국의 백성인 그리스인은 ‘로마인‘이라 불렀다. 비잔틴제국이 공식적으로는 여전히 로마제국으로 칭해지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 ‘프랑크인‘이라는 호칭은 대충 정한 것으로 보여도 꽤 적확한 총칭이었다. 사실 유럽인들은 스스로를 ‘유럽인‘이라고 칭하지 않았다.
‘유럽‘이라는 개념조차 존재하지 않았고, 따라서 ‘유럽인‘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P84

지금까지는 계속 길잡이라고만 쓰고 이름을 밝히지 않았는데, 제후들의 십자군이 소아시아를 답파할 때 길잡이 역할을 한 사람에게는어엿한 이름과 지위가 있었다. 이름은 타티키오스, 지위는 그리스군사령관 중 한 명. 즉 황제 직속의 가신이다. 이 타티키오스가 황제 알렉시우스의 뜻을 받들어 행동하리라는 것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는일이었다. - P104

예루살렘을 탈환한 뒤에도 그곳이 계속 그리스도교 도시로 유지되려면, 북쪽에 있는 안티오키아 역시 계속해서 그리스도교 쪽에 있어야한다. 그리고 이 안티오키아를 이슬람측의 반격으로부터 지켜내기 위해 북동쪽에 위치한 에데사까지 그리스도교 도시로 만들면 전략적으로 만전을 기하는 체제가 이루어진다. 더구나 그로 인한 이점은 즉각나타난다. 안티오키아를 공격할 때 십자군의 배후가 안전해질 수 있는 것이다. - P110

로마에서 열 수 없어서 대신 프랑스의 클레르몽에서 열린 공의회에서 우르바누스가 제창한 십자군이 실현되었을 뿐 아니라, 우르바누스의 제창에 호응한 제후들의 군대가 이제 실제로 오리엔트에 도착했다. 성도 예루살렘은 아직 해방되지 않았지만 서유럽이 모두 들고일어나 출발한 그리스도교도 군대가그들의 성지인 시리아와 팔레스티나에 도착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서유럽의 그리스도교 세계가 받은 충격은 컸다. 이것은 모두 우르바누스 2세의 호소에서 시작된 일이었다. - P1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시대 그리스인은 자신들이 라틴인이라 부르던 유럽인을 문명이뒤떨어졌다며 멸시했다. 하지만 라틴인들 역시 십자군 원정을 통해그들과 접촉하는 일이 잦아짐에 따라 그리스인을 혐오하게 된다. 그 - P61

시작이 은자 피에르의 십자군에 대한 그리스인들의 태도였다. 어쨌든형식적으로는 친절한 배웅을 받고 떠난 민중 십자군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은, 발칸 지역에서 만났던 것처럼 공포에 떠는 그리스도교가아니라, 이슬람 세계에서도 용맹하기로 소문난 셀주크투르크의 병사들이었다. - P62

공작 고드프루아가 도착하기 전에, 황제 알렉시우스는 이미 일이 그가 기대하고 있던 것과는 다른 형국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노르만족이 정복한 영국에서 도망쳐온 색슨족을 용병으로 쓰는것과는 전혀 다른 문제라는 것을.
그러나 황제 알렉시우스는 작전을 바꾸지 않았다. 비잔틴제국 황제에게 충성을 서약하도록 한 것이다.
제후들이 오리엔트 땅에서 하려는 군사 행동에 대해서는 찬동한다.
오리엔트에 자신들과 같은 강력한 그리스도교도의 나라가 생기는 것도 찬성했는데, 그것은 이슬람 세계와 비잔틴제국 사이의 완충지대가되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그에 대한 지원은 약속하지만, 그 대신 제후들은 비잔틴제국 황제에게 절대적으로 충성을 맹세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제후의 신분은 비잔틴제국 황제의 신하가 된다. 그렇다면 나중에 제후들이 그들의 군사력으로 정복한 땅의 모든 최고영유권도 자연스럽게 황제에게 돌아가게 되는 것이었다. - P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장

카노사 성은 이탈리아 중부에 광대한 영지를 갖고 있으며 개혁파의지지자로 알려진 마틸데 백작부인이 거처하는 곳이었다. 그 성안, 큼직한 난로에서 불이 기세 좋게 타오르는 따뜻한 거실에서 승리감을만끽하는 쉰일곱 살의 교황. 한편 성 안에 있는 사람들이 내려다보는가운데, 눈 속에 홀로 서 있는 스물일곱 살의 황제.
‘카노사의 굴욕‘은 서유럽 전역의 그리스도교도에게 교황의 권위와권력을 일깨운 일대 사건이 되었다. 파문은 풀렸으나 교황의 완승으로 끝났기 때문이다. - P15

"이것은 내가 명하는 것이 아니다. 주 예수 그리스도가 명하는 것이다. 그 땅으로 가서 이교도와 싸워라. 설사 그곳에서 목숨을 잃는다해도 너희의 죄를 완전히 용서받게 될 것이다. 신께 부여받은 권한으로,
나는 여기서 그것을 분명히 약속한다.
어제까지 도적이었던 자가 그리스도 전사가 되고, 형제나 친지와 다투던 자가 이교도와의 정당한 싸움터에서 그 분노와 원한을 풀 날이온 것이다. 지금까지는 푼돈을 받고 하찮은 일을 하며 세월을 보내던자도, 이제부터는 신이 바라시는 사업에 참가하여 영원한 보수를 받게될 것이다." - P24

그 시대의 공작, 후작, 백작, 남작이란, 자기 힘으로 획득하고 자기힘으로 유지하는 영지의 주인이고, 그것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군사력으로, 핏줄로 이어진 일족 무리를 이끄는 우두머리였다.
역사에서는 ‘귀족‘이라고 쓰지만 실상은 ‘호족‘이자 ‘부족‘이며, 스코틀랜드로 치면 ‘일가‘라는 뜻의 ‘클랜(Clan)‘이었던 것이다. 그 증거로 그들 모두 유래가 있는 문장(章)을 가지고, 행군할 때는 그것을그려넣은 깃발을 앞세웠으며, 전장에서는 그 각양각색의 깃발 아래 분 - P50

투하게 된다.
교황 우르바누스가 십자군 전사는 누구나 가슴이나 등에 붉은 십자를 달라고 한 것도, 가지각색의 표시를 방치하게 되면 십자군으로서의통일성을 기할 수 없고, 그렇다고 그 문장들을 모두 없애는 것도 비현실적이니 최소한 붉은 십자 표시로 통일성을 기하자는 의도도 있었다. 군웅할거 시대에 이러한 ‘영웅‘들을 하나의 목적을 위해 내보내는것은, 서유럽 그리스도교도의 최고 우두머리이기도 한 로마 교황에게도 간단한 일이 아니었던 것이다.
그러나 공작이나 백작으로 호칭되지만 실상은 ‘클랜의 우두머리였기 때문에, 우두머리가 십자군 원정이라는 모험에 나서겠다고 결정한이상 일족 무리는 그에 따라야 했다. 이것이 당시 남자들에게는 당연한 삶의 방식이었다. - P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5-04-15 11: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오 치열한 독서의 흔적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