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토예프스키, 돈을 위해 펜을 들다 - 세계적인 대문호 도스토예프스키의 가장 속물적인 돈 이야기
석영중 지음 / 예담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 도스토예프스키, 도박, 선불 그리고 그의 위대한 작품들..>

   얼마전에 도스토예프스키가 도박을 했었다는 글을 읽어 알고는 있었다. 그가 도박을 했었고, 가난하게 살았으며, 그 가난 때문에 작품을 "더" 열심히 썼다는 정도의 간단한 사실 정도만을.. 예전엔 도스토예프스키라 하면, 내가 아는 몇 되지 않는 러시아의 유명한 작가 중에서도 톨스토이와 더불어 아주 뛰어난 작가였다는 사실, 그리고 어렸을 때 읽어 잘 기억도 나지 않는 [죄와 벌], [까라마조프의 형제들]이라는 작품을 썼다는 사실 정도 뿐이었다. 그 책을 읽고 나서는 그가 정치적인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선고를 받았다가 사형 집행이 되려던 그 순간에 면제받고, 몇 년간 시베리아에서 유형을 살았으며, 이후에는 그의 인생을 한 순간도 낭비하지 않겠다는 결심을 하고 실천했던 굳은 의지의 사나이로 각인되었다. 

   하지만 이 책 [도스토예프스키, 돈을 위해 펜을 들다]는 제목부터가 자극적이고, 내 머리속으로 그리고 있던 집념적이고 바른 생활 사나이의 이미지를 확 깨뜨려버렸다. 궁금했다. 내가 어설프게 알고 있는 것 말고, 도스토예프스키의 진짜 모습은 어땠을까가.. "유명한" 작가라는 말이 왜 내겐 "초월적이고 고상한" 작가라는 말과 동일시되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도스토예프스키의 이미지 역시 내겐 돈 "따위와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그저 "인간과 예술에 대해" 고뇌했을 고상한 작가일꺼라 생각했었는데, 그런 그가 "돈"을 추구했다니..

   노어노문학과 교수님이 쓰신 책이라 그런지, 학생들에게 도스토예프스키에 대해 이야기를 해 주듯 그의 작품과 그의 삶을 관련지어 쉽게 쓰고 있다. 간간이 위트를 곁들여서.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삶을 간단하게 이야기해보면 이러하다. 근검절약 정신이 몸에 밴 그의 아버지와는 달리, 허영심이 강하고 부자처럼 보이고 싶어서 부자들조차도 구입하지 않는 물건을 사달라고 아버지에게 졸라대는 현실감각 떨어지는 젊은 시절을 보냈다. 그리고 스스로 생계를 책임지게 되면서는 끊임없이 "선불"을 요구했고, 그 때문에 작품을 써야했던 사람이기도 했다. 또한 항상 가난했던 사람.

   가수가 자기 부르는 노래처럼 살아간다는 말을 종종 듣곤 했다. 작가도 그런걸까..? 도스토예프스키야말로 정말 그랬던 것 같다. "처녀작 [가난한 사람들[이 청년 도스토예프스키에게 상당한 명성을 가져다주었다는 이야기는 이미 앞에서 했다. 그럼 경제적인 측면에서 이 문학적 성공을 분석해 보자. 그것은 정말로 고무적인 사건이었지만 부를 향한 출발점을 결코 아니었다. 오히려 이 문학적 성공을 시점으로 작가의 구질구질한 인생이 시작됐다고 보는 편이 더 정확할 것이다. 요컨대 [가난한 사람들]을 창조한 작가 자신도 평생 '가난한 사람들' 중의 하나로 남아 있었다. 첫 소설의 제목이 작가의 미래를 거의 예언해 주고 있다시피 하니 창조의 신비라는 말이 나올 법도 하다."(p65) 역시나 얼마전에 읽은 또 다른 책에서는 정말 생생하게 꿈꾸면 이루어진다더니, 그리고 [아서 고든 빔의 이야기]라든가 [캐롤라인 호]처럼 작가가 만들어낸 이야기가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이야기 속의 상황과 똑같은 상황이 실제로 발생했다더니.. 도스토예프스키의 이야기도 그런 측면에서 해석될 수 있는 것일까...? 

   유럽여행을 하면서는 도박에서 돈을 잃어 움직이면 배가 더 고플 것 같아서 가만히 앉아서 책만 읽으면서 돈을 부쳐주기를 바라는 편지를 썼던 도스토예프스키. 투르게네프에게 빌린 얼마 간의 돈 때문에(밖에라곤 말할 수 없는) 투르게네프에 대한 막무가내 식의 비난과 11년만에야 그 돈을  (이자도 없이)갚았다는 도스토예프스키. 그리고

  "[백치]를 다시 읽어보니까 훌륭한 부분들도 있지만 너무 서둘러 쓴 대목들이 많소. 개선의 여지가 지대한 대목들이..... 나는 언제나 급히 써야 했소. 그런데 톨스토이는 부자요. 그는 모든 걸 가지고 있소. 그는 내일 어떻게 어디서 돈을 벌어야 할지 전전긍긍하지 않아도 되오. 글을 쓰고 다듬을 대 충부한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소. 그건 굉장히 중요한 점이오. 그래서 그런 의미에서 그가 부럽소. 그래요, 나는 그가 부럽소."(p226) 라며 톨스토이의 부를 부러워했던 도스토예프스키. 선불에 쫒겨 작품을 다듬을 시간조차 없이 그의 작품을 넘겨야 했고, 끊임없이 도박에의 유혹에 빠지는 도스토예프스키.. 그리고 그의 이야기 속에서 등장하는 돈과 관련된 많은 사건들..  내가 생각해왔던 "고상하고" "예술 때문에 번뇌하는" 위대한 작가가 아니라 너무나 인간적이고 속물적인 그의 모습은 참 의외였다. 하지만 오히려 그래서 내겐 그가 더 친근하게 다가왔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이제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을 읽어도 괜찮을 것 같다." "제대로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 한권만 읽으면 도스토예프스키와 그의 문학 세계를 이야기할 수 있다."는 소개문구처럼 이 책은 작가의 생애가 그의 작품에 관해 조목조목 잘 설명해주고 있기도 하다. 도스토예프스키 입문서 혹은 요약서로서의 제 역할을 다 하고 있달까..?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고, 작가의 인간적인 면모를 접할 수 있다는 면에서 내겐 무척 재미있고도 유익한 책이었다.  이젠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들을 읽어볼 차례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