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 - 2015 제39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구병모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3월
평점 :
보통 단편집의 제목은 실려 있는 단편 중 하나를 선택한다. 짐작도 못한 일이 발생해 삶이 무너지거나 빛나는 일이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듯 -사실 빛나는 일보다 무너지는 일이 더 많다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처럼 단편집의 제목을 실려 있는 단편 중 하나의 제목이 아닌 어딘가에서 가져와 쓰는 것도 놀랄 일은 아니다.
반복은 때로 일상이 되는 마법을 부린다. 슬픔을 반복적으로 겪다 보면 감정이 무뎌져 눈물도 나지 않는다. 눈물을 흘려야 하는 순간인데 한 방울의 눈물도 흐르지 않아 당혹감에 빠지는 날들이 생겨난다. 때론 감정조절이 안 돼 엉뚱한 일에 화를 내기도 한다. 그렇게 괴물이 되어 간다.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은 책에 실린 단편들과 무관한 제목이 아닌 단편들 전체를 아우르는 제목이다. 한 예능 프로그램의 출연자들은 위기의 순간을 앞두고 ‘나만 아니면 돼.’ 라는 말을 반복적으로 외쳤었다. ‘나만 아니면 돼.’와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은 불행의 주인이 내가 아니면 상관없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언뜻 같은 말로 들리지만 두 문장은 미묘한 차이가 있다. ‘나만 아니면 돼.’ 에서 이기심이 느껴진다면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에선 간절함이 느껴진다. 간절함은 욕심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에서 나온 것이다.
점점 소설을 읽는 일들이 버겁다. ‘점점’과 ‘소설을 읽는 일이 버겁다.’ 사이에는 ‘불행으로 점철된 현실을 그린’ 문장이 빠져 있다. 소설을 읽는 일이 버거운 것은 현실이 시궁창인데 소설 속에서까지 ‘불행으로 점철된 현실’을 만나야 한다는 것이다.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고 말하면서 판타지에 빠지는 건 그렇게라도 잠시 현실을 잊고 싶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타인의 삶에 무게를 측정하기란 불가능하지만 사람들은 그 행위를 너무나 쉽게 했고, 종종 재단에까지 이르렀다. 타인의 절실함을 허명에 대한 갈망으로 단정 짓기도 쉬웠다. 그러나 내가 원하는 것이 허명이라면 나는 기꺼이 그것을 좇을 것이다.(11-12쪽, 「여기 말고 저기, 그래 어쩌면 거기」)
나의 잣대와 타인의 잣대는 같지 않다. 타인에겐 엄격하고 나에게 관대한 사고가 세상이 공정하지 못하게 된 것에 일조했을지도 모른다. 그 사람이 그런 일을 했다면 그럴만한 사정이 있었겠지, 생각하면 만사 편할 것이다. 물론 이 경우 그의 삶이 나의 삶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전제가 깔려야 한다. 얼마 전 A의 사정이 어렵다며 편의를 봐주라는 말을 들었다. 말한 사람은 A에게 편의를 봐주는 일이 내 부모가 손해를 보는 일임을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 듣고 싶은 대답을 정한 사람과의 대화는 피곤하다.
「여기 말고 저기, 그래 어쩌면 거기」에는 친구들이 보기엔 제일 나아보이지만 그들과 별반 다르지 않는 삶을 사는 ‘나’가 등장한다. 그는 모친이 추락사한 기억을 가진 친구 하이가 높은 곳으로 올라가고 떨어지길 반복하다 거리인지 불능증에 걸리고도 다시 높은 곳에 올랐다가 죽음을 맞았다는 연락을 받았다. 청춘의 시간을 지나면 삶의 불확실함은 해결될지 알았지만 착각이었다. 여기와 저기, 거기 사이에서 오늘도 길을 헤맨다.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의 단편들은 주로 ‘민생고와 생애 의례(13쪽, 「여기 말고 저기, 그래 어쩌면 거기」)’로 고단한 인물들이 주인공인데 「이창(裏窓)」의 인물은 예외다. ‘나’는 남의 불행을 외면하지 못하는, 그녀 스스로 인정하듯 오지라퍼다.
당신, 몸은 여기 살면서, 정작 버릴 수 있는 거 이중 한 가지도 없는 주제에 그 빛 갚음 하느라고 혼자 깨어 있는 척 치열한 척 하지 마, 사람 사는 거 다 똑같으니까.(124쪽, 「이창(裏窓)」)
각자에겐 각각의 삶의 무게가 있기에 누군가를 위한다는 신념은 위험할 수 있음을 인정하지만 타인의 무관심은 안타까운 생명을 죽음으로 몰기도 하기에-그것이 나와는 직접적으로 무관하다고 할지라도-그녀의 선의만큼은 왜곡하고 싶진 않다. 한편으론 ‘민생고와 생애 의례’로 고민하지 않고 타인의 일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그녀의 삶이 부럽기도 하다.
「이창(裏窓)」의 아이 엄마의 입장에선 무례한 급습을 한 ‘나’는 침입자이다.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의 불행의 원인은 침입자들 때문이기도 했다. 「식우(蝕雨) 」에선 부식 성질을 지닌 비가, 「이물(異物)」에선 털뭉치가 침입자였다. 「파르마코스」의 사람들은 내리지 않는 비로 고통을 겪었는데 「식우(蝕雨) 」의 사람들은 내리는 비 때문에 고통을 겪었다. 「이물(異物)」의 침입자는 어떤 사건을 일으키진 않았음에도 불행의 기운이 감도는 건 초대받은 손님이 아닌 침입자이기 때문일 것이다.
「덩굴손증후군의 내력」은 분명 비현실적인 이야기임에도 현실감은 강했다. 비극을 겪어도 그때뿐이고 언제 그랬냐는 듯 슬픔을 잊고 살아가는 현실을 살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관통」의 주인공 이름은 미온이다. ‘아직 평온하지 않다’의 뜻인 미온(未穩)일 것이다. ‘아직’이란 말에는 언젠가 평온해질 수도 있다는 가능성도 포함하지만 그녀의 삶을 보면 그런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아는 미온은 미온(微溫), 온도나 태도가 미지근하다의 뜻이다.『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의 표지는 루조 폰타나의 ‘공간개념’ 연작이다. 소설에서 미온은 모사한 그림을 봤다. 미온은 미지근한 삶과도 어울리지 않는 여자였다. 그것이 불행의 시작이었을지도 모른다. 아니다. 그렇지 않았다 해도 그녀의 삶은 똑같았을 것이다. 이렇게 적고 나니 생이 서글퍼진다. 현재의 불행은 과거의 어느 순간 잘못된 선택의 결과로 맞은 비극이라고 생각하는 편이 나을지도 모르겠다.
어디까지 갔을 때 사람은 자신의 심연에서 가장 단순하며 온전한 것 하나를 발견하고 비로소 되돌아 온 여지를 찾을 수 있거나, 아니면 되돌아 올 길이 없어 그대로 다리 아래로 던져버리게 되는 걸까요?(270쪽, 「어디까지를 묻다.」)
미온의 삶에서 온전한 삶, 아니 온전한 거 하나라도 있는 삶으로 갈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사람은 그 누구도 아닌 나라고, 내가 희망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삶은 달라질 거라고, 그러니 견디라고 말하고 싶지만 그 말은 입안에서만 맴돈다. 나와는 무관한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읽으면 편할 텐데 왜 자꾸 감정이입을 하고 헤매는 건지.

꿈을 꾼 것처럼 세상을 분홍으로 뒤덮었던 철쭉꽃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아쉬움을 뒤로하고 걷는데 싱그러운 초록들이 눈에 들어 왔다. 너무 많은 것을 생각하지 않으려 한다. 지금은 이번 여름을 잘 나는 것만 생각할 것이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