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탄생]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음악의 탄생 - 왜 인간은 음악을 필요로 하게 되었나
크리스티안 레만 지음, 김희상 옮김 / 마고북스 / 2012년 2월
평점 :
하루도 음악을 듣지 않는 날이 없다. 당신도 그러할 것이다. 음악을 듣고 싶지 않아도 TV, 버스 안, 거리, 휴대폰 등등의 일상에서 음악을 만난다. 스스로 혹은 타의로 음악을 듣지만, 음악의 탄생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 적은 없다. 인간이 언어를 주고받으며 의사소통을 하던 그때부터 음악도 생겨났을 거라고 막연히 생각했던 것 같다.
음악을 업으로 하지 않는 이상, 음악 없이 사는 일은 가능하다. 그런데도 음악 없는 생은 생각조차 하고 싶지 않은 건 지친 일상이라도 아름다운 음악 한 곡 들으면 삶의 피로가 풀린다는 걸 경험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일시적인 위안일지라도.
『음악의 탄생』은 자연과학, 심리학, 진화생물학, 음악학, 역사학 등의 관점에서 음악의 기원을 폭넓게 고찰한 책이다. 인간과 동물의 특성을 통해 본 비교 연구, 인간의 본성의 일부인 음악성 연구, 인간의 가진 후천적 노력의 결과물(상상력과 미화 감각 등) 연구를 통해 인간과 음악(성)의 관계를 살피고 있다. 음악의 탄생을 아는 일은 음악이 가진 힘을 아는 것이고 그것은 사회 속에서 음악의 역할을 더 많이 찾을 수 있다는 뜻이다.
저자는 인간에겐 동물과는 달리 음악 활동에만 쓰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고 생각했다. 유전자로 물려받은 음악성에 창의적 발명과 표현능력이 결부되어 음악이 생겨났다고 보았다. 인간의 리듬감각은 공동체 속에서 함께 음악을 만들도록 이끌었다. 또한, 아기를 위해 부르는 엄마의 노래 부르는 것 같은 말투 역시 음악의 진화를 이끈 행동이라고 보았다. 더불어 악기의 발명과 함께 음악 이론이 시작되면서 음악은 발전을 시작했다. 음악은 어느 순간 생겨난 것이 아니었다. 훨씬 복잡했다.
고대 그리스 아테네 문명의 음악은 다양했다. 교육, 운동, 축제, 결투 등 일상 속에 음악이 있었다. 따라서 음악은 그리스 문명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음악의 탄생』은 고대 그리스의 개인과 공동체의 일상을 아우르는 음악을 시작으로 고급예술과 민중음악이 따로 활동했던 중세의 음악, 독일의 낭만주의 음악, 오늘날의 팝 음악과 음악 비즈니스 등의 연구를 통해 음악은 무엇인가, 음악은 사회 속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가, 개인은 음악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여정이 담긴 책이다.
저자에게 음악은 개인의 정체성을 창조하고 공동체를 유지하는, 즉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것이었다. 음악은 콘디치오 후마나, 인간으로 살아가기 위한 필수 조건이었다. 소통의 수단인 음악이 지금보다 더 깊숙이 일상 속으로 들어온다면 인간의 삶은 훨씬 풍요로워질 것이다.
사회의 구성원으로 음악을 가르치거나 음악치료 등의 일을 한다면, 기타 음악 관련 일을 한다면 이 책을 통해 음악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답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전체적인 내용이 새롭진 않았지만, 부분적으로 알고 있던 내용을 전체적으로 개괄할 수 있는 책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