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은 밥이다 - 엄마가 읽는 수학책 ㅣ 교사와 학부모를 위한 함께도서관 6
강미선 지음 / 주니어김영사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나에게 수학이 어렵고 싫어하는 과목으로 자리 잡은 것은 초등학교(그 때는 국민학교) 저학년 때부터였는데 덧셈, 뺄셈 등의 문제 풀기와 구구단을 제대로 외우지 못해 아이들이 모두 하교하고 난 텅 빈 교실에 남아 나머지 공부를 하던 어두운-불이 다 꺼져 어두컴컴해진 교실이었기에 더욱- 기억이 아직도 남아 있다. 따지고 보면 내가 수학을 배우던 때는 곱셈의 개념을 이해하기보다는 무조건 외워야 했고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수학공식을 달달 외우는 것이 능사라고 여기던 시절이었다. 그러나 내 아이도 그런 방식으로 가르치고, 수학을 암기과목처럼 여기게 만들 수는 없지 않은가!
수학을 그저 반복해서 연산문제를 풀고 공식은 무조건 외워야 하는 학문으로 생각하고 있었다면 아이를 가르치기 전에 엄마도 생각을 바꿔야한다. 무엇보다 수학은 그저 공부만 하는 학문이 아니라 책 제목처럼 매일 먹는 밥처럼 우리 생활 전반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임을 생각하고 대화나 비판적인 질문 등을 통해 아이의 사고능력을 키워주는 방식으로 지도하고 이끌어야 한다. 1장 <수학은 사고방식이다!>에서 저자는 부모가 모든 것을 해줌으로서 아이들이 일상생활에서 배울 수 있는 다양한 수학적인 경험을 놓치게 하지 말라고 한다. 그리고 수세기 등을 공부로 가르칠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세어보게 하고, 수에 대해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부모가 장기적인 안목을 가질 것 등을 조언한다.
2장 <수학 학습에 관한 7가지 오해>는 반복, 공식, 계산, 선행학습 등에 얽힌 잘못된 생각들을 지적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아이가 크는 동안 내가 어떤 점들을 놓치고 있었는지, 어떤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되새겨 보았다. 3장은 <수학 잘하는 방법>으로 아이가 수학을 잘 하게 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지, 아이가 스스로 공부하게 하려면 부모가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지도해야 할지를 조언해주고 있다. 그리고 아이가 문제를 잘 풀지 못하거나 계산 실수가 많은 경우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도 짚어주고 있다.
아직까지는 나도 아이들을 공부와 관련된 학원에 보내지 않고 직접 가르치려고 노력하고는 있는데 솔직히 내가 제대로 가르치고 있는 것 같지도 않고, 내 자식이다 보니 한 번 가르치면 문제를 척척 풀어낼 수 있는 천재성(?)이 있기를 바라는 기대심리가 작용하여 감정적이 될 때가 많다. 아이 스스로도 수학을 어려워 하며 공부하지 않으려고 하는지라 내 아이가 학원에 다니는 다른 아이들에게 많이 뒤쳐지는 것 같아서 불안한 마음도 든다. 그래서인지 4장의 <엄마가 가르치는 수학> 부분을 읽으면서 많이 공감하고 반성하고, 성공적인 엄마표가 되기 위해서 아이를 지도할 때 어떤 점들을 유의하고 명심해야 할지 새겨보게 된다.
5장의 <유아 수학 지도의 실제>은 아이들이 어떤 부분을 혼란스러워하는지 예를 들어주면서 덧셈이나 뺄셈, 수세기, 시계 보는 법, 분수 개념 등을 어떻게 지도하면 좋을지를 조언하고 있다. 이 책은 절판되었다가 개정증보판이 나오면서 접하게 되었는데 큰 아이가 벌써 초등학교 고학년이 된 터라 책을 조금 더 일찍 접하지 못한 것이 아쉽게 여겨진다. 그러나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때'라는 말도 있지 않는가. 지금부터라도 내 사고방식을 바꾸고 긴~ 안목으로 아이들의 교육에 대해 생각하고 지도해 보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