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남지 않은 해비빈, 마지막으로 기부했습니다.  

아직 해피빈 가지고 계신 분들은 동참해주세요!  

http://j.mp/gSsw1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금이야,
시대도 변하고,
내 전공도 스토리텔링으로 바뀐 탓에

이런 주문을 받는 일이 적어졌지만,
 

등단 직후 몇 년 동안은 이런 주문을 많이 받았지.
-- 시 낭송해줘~

 
내가 아무리 소설을 쓰는 사람이라고 말해도 말이야.
그래, 문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시나 소설은 구분할 수 없는 것인지도 모르겠어.
마치 내게 있어 소녀시대의 멤버들이 그냥 '소녀'들인 것처럼.
(사실, 이 친구들도 이제 소녀는 아니지 않아?)

 
몇 번은 정중하게 거절했지.
그 요청이 왜 잘못인지 설명하기도 했고.
 

우선, 당신이 원하는 건, '암송'이지 '낭송'이 아니란 말이야.
낭송은 시 작품을 보면서 읽는 거야. 근데 지금 이 자리에는 작품이 없잖아, 그러니 외워서 말할 수밖에. 그러니 암송이야.
-- 아아, 아무튼 해줘, 그거, 낭송인지 암송인지.
 

하긴. 소설가와 시인을 구분할 수 없는데, 낭송과 암송을 구태여 구분해 무엇하리.
결국에 체념하고 암송하기로 했지. 
 

그런데 마땅하게 생각나는 것이 없단 말이지.
이건 순전히 내가 멍청하고 무식한 탓이야. 어릴 적부터 암기에는 젬병이었어. 순전히 변명이겠지만.
 

그래서 최대한 짧고 간결한 시 작품을 골랐지.
예를 들어, 요런 것.





너무, 길다

- 쥘 르나르(Jules Renard), <<박물지>> 중에서

 

얼마나 좋아?
누구나 쉽게 외울 수 있잖아?


만일 너무 짧다고 불만스러워 하는 기색이 보이거든, 청중의 성향을 파악해서 다음의 부가 설명을 더 하면 좋아.
1) 여기에서 '뱀'은 인생을 뜻한다. 이 얼마나 (철학적이고 명상적인) 작품이냐!
2) 여기에서 '뱀'은 히틀러를 뜻한다. 이 얼마나 (정치적이고 참여적인) 작품이냐!
 

 

한국 작품에서 고르자면, 최고봉은 이것이지.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그 섬에 가고싶다.

- 정현종

 

아아, 정말 멋진 작품이지. 문학성으로도, 길이로도.
혹시 여전히 짧다고 퉁실거리거든, 까짓 보너스로 다른 작품을 함께 암송해도 좋아.

 

사이

 
사람들 사이에
사이가 있었다 그
사이에 있고 싶었다

양편에서 돌이 날아왔다

- 박덕규


 

청중이 좀 어린 세대라면 이 작품이 효과적이지.
반말투로 낭송하면 더욱 효과가 좋아.
이것도 참 재미있는 경험이지. 반말로 시를 낭송한다는 것

 
너에게 묻는다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 안도현


 

그런데, 오늘 암송의 기술에 적합한 시를 한 편 발견했어.
다음에 써먹어 보려고 해.

 


개심사(開心寺)에 들며

 
여가 어디여.

여가 거기여.

- 권혁제, << 투명인간 >>, 문학의전당, 2009. 8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생활 중심주의에서의 탈피.
생계에 대한 중압감 또는 물신주의(物神主義)라는 다소 낡은 표현도 비슷한 의미를 가진다.

어쩌면 우리는 지나치게 현실에 사로잡혀 있는지도 모른다. 경쟁에서 이겨 생존을 쟁취해야 하고, 휴식하기보다 준비를 해야 하며, 채 준비가 끝나기도 전에 다시 경쟁으로 내몰린다. 이 모든 과정이 스트레스를 만들고, 그것은 경제적으로 처분해버려야 한다. 

그러니 지금 여기가 아닌 다른 세상을 상상하거나, 다소 허황된 것처럼 보이는 아이디어를 차근차근 풀어낼 여유조차 잃어버렸는지도 모른다. 

당연한 일이다. 생존보다 중요한 일이 어디 있는가.
하지만 의심은 가시지 않는다. 걱정은 정말 생존에서 비롯되었는가? 혹시 공포 때문은 아닐까. 정말 위협당한 것이 아니라, 위협당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 바로 그것이 우리를 생계 유지에 급급하도록 만든 것은 아닐까. “이성을 제압하여 승리를 거두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공포와 힘”이라는 히틀러(Adolf Hitler)의 말은 우리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이러한 공포는 문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지난 세기, 우리 문단을 사실상 주도했던 리얼리즘도 결국 생존에 대한 추구와 그를 위한 지난한 쟁투에서 비롯된 것은 아닌가. 그리하여 우리 문단의 토양이 SF처럼 현실을 벗어난 상상은 자라기 어려운 환경으로 고착된 것은 아닌가. 

만일 그러하다면 앞으로 문학의 지향점은 ‘서정’이 되어야 한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생존 경쟁에서 이완되기 위해서는, 일단 현실에서 벗어나 여유를 되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그대로 SF가 보완해야 할 내용이 된다. 그동안의 SF가 새로운 과학기술 소개와 알레고리를 통한 현실 비판 등의 역할을 수행했다면, 앞으로의 SF는 삶을 위무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그를 위한 도구는 다시, ‘서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래된 책을 읽는 것보다,  
그리고 오래된 영화를 보는 것보다,
오래된 애니메이셔을 보는 것은 더욱 힘든 일이다.  

그만큼 기술력의 차이가 크게 느껴지지 때문이다.   

김청기 감독의 <황금날개 123>를 다시 보는 일 또한 쉽지 않았다.  
보는 일 자체에 힘을 소진해버려, 페이퍼를 남길 여력이 없다.  

몇 가지 메모로 대신하고자 한다.  

 

우선, 디자인의 측면에서는 모방의 흔적이 크다.
이 부분은 부인하기 어려울 듯 하다.

메카닉 디자인은 물론이고, 인물이나 배경 또한 그렇다.
(인물과 배경은 일본 애니메이션의 모방이라기 보다는, <태권V> 시리즈에 대한 자기 복제가 의심된다.)

아쉬운 점은,
디자인만 모방했을 뿐, 액션의 모방까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 

이왕에 카피할 것이면 좀더 화려한 액션까지 건드렸으면 좋았을 것이다. 특히, 황금발개3호 거인로봇의 존재감은 미약하다. 구태여 등장시킬 필요가 있을까 싶을 정도. 

액션을 담당할 3호가 그러하니, 클라이막스의 전투장면도 흥이 나지 않는다. 더구나 이미 <태권V>를 통해 화려한 격투 기술을 보았던 탓에 더욱 그렇다.  

다만, 메카닉 디자인에서 참신했던 점은, 거인로봇의 탑승구에 에 있다는 점.
머리에 결합하는 <마징가>류나, 머리에 결합하여 가슴으로 내려오는 <태권V>의 시스템과 구분된다.
다소 밍밍하긴 하지만 오히려 리얼리티는 높다고 생각된다.
숨가쁜 전투, 혹은 그 직전에 별도의 조종용 비행체를 타고, 도킹하고, 이동하나디...
당최 그런 것은 현실감이 떨어지니 말이다.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인데, 정리가 잘 되지 않는다.
좀더 생각한 뒤에 별도의 페이퍼로 작성해야겠다.  

 

요런 식의 합동 공격 플레이도 나쁘지 않았다.
그런데,  인간, 표범, 거대로봇의 콤비 플레이라니... 원근법을 고려해도 별로 폼나지는 않는다. 

 

아무튼, 정리하자면 ;
- 액션보다는 스토리텔링이 강한 작품이었다.
- 일본 애니메이션의 디자인에 대한 모방, 그리고 <태권V>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자기 복제가 의심된다.
- 몇 가지 참신한 아이디어는 있다. 다만 좀더 세련되게 표현되었다면 더욱 좋았을 것을.
  

더 고민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이를 먹고도 관용을 모르는 이들이 꼰대가 된다.  

물론 그런 변화가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막아야하는 것은 온전히 개인의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