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오랫동안 대중문화에 대한 논의는 주로 대중문화 산물, 즉 텍스트의 생산과정과 텍스트 자체에 집중된 경향이 있었다. 대중문화에 대한 논의가 주로 대중문화 텍스트를 만들어 내는 미디어의 문제,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텍스트(영화, 대중음악, TV드라마 등)의 문제에 주된 관심을 쏟아 왔다는 말이다.   

최근 들어 대중문화에 대한 논의에서 대중문화의 수용 및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것은 대중문화라는 문제영역에서 그것을 생산하는 미디어나 문화산업 자본뿐 아니라, 문화를 자신의 삶 속에서 소비하고 실천하는 주체로서 대중에 대한 관심이 대두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대중문화는 대중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대상이라는 점에서 소비문화의 성격을 띤다. 대중이 어떤 영화를 보고 어떤 노래를 부를 때, 그것은 자신의 욕망과 정체성을 담은 일종의 표현행위라 할 수 있다. - A Book, pp.12-13.

 
   

대중문화 연구의 폭을 작품에 한정해 왔던 것은 분명히 문제.
그러나 논의가 작품에서 벗어났을 때, 구체성이 사라질 위험이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할 부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禮記 옥은 다듬지 않으면 그릇을 이루지 못하고, 사람은 배우지 않으면 도를 알지 못한다.
         玉不琢 不成器 人不學 不知道 - 學記  

▶ ‘도(道)’를 알아가는 것, 그것이 바로 교육의 가장 큰 목적이 아닐까요?
 

 

#禮記 비록 좋은 안주가 있다 하더라도 먹지 않으면 그 맛을 알지 못한다. 비록 지극한 도리가 있다 하더라도 배우지 않으면 그 좋은 것을 알지 못한다. 이런 까닭에 배운 후에야 부족함을 알고, 가르친 연후에야 부족함을 안다. 부족함을 안 후에야 능히 스스로 반성하고 능히 스스로 힘쓴다. 옛말에 이르기를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서로 돕는다”고 한다.
雖有嘉肴 弗食不知其旨也 雖有至道 弗學不知其善也 是故學然後知不足 敎然後知困 知不足 然後能自反也 知困 然後能自强也 故曰 敎學相長也 - 學記  

▶ ‘敎學相長’ 이 말이야말로 선생이 왜 꾸준하게 공부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값진 깨달음입니다.

 

 

#禮記 군자의 가르침은 인도하되 무리해서 끌지 않고, 진작하나 억제하지 않으며, 깨닫는 길을 열어주되 통달을 요구하지 않는다. 인도하고 끌지 않으면 곧 조화를 이루고, 진작하나 억제하지 않으면 곧 새로워지며, 길을 열어주되 통달을 구하지 않으면 곧 사고하게 된다. 조화하고 새로워짐으로써 사고하게 되면 잘 깨우치는 것이 능히 가능해진다.
故君子之敎喩也 道而弗牽 强而弗抑 開而弗達 道而弗牽則和 强而弗抑則易 開而弗達則思 和易以思 可謂善喩矣 - 學記  

▶ 가르치는 사람이 항상 가슴에 품어야 할 문장입니다. 어찌보면 이것이야말로 요즘 유행하는 ‘자기주도형 학습’의 원형이 아닐런지요? 

▶ 다소 의역일 수 있습니다. 해설에 나온 문장이 평이해서, 제 나름대로 한자의 뜻을 다시 풀이했습니다. 

#禮記 ▶ 學記 편을 모두 읽다. 시대는 변했으나, 가슴에 품어야할 이야기는 많다.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시대를 떠나는 보편적인 것. 특히 우리나라처럼 모든 교육이 입시(그리고 대학에서는 취업) 중심으로 진행될 경우, 곧 입신양명만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배움은 출세를 위해서가 아니라 ‘인간의 가치’를 깨닫기 위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반성하고 또 반성할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禮記 ▶ 大傳 편을 모두 읽다. 임금과 그 친족들에 대한 것으로 현대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이 거의 없다.
 

 

#禮記 ▶ 少儀 편을 모두 읽다. 상견례와 천수(薦羞) 등을 언급하였으며, 현대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은 많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禮記 ▶ 明堂位 편을 모두 읽다. 예악에 대한 소개이지만, 중국음악에 무지한 탓에 그 뜻을 헤아리기 힘들다. 
 


#禮記 ▶ 喪服小記 편을 모두 읽다. 상을 당했을 때의 예의에 대해 말하고 있다. 두 가지 점에서 난해한데, 하나는 예시가 오래된 것이 많아 현재에는 그대로 시행하기 어렵다는 점, 다른 하나는 현재에 통용될 수 있는 것은 지금 모습과 너무 흡사하여 돌아볼 여지가 없다는 점이다. 결국, 죽음의 모습은 어느 시대에나 크게 다르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禮記 : 군자의 모양은 한가롭고 단아해야 한다.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을 만날 때에는 엄정하면서도 민활해야 한다. 발 맵시는 신중하고, 손 맵시는 공손하며, 눈 맵시는 단정하고, 입 맵시는 안정되어 있으며, 목소리는 조용하게, 머리는 똑바로 들고, 숨은 정숙하며, 서 있는 모양은 덕이 있어 보이고, 얼굴빛은 장엄하며, 앉으면 주검과 같다. 한가하게 집에 있을 때와, 가르치며 말할 때에는 부드럽고 자상하다.
君子之容舒遲 見所尊者齊遬 足容重 手容恭 目容端 口容止 聲容靜 頭容直 氣容肅 立容德 色容莊 坐如尸 燕居告溫溫 - 玉藻

▶ 이것이 핵심적인 모습이라고 생각됩니다. 군자야 말로 유학이 지향하는 이상적인 인물의 모습이니까요. 나머지 예의들은 이것을 기준으로 파생되지요. 
 


#禮記 ▶ 玉藻 편을 모두 읽다. 의복에 대한 예절을 소개했으나, 이 역시 대부분 현재에는 통용되기 어렵다. 다만 위에 언급한 군자의 면모는 표준으로 기억해 둘 만하다.
▶ 이 부분을 보면 유학은 외모를 중시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얼마나 편협한 것인지 알 수 있다. 어찌 생각하면 그들(유학자)은 인류 최초의 댄디보이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