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중심리 현대지성 클래식 39
귀스타브 르 봉 지음, 강주헌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1. 개인이 모인다고 군중이 되는 건 아니다.
군중은 항상 무의식에 지배된다.            

군중이라고 해서 꼭 엄청난 인원이 한 장소에 모여 있을 필요는 없다. 따로 떨어져 있더라도 특정한 순간, 격렬한 감정에 휩싸이면 군중의 성격을 띨 수 있다고 말하는 대목에서 추운 겨울의 촛불 집회가 연상되었다. 광화문 현장에 가지 않았더라도 마음 속으로 촛불을 함께 밝혔을 많은 국민들이 그 적절한 예가 되지 않을까.
군중 안에서의 개인은 일종의 집단 심리를 갖게 된다. 혼자였다면 하게 되었을 이성적인 생각과 판단 대신 분위기에 휩쓸려 감정적인 판단의 오류를 범하기 쉽다. 군중이 주는 익명성은 책임감을 지우고 본능에 따라 행동하기 쉽게 만든다. 많은 폭동과 시위 현장에서 동반되는 약탈과 폭력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이유다.

군중의 충동성과 변덕, 과민성은 민족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저명한 학자나 전문가들이라도 군중의 일원이 되면 다른 군중과 크게 다르지 않다.
군중이 무의식에 지배된다는 사실은 인정하고 싶진 않지만 뉴스나 역사적인 사건들 중에 사이비 종교의 집회 등을 통해 집단 환각, 암시, 최면이 주위에 쉽게 전염되는 것을 보아왔다. 군중을 선동하고 지도하는 리더의 중요성이 새삼 중요하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셀피 - 자존감, 나르시시즘, 완벽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법
윌 스토 지음, 이현경 옮김 / 글항아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여러개의 자아를 가지고 살아간다. 때와 장소에 따라, 함께 하는 사람들에 따라 시시각각 다른 모습으로 살아간다. 한결같은 모습인 사람도 있지만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매 순간의 자아도 틀림없는 자신이다.
사람이 주고 만드는 환경에는 거절과 소속감이라는 무형의 환경도 포함된다. 여기에서 발생되는 정신적인 고통은 육체적 고통에 못지않다. 타인의 고통을 보면서 같은 경험을 한 사람들은 경험이 재활성되어 함께 고통을 느끼기도 한다. 우리는 이를 공감이라고 부른다.

개인주의의 확대는 자존감으로 이어졌다. 완벽함에 가깝다고 해서 자존감이 높은 것도 아니고, 완벽과는 거리가 멀다고 해서 자존감이 낮은 것도 아니다. 자아의 직시와 자아성찰이 이루어지지 않은 높은 자존감은 주위에 피해를 줄 뿐이다. 예를 든다는게 무의미할 정도로 그 예는 넘치고도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셀피 - 자존감, 나르시시즘, 완벽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법
윌 스토 지음, 이현경 옮김 / 글항아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의 자아를 결정하고 정의하는데 환경과 유전자 중 무엇이 더 중요한지 오랫동안 논쟁이 되어왔다. 이를 밝히기 위해 일란성 쌍둥이의 추적 조사 등을 통한 연구도 있어왔다. 하지만 환경과 유전자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별개로 떨어뜨려 생각해 볼 수 없다. 두 관계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공생하는 관계이기 때문이다.
문화는 은연중에 개인에게 전달되는 환경이며 환경이라는 조건에는 개인의 경험도 포함된다. 문화의 차이는 자아를 규정짓는 기준점이 달라지게도 한다. 미의 기준이나 학습의 방향과 영역이 달라지기도 하는 것이다. 같은 문화권 안에서도 개인의 경험과 유전자의 차이는 각각의 개성과 차이를 만들어낸다. 이런 점들이 스스로를 전체의 일부로 보기보다 개인으로 보는 시각의 시작일 것이다.
개인주의가 상대적으로 높은 서양과 관계주의가 더 중요시되는 동양을 비교해볼때 자존감이 서양에서 더 높게 나온다. 자존감은 개인주의와도 연관이 있을까?

서양의 영웅은 악에 맞서 싸우는 정복자의 이미지이고 동양의 영웅은 자기 희생을 하는 사람이다. 자살을 실패자로 보는 시각과 모든 것을 떠안고 책임지는 방법으로 보는 것은 단순히 문화의 차이로만 보아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셀피 - 자존감, 나르시시즘, 완벽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법
윌 스토 지음, 이현경 옮김 / 글항아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6. 어린 시절 그녀는 엄마가 바라는 딸이 되기 위해서 항상 노력했다. 성인이 되어서는 남편이 바랄 법할 아내가 되고자 힘겹게 노력했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살아가는 것이 상대방에 대한 사랑이나 배려라고 생각해 이런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지 않을까. 하지만 이런 모습에 진짜 인생의 주인이 되어야 할 자기자신은 없다.
전쟁, 테러, 살인, 정부의 형 집행으로 죽은 사람보다 자살로 인한 사망이 더 많고 자살미수는 자살의 20배라고 하는 수치는 놀랍기만 하다. 자살은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버리려는 행위도 지키려는 행위도 될 수 없다. 흔히들 모든 것을 끝내고 싶어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다고 말하지만 죽음이 과연 원하는 '끝'을 줄지는 알 수 없다.
소셜미디어로 들여다보는 타인의 삶과 세상은 나만 빼고 모두 행복해 보이고 완벽해 보인다. 존재할 수 없는 완벽에 도달하기 위해 발버둥치며 살아가는 모습은 스스로를 갉아먹는다. 실제로 '나'에게 '완벽'한 것은 무엇인지 타인이 아닌 나에게 기준이 있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필로소피 랩 - 내 삶을 바꾸는 오늘의 철학 연구소
조니 톰슨 지음, 최다인 옮김 / 윌북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35. 삶이 답답하고 생각이 꽉 막힌 기분일 때는 산책을 나가보세요. 어딘가를 향해 가거나 무슨 일을 하러 나가는 것은 안됩니다. 산책은 발 디딘 적 없는 곳으로 향하는 일시적 방랑 상태입니다.》

걷기가 유행이다. 만보걷기, 맨발걷기 등 목적지가 아닌 걷는 것 자체에 목적을 둔다. '걷기를 위한 걷기'를 언제 했더라? 집을 나서기 전 머리속으로 동선을 먼저 짠다. 두번 세번 나가지 않으려고 최대한 효율적 걷기를 시뮬레이션 한다.
내일은 걷기가 아닌 소로식의 거닐기를 해볼까나. 걷기 이외에는 목적이 없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