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리스인 조르바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21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30대 중반인 지적인 크레타 출신 주인공이 갈탄 광산을 경영하기 위하여 크레타로 들어가는 배 편을 기다리다가
50대 중반인 마케도니아 출신 그리스인 조르바를 항구에서 만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크레타 섬은 오랫동안 터키의 지배를 받았고, 자긍심이 강하여 그리스에
속해 있지만 그리스인으로 불리기 보단 크레타 출신으로 불리기를 더 좋아한다는 역사적 배경을 알고 보면 더 재미있다. 소설은 1인칭 주인공/관찰자
시점으로 진행된다.
주인공인 나는 갈탄광의 주인이고 지성을 가졌지만, 뛰어난 감성을 지니고
많은 경험에서 터득한 지식으로 판단하고 외향적인 조르바는 서로 좋아하고 많은 부분을 공감하는 사이이다. 나와
조르바는 반대 성향을 가졌고, 나이 차이도 나지만, 사랑과
우정에 관한 이야기가 기본 플롯으로, 자동 운송장치의 설치, 만난
퇴역한 가수 부불리나, 과부, 살투르(악기), 감정을 표현하는 춤, 타락한
수도원과 수도승, 그 사이에서 크고 작은 사건들이 일어난다. 대화는
주로 존중과 막말체가 공존하며, 이들 서로 간에 믿음이 있고, 존경이
있다. 주인공의 관심사엔 도덕과 신, 신앙과 불경함 사이를
오고 간다. 기독교(아마 정교)를 바탕으로, 부처가 언급되기도 하고 동양사상도 언급된다. 책을 좋아하고 글쓰기를 좋아하는 주인공과 달리, 직관이 우세하고, 경험과 실무가 뛰어난 조르바는 많은 일을 해결한다. 많은 사람들이
그렇듯 머리와 가슴으로 반응하여 해결하는 일에 대해서, 글을 쓴다던가 사색을 한다던가 하는 일은 실생활의
문제들, 특히 직접적으로 먹고 사는 문제들을 풀어 나가는데 그리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인간이 본능적으로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먹물이 할 수 있는 일은 그다지 많지 않다는 해석하면 될 것 같다.
실제로 작가 니코스 카잔카키스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을 주인공으로
조르바를 통해 배우게 된 사실에 대해 자신의 관점으로 풀어 나간다. 작가는 철학(베르그송, 니체)과 고행하는
수도승, 기독교와 불교로 세상의 진리를 찾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 하였으나, 그가 찾아낸 건 진정한 자유로운 영혼인 ‘조르바’ 였다. 어록으로 조르바의 성향을 엿볼 수 있다.
<새끼손가락 하나가 왜 없느냐고요? 질그릇을 만들자면 물레를
돌려야 하잖아요? 그런데 왼손 새끼손가락이 자꾸 거치적거리는 게 아니겠어요? 그래서 도끼로 내려쳐 잘라 버렸어요.>
<하느님요? 자비로우시고 말고요. 하지만 여자가 잠자리로 꾀는데도 이거 거절하는 자는 용서하시지 않을걸요. 거절
당한 여자는 풍차라도 돌릴 듯이 한숨을 쉴 테고, 그 한숨 소리가 하느님 귀에 들어가면, 그자가 아무리 선행을 많이 쌓았대도 절대 용서하시지 않을 거라고요>
<도 닦는 데 방해가 된다고 그걸 잘랐어? 이 병신아, 그건 장애물이 아니라 열쇠야, 열쇠.>
<결혼 말인가요? 공식적으로는 한 번 했지요. 비공식적으로는 1천 번, 아니, 3천 번쯤 될 거요. 정확하게 몇 번인지 내가 어떻게 알아요? 수탉이 장부 가지고 다닌 거 봤어요?>
<확대경으로 보면 물속에 벌레가 우글우글하대요. 자, 갈증을 참을 거요, 아니면 확대경을 확 부숴 버리고 물을 마시겠소?>
<두목, 당신의 그 많은 책 쌓아 놓고 불이나 싸질러 버리시구려. 그러면 알아요? 혹 인간이 될지?>
전에 알바하다가 우연히 알게 된 어떤 작가(미술)님이 극찬과 함께 강력한 추천으로 읽었는데,
나는 그냥 보통이었다. 개인적으로 독실한 기독교 신자를 추구하고, 자유 분방한 연예를 그다지 즐기지 못하다 보니 그다지 공감대를 느끼지 못하겠다. 기대가 너무 커서였을 수도 있다. 어쩌면 읽는 독자의 마음이 심난하여, 중요한 건 모두 흘려 버리고 자투리만 몇 게 건져서 그렇게 보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