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임홍빈 옮김 / 문학사상사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 오래 전에 사뒀다가 잠을 청하기 위해 잡았다가 그만 아침 일곱시까지 읽고 말았다.  <상실의 시대> 이후 두 번째 읽은 무라카미 하루키 책이다. 잠자리에서 가볍게 읽으려고 했는데, 이 책 내용이 그리 가볍지가 않다. 번역본 기준으로 334페이지, 그리고 제법 큰 폰트, 쉽게 쓴 번역, 거기에 더해 프로이트 심리학에 기댄 문학 평론, 시간만 있다면 앉은 자리에서 끝까지 읽을 수 있는 재미 있는 소설책이다. 더구나 <상실의 시대>에서처럼 중간중간 나오는 자극적인 성애 장면은 한번씩 침을 꼴깍 넘기며 읽게 하는 마력이 있는 책이 바로 이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이라는 책이다. 하지만, 이 책 내용을 단순히 한 남자의 성장기 때 겪었던 이야기나, 그 과거의 경험이 지금 현재의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인과론적인 소설이라고 부르기에는 이 책은 작가의 여러 생각을 겹겹이 담아놓았다. 마치, 패스트리 빵처럼 말이다. 주인공 '나'(하지메)의 삼십대 이야기가 주축을 이루는 이 책의 배경은 일본이 고도성장을 해가던 70년대, 80년대다. 그러니까 작가가 겪은 시대 배경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겠다. 장인의 도움으로 재즈바로 사업에 성공하고 4LDK를 가지고 있는, 중산층에서는 최상위의 삶을 누리고 있지만, 60년대말, 70년대초의 일본 운동권의 영향, 그 때문에 지금의 삶을 이룬 데 대해 약간의 자의식이 있긴 하지만 그리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 우리시대의 사십대말, 오심대초에 있는 사람들도 주인공 같은 자의식을 한조각 정도는 지니고 살 테니까, 이 자의식도 평균 수준을 넘어서는 그런 것은 아니다. 작가도 주인공이 자본주의를 대하는 팽팽한 긴장 따위를 소설에 다루려고 하진 않았던 것 같다.


이 책의 기본 층위는 시마모토, 이즈미, 유키고로 이어지는 세 여자와 주인공 사이의 사랑 이야기가 되겠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열두살 때 첫사랑, 아니 첫사랑이라고 부르기에도 뭐하지만 삼십대 중반이 되도록 한번도 '나'의 머릿속을 떠난 적이 없는 시마모토가 이야기 중심에 있다. 이 소설이 일종의 환상소설이 되는 이유도 바로 이 시마모토라는 존재 때문이고 이 책이 아주 '쿨'한 로맨스 소설이나 한 남자의 성장통을 다룬 소설이라고 분류할 수 있는 것도 이 시마모토라는 여자 때문이고, 이 책이 평론가 권택형 교수의 평론처럼 프로이트의 이론으로 분설할만큼 심리적인 소설일 수 있는 이유도 이 시마모토라는 존재다. 한발 더 나아가 이 소설이 삶과 죽음의 문제를 세 여자와의 사랑을 통해 보여 준다고도 볼 수 있는 것도 바로  이 시마모토다. 무라마키 하루키가 창조한 이 시마모토라는 여자가 대단한 이유다. 늘 미소 짓지만, 그 속을 알 수 없는 여인. 그 속을 알기 위해서는, 그 여자를 얻기 위해서는 그 여자의 전부이거나 또는 그 전부를 포기해야만 한다. 죽음이냐, 삶이냐, 선택하여야만 한다. 이토록 강렬한 여주인공을 쉽게 찾을 수 있을까. 언뜻 가벼워 보이는 이야기지만 그 뒤에 숨겨진 의미는   헤세의 <데미안>에 비추어도 그 무게가 가볍지 않다. 


이 책 제목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은 이 책의 모티브다. 이 책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14장에서 주인공 '나'는 아주 오랜만에 로빈네스트를 들른 시마모토와 자신의 별장에 가서 하룻밤을 보낸다. 이 때 나오는 이야기, 국경의 남쪽과 태양의 서쪽. 국경의 남쪽은 냇킹 콜이 부르는 노래,  시마모토 말마따나 뭔가 아주 아름답고 크고 부드러운 것, 하지메가 서른이 넘도록 찾아헤맨 마음 속의 빈 한조각, 시마모토만이 채워줄 수 있는 그 조각. 태양의 서쪽은 히스테리아 시베리아나로 정리할 수 있는 서쪽으로 끝없이 걸은 후, 탈신해서 죽는 것. 그리고 그 중간은 없다, 국경의 남쪽과 태양의 서쪽 사이 말이다. 그리고 결국 해답은 환상이 아니라 아마도 일상에 있을 것이라는 것. 이책의 결론이다. 해답은 아마도 유키코였나보다, 그게 자본주의와 뒤섞여 있어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쁜 생각 - 논리적이며 비판적인 사고를 위한 안내서
제이미 화이트 지음, 유자화 옮김 / 오늘의책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문을 읽으면서 신경을 곤두세우고 읽는 경우는 별로 없다. 그러기엔 너무 피곤하니까 말이다. 이 책은 내게 매사에 신경을 곤두세우라고 말한다. 책 제목 위에 써 있는 말마따나 "논리적이며 비판적인 사고"를 하려면 매사에 그래야 하겠지만 말이다. 정치가들 말 속에 부조리와 비논리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이 책을 읽지 않은 사람들 중에서도 많다.

 

그래도 한번쯤 다른 사람들과 논쟁하거나 신문 기사나 텔레비전 토론 프로그램을 보면서 비논리적인 부분들을 좀 더 예리하게 살펴보고 싶다면 이 <나쁜 생각>이라는 책을 읽어 보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특히 6장-어렵고 공허한 말, 8장-이름만 바꾼다고?, 11장-충격적이며 터무니 없다는 읽을만 하다. 경영 컨설턴트에서 자주 쓴다는 그 레버리지라는 말은 평소에도 한번씩 듣는 말인데, 이 책에서는 그 단어에 숨겨진 모호함과 공허함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한 마디로 정리하면 비판적 사고를 훈련시키는 책이라기보다는 12가지 비논리적인 경우를 짧막하게 케이스 스터디한 책. 이런 책은 읽고나면 채워졌다기보다는 오히려 허기가 느껴진다.

 

이 책 뒷장에 나와 있는 "여기저기 구멍이 난 논리를 깔끔하게 메워준다!"라는 말은 이 책 내용을 좀 과대포장하는 말이다.  

 

반드시 읽어볼만한 책은 아니라는 점에서 별점 세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 First Course in General Relativity (Hardcover, 2 Revised edition)
Bernard F. Schutz / Cambridge Univ Pr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번 학기 상대성이론 교재로 쓰는 책이 바로 Schutz가 쓴 <A First Course in General Relativity> 2판이다. 초판에 비해 요즘 문제가 되고 있는 우주론 분야 내용을 포함시켰다.  

일반상대성이론을 학부에서 가르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일반상대성이론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수학적인 요구가 학부 수준에서 배우는 수학과 물리학 과정을 넘어서기 때문인데, 그렇다고 해서 학부 때 물리학 역사를 통틀어 가장 아름다운 이론이라 일컫는 일반상대성이론을 그냥 지나치고 가기엔 너무 아깝다.  

학부용으로 쓴 일반상대성 이론 교과서가 최근 들어 조금씩 나오기 시작하는데, 그 대표적인 책 중 하나가 James Hartle이 쓴 Gravity: An Introduction to Einstein's General Relativity라는 책이다. 이 책은 미국 저자 답게 설명이 많고 교육적인 책이다. 또 워낙 이 분야의 권위자이기 때문에 쓴 내용도 신뢰할 만 하다. 반면에 일반상대성이론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형식적인 부분이 교과 후반부에 나온다. 학부 수준에서 일반상대성이론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그럴 수 밖에 없다는 걸 이해하지만 대개 학부 4년 동안 상대성이론이라는 과목에 할당된 시간이 한 학기 정도라는 점을 감안하면 Hartle의 책은 그 두께가 좀 버겁다.  

최근에 Walecka가 쓴 Introduction to General Relativity는 바로 3차원 공간 내에서 2차원 면을 다루면서 리이만 기하학을 소개하는데, 책 두께로 보나 담고 있는 내용으로보나 잘 쓴 책이지만 저자가 이론 핵물리학자이기 때문에 다루고 있는 내용이 핵물리학에 좀 치우쳐 있고 최근 미분기하학에서 쓰는 현대적인 관점(frame-invariant, 또는 coordinate-free라고 불리는)을 어중간하게 다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한 학기 동안 요긴하게 쓸 수 있는 교과서로 이 Schutz가 쓴 교과서를 선택하였는데, 이 책의 장점은 첫째, 논리적이라는 점이다. 새로운 관점에서의 텐서해석, 스트레스-에너지 텐서, 곡률을 소개할 때마다 이 책의 목표가 무엇인지 분명히 한다. 그것도 학부 수준에 맞게. 리이만 기하학을 현대미분기하학 관점에서 가르치려면 알아야 할 고급 수학이 많지만 이런 어려운 내용을 이 책에서는 학부생들이 이해할 수 있게 탁월하게 설명한다.   

이 책의 또 다른 장점은 문제 난이도가 적당하고 충분히 교육적이라는 점. 문제를 만들기 위해 저자가 무척이나 고심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리고 이 책은 목표지향적이다.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장이 바로 8장인데, 1장부터 7장까지 지향하는 곳이 바로 이 8장이다. 8장 이후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응용을 다룬다.

저자도 8장 끄트머리에서 이야기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난 다음에는 그 다음 과정의 책, Weinberg나, Wheeler 등이 쓴 Gravitation, 더 나아가 Wald나 Hawking&Ellis가 쓴 책을 읽는데도 큰 어려움이 없을 거라는 말이 과장으로 들리지 않는다.  

단, 이 책 또한 일반상대성이론 1년 과정을 염두에 두고 썼기 때문에 한 학기에 소화하기엔 내용이 좀 많다. 하지만 9장과 마지막 우주론에 관한 장을 건너 뛰면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 방정식과 그 간단한 응용까지는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무난히 접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공부하면서 Hartle 책을 함깨 읽으면 학생들이 일반상대성이론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나라 사진 찍기 좋은 곳 1 - 서울.인천.경기도
곽병욱 글 사진 / 토파즈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천에도 갈 만한 곳이 많지만 정작 내가 살고 있는 곳이 그 중 하나라는 사실에 놀람. 아무리 살펴봐도 사진 찍을 곳은 아닌 것 같던데...... 

인상적인 부분은 광명역이다. 제법 많이 광명역에 가 봤고 그곳 사진도 찍어봤지만 저자가 찍은 만큼 사진이 안 나왔던 곳은 역시 발품을 좀 더 팔았어야 된다는 것. 역 바깥에 나와 육교 위까지 기어 올라가서 찍어야 광명역 사진을 제대로 찍을 수 있다는 충고, 아주 고맙게 들었다.   

아마추어 사진사들한테 필요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입시전쟁 잔혹사 - 학벌과 밥줄을 건 한판 승부 인사 갈마들 총서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강남좌파> 이 후 두 번째로 읽은 강준만 교수의 책이 이 <입시전쟁잔혹사>이다. 강준만 교수의 책의 특징은 신문과 잡지, 기타 논문들을 꼼꼼하게 정리해서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학자로서 진지함이 잘 드러난다는 점이다. 이 책도 예외가 아니다. 조선시대 때부터 2000년대 말에 이르기까지 사료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입시전쟁의 이유와 문제를 파헤치고 있다. <강남좌파>에서도 그랬지만 대개 저자의 본 생각은 맺음말에서 간략하게 정리한다.    

이 점은 강준만 교수의 전공이 신문방송학이라 그런지 모르겠지만 신문 사설이나 논설이 아닌 다음에야 좀 더 자신의 주장을 파고 들면 더 좋지 않을까, 늘 아쉽다. 이런 이유 때문일까, 이 책을 읽고 나면 오히려 이 땅에서 살아남으려면 더 아이들을 과외시키고 더 좋은 대학에 보낼 수 있게 더 힘써야 한다는 생각이 스멀스멀 기어나온다. 

저자의 생각대로 평등주의로서의 학벌타파가 아니라 일극체계에서 다극체계로 경쟁을 다양화하고 패자부활전이 가능한 쪽으로 가는, 학벌완화가 사교육과 지나친 경쟁의 해결책이라면 처음부터 자신의 주장을 좀 더 꼼꼼하게 펼쳐나갔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이 문제의 해답은 분명 더 길게 봐야 찾을 수 있을 테지만 그 답이 반드시 사회진화론자들과 진보적 근본주의자들이 내놓는 답 그 중간 어디 쯤에 있을 것 같진 않다.  

저자 말마따나 이렇게 때가 덕지덕지 않은 오래된 문제는 단순히 방법론적인 해답만으로는 해결되진 않을 것이다. 우석훈의 과외 철폐 주장이 이상론에 치우치는 거라면,그 방법의 하나로 SKY대학의 정원 축소를 내놓은 저자의 생각도 단순히 방법론에 머물러 있. 실제로 그렇게 했을 때 이 또한 저자의 예상 대로 흘러갈지 않을지는 알 수 없는 노릇이다.  

조선시대부터 시작해서 일제 강점기, 해방 공간을 지나 2000년대 말까지 드러난 문제의 핵심은 잘 드러냈지만 다양한 해결책에 대한 논의가 좀 더 있었더라면 더 좋았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